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산김씨의 문중활동의 지역문화적 의의 - 文簡公派를 중심으로 - (The Regional Cultural Meaning of the Activities by the Kim Family Originating in Seonsan)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9.11
49P 미리보기
선산김씨의 문중활동의 지역문화적 의의 - 文簡公派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2권 / 2호 / 175 ~ 223페이지
    · 저자명 : 배영동

    초록

    선산 들성에 터를 잡은 선산김씨의 김취성과 김취문 형제는 16세기 사림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송당 박영의 제자가 되었다. 이 두 형제의 도학정진과 활약은 선산김씨를 주목받게 하였다. 그 중에서도 문간공(文簡公) 김취문의 후손 번창, 그의 아들 김종무와 김종유의 활동은 선산지역에 유교이념의 실천을 진흥하는 데 기여하였다. 선산김씨의 세거지였던 들성은 호지(狐池)라는 선산 최대 규모의 저수지를 끼고 있어서 농업생산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그리하여 선산김씨는 들성에 9개의 자연마을을 형성하면서 문중의 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다.
    16세기에 김취문이 선산 최초의 서원 금오서원 창건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기에 선산김씨 문중에서는 서원을 발판으로 하여 현조(顯祖)의 현양을 통하여 문중 구성원을 결속할 수 있었다. 김취문의 장자 김종무를 기점으로 하는 판서공파는 선산 지역의 사족과 학문교류뿐만 아니라 혼맥을 형성하였고, 지역사회 밖으로는 안동과 상주의 퇴계학파와 사제관계나 혼인관계를 맺어 사족간의 폭넓은 연망(連網)을 형성하였다. 김취문의 차자 김종유를 기점으로 하는 학생공파는 서인, 노론의 학통을 이었다. 그러므로 판서공파와 학생공파는 도학적·정치적 입장의 차이로 인하여 문중활동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그럼에도 17세기 초에 선산김씨는 처음 족보를 간행하여 문중의 통합을 강화하였다. 18세기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 두드러졌으며, 후손이 번성한 김종무 가계는 여러 지파로 분화되었다. 서원철폐령이 내려진 19세기말에는 선산김씨가 선산지역에 유교적 사상과 덕목을 실천하는 데 앞장서려 한 모습이 보인다. 20세기에 들어오면 김취문의 장자 김종무의 지파들이 경쟁적으로 숭조건축물을 건립하여 지파의 결속과 선조 현양을 도모하는 한편, 대외적으로는 선산지역에서 들성의 유교문화 유산과 전통을 보존하고자 하였다.
    요컨대 김취문 가계의 문중활동은 경제적·혈통적·학통적 기반 위에서 종법이념과 유교문화를 실천한 것이며, 그들의 활동은 지역사회 내부에서 유교문화의 진흥에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Kim, Chwi-seong and Kim, Chwi-mun were brothers from the Kim family that originated in Seonsan and settled at Deulseong Village of Seonsan. They both became students following Park, Yeong with the pen name of Songdang who played a great role for the Sarim school of Chutzu doctrines in the 16th century. Their committment to studying the doctrines of Chutzu and other activities led their family to be recognized. Particularly Kim, Chwi-mun honored with the title of mungangong after death had his posterity prosper. His two sons, Kim, Jong-mu and Kim, Jong-yu did various activities and contributed to promoting the practice of Confucian ideology in the area of Seonsan. Deulseong Village where the Kim family originating in Seonsan liv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had environments favorable for agricultural production with the largest reservoir called Hoji in Seonsan located nearby. Hence, the Kim family originating in Seonsan formed nine villages naturally, and thrived greatly.
    In the 16th century, Kim, Chwi-mu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Geumo Seowon which was the first academic institution in the area of Seonsan, so the members of his family could be united by extolling their excellent ancestors with the institution used as a foothold. The branch family of Panseogongpa beginning with his eldest son, Kim, Jong-mu not only organized the local Confucian scholars and led the regional academic activities and exchanges, but also formed marital relations in the area. At the same time, outside the region, the branch family of Panseogongpa made a wide network of Confucian scholars through academic and marital relationships with the school of Toegye in Andong and Sangju. The branch family of Haksaenggongpa beginning with Kim, Chwi-mun’s second son, Kim, Jong-yu succeeded to the scholastic mantles of Seoin and Noron. These two branches showed difference in Confucian ethics and political attitudes, and accordingly in their family activities.
    However,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Kim family originated in Seonsan intensified the family integration by publishing its genealogy. In the 18th century, the activity of integrating the family was more strengthened. The branch family of Kim, Jongmu with more thriving posterity was divided into more subbranches. In the 19th century when the order that all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called seowon be closed was enforced, the Kim family originated in Seonsan led the way in putting into practice Confucian ideas and cattues. In the 20th century, the subbranch families of Kim, Jong-mu competed with each other to build structures for ancestral admiration, and contributed to uniting the family divisions and admiring ancestors. Outside the family, they tried to conserve the heritage and tradition of Confucian culture in the village of Deulseong, Seonsan.
    To sum up, the family of Kim, Chwi-mun did activities of putting into practice the ideology of Confucian rules and regulations, and Confucian culture on the economic, genealogical and academic grounds. These activities count for much in promoting Confucian culture within the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