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廣州語 文白異讀 글자들의 특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iterary Reading and Colloquial Reading in Cantonese Dialect)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0.02
22P 미리보기
廣州語 文白異讀 글자들의 특징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언어연구 / 86호 / 231 ~ 252페이지
    · 저자명 : 조은정

    초록

    文白異讀은 같은 글자를 文讀과 白讀으로 구분하여 읽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文讀은 讀書音을 가리키고, 白讀은 白話音을 가리킨다. 하지만 廣州語에서는 반드시 讀書音이 文讀이 되는 것은 아니고, 白話音이 文讀이 되기도 한다. 시기적으로 이르거나 느린 두 가지의 白話音이 서로 융합되면서, 세력이 비교적 강한 白話音이 讀書音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때의 讀書音이 점차 文讀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렇듯 廣州語에서는 文讀이 讀書音이 아닌 白話音의 일종이기 때문에 반드시 讀書音으로 읽히지도 않는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어휘들에 文讀과 白讀이 혼용되어 있어 文讀이 口語에서도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문에서는『珠江三角洲方言字音對照』와『漢語方音字彙(第二版)』에서 발췌한 127개의 글자를 대상으로 분석했는데, 廣州語의 文白異讀 현상은 대부분 開口音 글자들에서 나타났으며(101개), 그 중에서도 梗攝三, 四等韻 글자들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53개). 開口音 글자들은 전체 文白異讀 글자들의 80%를 차지하고 있고, 梗攝三, 四等韻 글자들은 42%를 차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文白異讀 현상은 대부분 細音 글자들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고시기 輕脣音은 白讀에서는 [p] 혹은 [pʻ]로 읽고, 文讀에서는 모두 [f]로 읽는다. 즉 白讀은 雙脣音의 무성무기음 또는 무성유기음으로 읽고, 文讀은 脣齒音으로 읽는다. 이를 통해 白讀은 輕脣音으로 분화되기 이전의 重脣音으로 읽고, 文讀은 輕脣音으로 분화된 이후의 脣齒音으로 읽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中古 輕脣音은 [p], [pʻ](白讀)→[pfʻ](敷母), [bv](奉母)→[f](文讀)와 같은 음운층위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처럼 白讀은 상고음과 전기중고음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고, 文讀은 후기중고음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全濁上聲 글자들은 白讀에서는 陽上인 13調로 읽고, 文讀에서는 陽去인 22調로 읽는다. 全濁上聲은 陽調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으로, 白讀은 원래 성조인 上聲으로 읽어 陽上으로 발음되지만, 文讀은 어음변화과정을 거쳐 ‘全濁上歸去’가 된 陽去로 발음된다. 이들 全濁성모들은 淸化되어 白讀과 文讀 모두 무성음으로 변화되었는데, 陽上으로 읽는 白讀은 성모가 무성유기음으로 변화하였고, 陽去로 읽는 文讀은 성모가 무성무기음으로 변화하였다.
    止攝開口三等韻은 白讀의 경우는 저모음으로, 文讀의 경우는 고모음으로 발음된다. 이들 모음은 [ɐ], [ɛ] → [e] → [i]처럼 점차 저모음에서 고모음으로 변화되었는데, 이를 통해 止攝開口三等韻에서는 모음의 고음화 현상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遇攝合口三等韻의 모음들은 모두 圓脣모음에 해당하는데, 후설모음이 전설모음으로([o] → [ø], [u] → [y]), 저모음이 고모음으로 변화([œ] → [ø] → [y])되었다. 즉 모음의 전설화, 고음화 현상이 진행되었다.
    이와 유사한 현상이 梗攝開口三, 四等韻에서도 나타나는데, [aŋ] → [ɛŋ] →[eŋ]과 같은 음운 층위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모음은 低모음에서 半低모음으로, 半低모음에서 半高모음으로 변화하며([a] → [ɛ] →[e]) 점점 고음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廣州語의 文讀과 白讀은 다른 뜻을 지니는 경우가 많지만, 같은 뜻을 지닌 경우도 있다. 文白이 다른 뜻을 지니는 경우에는 ‘研’이 있는데, ‘연구하다, 탐구하다’를 뜻할 때는 文讀인 [jin21]으로 읽고, ‘갈다, 가루로 만들다’를 뜻할 때는 白讀인 [ŋan21]으로 읽는다. 이와는 달리 ‘廚房(주방)’에서의 ‘廚’는 文白이 같은 뜻을 지니는 경우로, 文讀인 [ʧʻy21]와 白讀인 [ʧʻøy21]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사용하고 있다. 즉 주방은 [ʧʻy21 fɔŋ35] 또는 [ʧʻøy21 fɔŋ35]이라고 하는데, 이렇듯 뜻에 따라 文白을 구분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동일한 어휘에서 文白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영어초록

    The literary reading and colloquial reading is to be divided into literary pronunciation and colloquial pronunciation in the same character. In general, literary reading is used for reading, and colloquial reading is used for speaking. However, Dialect literary reading and colloquial reading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in Cantonese. So this two in the vocabulary are mixed in spoken language.
    This study analyzed 127 characters from A Survey of Dialects in the Pearl River Delta and Hanyu Fangyan Zihui. Most of the literary reading and colloquial reading phenomena in Cantonese Dialect appeared in kāikǒuyīn characters, and the most common among the gěngshè sānděngyùn and sìděngyùn characters. the kāikǒuyīn characters occupy 80% of the total literary reading and colloquial reading characters, and the gěngshè sānděngyùn and sìděngyùn characters occupy 42%.
    The literary reading and colloquial reading which are appearing in Cantonese Dialect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ose are the initials, finals and tones.
    Quánzhuóshàngshēng characters are read as lower departing tone in literary reading, and lower rising tone in colloquial reading. Like this, there is a phenomenon of ‘Quánzhuóshàngguīqù’ in literary reading.
    The difference of literary reading from colloquial reading in finals reside in vowel. For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a front vowel and a back vowel, a single vowel and a long vowel, a close-mid vowel and a open-mid vowel. However, in the case of xiánshè kāikǒu rùshēngyùn, the difference reside in ending. So the characters are read as ending p in literary reading, and ending m in colloquial reading.
    Another feature can be found in the literary reading and colloquial reading in Cantonese Dialect. The pronunciation of early period is read in colloquial reading and the pronunciation of slow period is read in literary reading. For this reason, bilabial is read in colloquial reading and labiodental is read in literary reading, velar nasal is read in colloquial reading and the semivowel is read in literary reading. The phenomena of Quánzhuóshàngshēng is read in colloquial reading and Quánzhuóshàngguīqù is read in literary reading also reflects these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언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