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전통 꽃창살문 도자타일을 활용한 21C 주거공간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21stCentury Living Space by Facilitating the Ceramic Tiles for the Floral Doors of Korean Buddhist Temple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9.12
11P 미리보기
한국전통 꽃창살문 도자타일을 활용한 21C 주거공간 방향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5권 / 4호 / 247 ~ 257페이지
    · 저자명 : 송미림

    초록

    21c 는 인간의 삶이 다양화 세분화 전문화되어 실내공간에 대한 기능이 행복한 삶의 지표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한국건축에서 전통인식의 시각이 보편적인 시각에서 개별적인 시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본논문의 연구범위로 현대 주거공간의 기능, 한국 전통문양의 의미, 꽃창살문의 미에 대한 고찰, 친환경적 도자재료를 사용한 꽃창살문의 성형기법, 시각적 재현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네트워크 검
    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등 문헌조사를 통한 문헌 연구를 기초로 하였으며 우리나라 사찰에 남아있는 꽃창살문, 25점을 기록하고 다시 분석하여 실내, 건물외관에 어떤 방법으로 접목 될 수 있는지를 드로잉과 모니터 상에서 작업하여 실지주거공간에 시각적 재현 시뮬레이션 작업을 하여 한국의 전통 꽃창살문 도자타일을 활용한 새로운 주거공간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일과 노동, 쉼을 위한 energy를 축척하며 삶의 다원화의 결과로 가치관의 혼란, 공동체적 연대감 상실, 사회적 갈등이 증가되었으며 다양한 감성을 요구받는 시대의 주거공간은 인간에게 가장 유익한 친환경적 재료를 찿게 되었으며 심리적으로 가장 안정을 줄수 있는 다양한 시각적 미를 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디지털사회에서 인간에게 가장 유익한 재료인 흙의 주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자공예를 타일로 주제는 전통 꽃창살문으로 재창조하여 문화의 키워드가 국가 경제를 지배하고 있는 21c 한국의 디자인 고민 즉, 한국적 이미지를 재창출 해내는 작업은 개념적 정의의 대상이라기보다 실천의 방법론을 의미하는 이론의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는, 논의가 시대를 초월한 전통, 다시 말하자면 현대에도 이해되고 적용될 수 있는 전통 표현 요소로서 한국의 전통 꽃창살문을 21C 주거공간의 새로운 방향제시의 주제로 적용 하여 전통과 현대의 새로운 공간 시점을 방향 제시하고자 하였다 꽃창살문 도자타일의 시뮬레이션 결과 현재 주거하고 있는 우리의 삶의 공간에 접목되어 한국적 Image와 함께 시각적 심미성을 극대화 할수 있는 새로운 주제이며 주거인의 독창적인 기호를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코드로서의 역활을 기대한다

    영어초록

    In 21c, as human living has been diversified, segmented and specialized, function of interior space has become a barometer of a happy life. Under this background, this study, being cognizant of the fact that a viewpoint for traditional cognition in Korean architecture has been changed from the general viewpoint to an individual one, has progressed consideration for the function of contemporary residential space together with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and beauty of flower latticed door and simulation of forming technique and visual reproduction for flower latticed door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ceramic materials, as a research range of this thesis.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was based on network search through internet and literature review through survey of books and publications including thesis and separate volume and after recording and analyzing 25 pieces of flower latticed doors being left at the domestic temples, it was demonstrated on drawing and monitor in order to identify its applicability to interior/exterior of the building and visual reproductive simulation was performed in the actual residential space. In summary, the purpose of this effort is to suggest a new residential space utilizing Korean tradition flower latticed door ceramic tile.
    As a consequence of the multiplicity of life where storing up energy for business and labor are the norm, as is the continuing disorder of values, the loss of a communal feeling achieved through solida-rity, has lead to an increase in social conflict. At the same time the housing space in this era has varied with peoples need for variety. These sensi-
    bilities have caused an increase in the need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that are the most beneficial to humans while also seeking for diversif
    -ied visual beauty that can offer feelings of the uppermost psychological stability.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demonstrate that by recreating ceramic art made mostly of the earth materials into a new device for living space, that is. ‘tile' which can meet the customers' aesthetic need, it is possible to blend it with current living space of Korea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also aims to examine a subject which can reempha
    size the fact that Korea-specific thing is the thing that has global attraction. Thus, this study will examine the traditional Korean door with flower shaped lattice door usually found in Buddhist temples.
    ‘The beauty of the door with flower-shaped lattice is the crystallized dramatic expression of the beauty of Korean architecture'
    Recognizing that the traditional viewpoint in architecture in Korea is shifting from universal view to individual view, this study recreated ceramic art as a happy device to present a new spatial perspec-
    tive combining tradition and modern space by blending traditional Korean floral-lattice door into the unit of our current living space.(It is expected to have a role in the new culture co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