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碑誌文 창작양상 고찰 -4종의 南冥神道碑를 중심으로- (A Study on Historical Awareness of Epitaph Writers in the 17th Century -focused on four Nammyeng-epitaph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2.06
32P 미리보기
17세기 碑誌文 창작양상 고찰 -4종의 南冥神道碑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51호 / 7 ~ 38페이지
    · 저자명 : 정경훈

    초록

    본고는 17세기 비지문 창작의 양상으로 南冥神道碑文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남명신도비문은 모두 4명에 의해 찬술되었고 현재 4종이 전해져 오고 있다. 神道碑文 이외에 墓表나 墓碣文, 墓碑文 등 한 인물에 대해 저작되는 다양한 형식의 비지문은 이전부터 있어왔고 한 편 이상의 묘표나 묘갈문, 묘비문도 간혹 존재하지만 한 인물에 대해 4명이 각각 신도비문을 지은 경우는 남명신도비문이 독보적이다. 비지문의 속성상 대상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후대 자손과 문인들의 이해관계에 의해 저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남명신도비문은 하나의 문체로 한 사람을 대상으로 네 사람의 입장에서 기술하고 조망했다는데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4종의 남명신도비문은 찬술자의 문학관에 따라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내암의 경우, 여타 작품보다 가장 이른 시기에 찬술되어 비문의 외형적 면모 보다는 남명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내실 있는 서술에 주력을 했다. 그러므로 남명학파의 적전제자로서 소임에 주력했고 외형에 집착하기 보다는 자신의 학문관인 道德과 實을 바탕으로 저술하였다.
    용주의 경우, 三長(才·識·學)·五難(煩而不整, 俗而不典, 書不實錄, 賞罰不中, 文不勝質)의 독특한 史觀을 바탕으로 저술하였다. 그는 신도비문의 중심 내용을 고사의 인용을 통해 비문의 내용과 외형적 문체를 적절히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시도하였다.
    미수의 경우, 사실 그대로 기록하려는 노력으로 기술의 嚴正을 통해 철저한 사실 위주의 기록을 추구하였다. 미수는 古文의 法度를 받아 사실 기록의 輕重을 따지지 않고 한 글자 한 구절도 산만한 것이 없이 簡古하게 쓰며 記事의 法度는 큰일은 상세히 적고 작은 것은 생략하며 꽃다운 것은 취하지만 중요한 것은 더욱 부각 시킨다는 記事 원칙에 입각하여 서술하였다. 비록 후손이나 문인들의 청탁으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자신의 엄정하고 올곧은 기술은 어떠한 타협도 있을 수가 없었고 비문의 찬술자 보다는 史官의 입장에서 기술하였다.
    우암의 경우, 내암·용주·미수 보다 남명과 대립적 관계에 있었지만 정파적, 학문적 대립에서 탈피하여 서술하였다. 특히 인물의 업적보다는 인물의 성품에 따라 포폄을 달리 하고자 하는 태도인 序其爲人의 문학관은 남명을 당파적 영수에서 시대의 師表로 승화시켰다.

    영어초록

    It is difficult to find out a work which not only was written by several authors but also has a consistent writing style. However, Nammyeng-epitaphs were written by four great scholars in a relatively short time. Epitaphs had a function that passed down valuable heritage to future generation, but they were degraded to a typical writing with elaborate styles. Nammeyng-epitaphs are very deserved to get noticed as they were written by four scholars but focused on just a man of his time.
    There is a small difference in Nammeyng-epitaphs on this study through points of view in literature and studies. In the case of Jung In-hong, he introduced his writing much faster than other writings. He tried to write it to build up the identity of Nammyeng School rather than make writing appearance elaborate. Therefore, his writing was based on morality and hypostasis so it is much simpler than other Nammyeng-epitaphs.
    For Jo Gyeng, he tried to work based on three advantages and five difficulties. That is, there are talent, knowledge, and studies in three strengths. In addition, there are five weaknesses such as being complex and vulgar, telling the truth, getting awards or punishments, and having literary talent.
    For Heo Mok, he intended to record a great amount of truth so he does not matter its level of difficulty. Also, he was devoted to emphasizing more important things than others in his writing.
    Song Si-yeol was directly opposed the recognitions of Nammyeng compared with other three writers, but he was working out of political position. Especially, he described the subjects focusing on his personality more than his achiev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