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을까’ 疑問文의 對話 參與者 情報 分布와 恭遜性 硏究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Knowledge and Politeness of ‘-eulkka’)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1.06
27P 미리보기
‘-을까’ 疑問文의 對話 參與者 情報 分布와 恭遜性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9권 / 2호 / 135 ~ 161페이지
    · 저자명 : 신현규

    초록

    신현규, 2021, ‘-을까’ 의문문의 대화 참여자 정보 분포와 공손성 연구, 어문연구, 190 : 135~161 본 연구는 현대 한국어 종결 어미 ‘-을까’의 공손 용법을 제시하고 그 획득의 요체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여기에서 다루는 공손 용법은 상대방이 확실하게 가지고 있을 정보를 요구하는 질문에서 ‘-을까요’를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예컨대 ‘식사하셨을까요?’, ‘어디쯤 오셨을까요?’와 같은 경우에서의 사용을 볼 수 있다. 선행 연구 및 한국어 사전에서는 ‘-을까’의 이와 같은 기능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다. 이는 비교적 최근에 획득된 용법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을까’가 기본적으로 청자의 정보 보유 여부에 대해 가부를 상정하지 않는 [불확정성] 표현이라는 점에 주목해 연구를 진행했다. [불확정성]을 가진 의문 표현을 통하여 화자는 청자에게 정확한 답변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를 전달한다. 이로써 ‘-을까’는 상대방의 소극적 체면을 위협하지 않으려는 장치로서 기능한다. 이와 유사한 예로 일본어의 ‘-でしょう(か)’ 역시도 ‘-을까’와 같은 공손 용법을 가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두 언어의 형식이 모두 [불확실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이 용법 획득의 핵심이라고 주장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esents the politeness function of the ending ‘-eulkka’ in modern Korean and discusses the primary cause of the acquisition of the usage. The politeness use we’re dealing with here is the case of using ‘-eulkka’ in the question that requires the information that addressee has with certainty: For example, you can see the use in cases such as ‘siksa-ha-ssyeo-ss-eulkkayo?(Did you have a meal?)’, ‘eodijjeum-o-ssyeo-ss-eulkkayo?(Where are you?)’. We can not noticed the information about such function in previous studies and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Therefore, It can be presumed to be a relatively recent formed usage.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eulkka’ is basically an expression of the speaker’s [uncertainty] that if the addressee ha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expression of the question with this kind of uncertainty, the speaker conveys the meaning that they do not require the correct answer to the addressee. Through this process, ‘-eulkka’ functions as a device that does not threaten the negative face of the listener. As a similar example, ‘-deshouka’ in Japanese also has politeness usage likes ‘-eulkka’. The meaning [uncertainty] is the primary cause of the acquisition of the usage that both forms of these two langu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