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孤村 裵正徽의 삶과 문학론 연구-<文說>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fe and Literature of Ko-Chon(孤村) Bae Jeong-Hui(裵正徽))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2.12
33P 미리보기
孤村 裵正徽의 삶과 문학론 연구-&lt;文說&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83호 / 253 ~ 285페이지
    · 저자명 : 이규필

    초록

    孤村 裵正徽(1645~1709)는 성주군에서 태어나 현종과 숙종조에 걸쳐 관료의 삶을 살다 간 문인학자이다. 이유 없는 낙방과 수차례의 파직을 겪으면서도 右副承旨와 慶源府使에 올랐던 孤村의 官曆은 이 시기 영남남인 관료의 영광과 좌절의 면면을 여실히 보여주는 전형성과 상징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문학적 감수성이 남달랐던 孤村은 시문 창작에도 뛰어났고, 문장에 관한 자신의 독특한 견해를 담은 <文說>을 남겨 조선 중후기 비평사에도 이채로운 족적을 남겼다.
    ‘以理爲主’를 표방하는 고촌의 達意論은 한강의 고장 영남의 선비답게 理氣論과 흡사한 형식을 이루고 있지만, 문장을 載道나 明理 또는 經世의 도구로 보는 사유에서는 완전히 벗어나 있다. 또 미수의 영향을 받아 六經과 진한고문을 중시하고 있지만 文氣나 氣數 등 ‘氣’를 중시하는 여타 의고문파 계열의 인물들과 달리 理를 중시한다.
    고촌의 경우 ‘達意’를 ‘작가의 감정과 의사를 표현한다’는 적극적인 의미로 사용하였는데, 小技 또는 末藝 의식에서 벗어나 창작의 중요성을 적극적으로 인정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예술이나 한시 분야에 사용되던 意境과 天機 미학의 개념을 결합시켜 나름의 체계적이고 독창적인 문학 이론을 정립하였다. 짧은 글에 이처럼 완결된 구성과 체계를 갖춘 문학이론을 발표한 경우는 우리 문학사에서 그 유사한 사례를 찾기 힘든 독보적이고 놀라운 성취이다.

    영어초록

    Ko-Chon(孤村) Bae Jeong-Hui(裵正徽)는 was born in Seongju-gun(星州郡) as a poet and bureaucrat and died from 1645 to 1709. He failed several tests without any reason and was dismissed from office, but became a high-ranking official. His history has a symbolism that shows the glory and frustration of Yeongnam's southern bureaucracy. He had a good literary sensibility, and he also wrote well. He also organized his literary theories and published them in the <Moonseol(文說)>.
    Kochon's literary theory, ‘which claims to providence reason(以理爲主)’, is a “literary theory that expresses emotions and intentions.(達意論)” It is a form similar to ‘LeeGeeRon(理氣論)’. However, it deviates from the idea of viewing sentences as a tool of philosophy and politics. In addition, under the influence of Mee-Su(眉叟), the Yukgyeong(六經) and the ancient writings of the Han Dynasty of the Qin Dynasty(秦漢古文) are emphasized, but they do not value ‘Gee(氣)’ but ‘Lee(理)’ Ko-Chon's theory of literature active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reation, breaking away from the stereotype that “literature is only a trivial skill.” He established his own systematic and original literary theory by combining the aesthetic terms ‘Uigyeong(意境)’ and ‘Chungi(天機)’ used in the art field with literary theory. It is rare in our literary history to publish a literary theory with such a complete composition and system in short wri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