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獬豸像의 도상 변천 - 광화문 해치상을 중심으로 (The Iconographic Developments of the Haechi Statue in the Late Joseon Period – A Study focused on the Haechi Statue at Gwanghwa Gat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2.12
20P 미리보기
조선 후기 獬豸像의 도상 변천 - 광화문 해치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39호 / 101 ~ 120페이지
    · 저자명 : 이성준

    초록

    이 논문은 해치의 도상 변천과정을 통해 조선시대 해치상의 양식변천 과정을 밝히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중국의 기록과 17 세기 공신상에 등장하는 해치 흉배를 살펴봄으로서 조선에서도 17 세기 전반 이전에는 중국의 도상을 충실하게 따르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해치의 도상은 양란 이후 17 세기 후반부터 변화를 시작하여 사자와 결합되는 과도기적인 시기를 거쳐 19 세기 후반 광화문 해치상을 기점으로 조선만의 독창적인 도상이 정립되었던 것을 확인하여 보았다.
    해치 도상의 변화 이유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지만 숙종 이후 조선중화주의에 의거하여 조선의 문화 수준에 깊은 자부심을 느끼며 문화 전반에 걸쳐 중국을 모방하는데서 벗어나 조선만의 고유한 색채가 발현되었던 문화사적 흐름이 주요한 원인이 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해치 도상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는 조선 전기와 후기에 제작된 해치상의 편년 근거로 사용되었다. 조선 전기 작품으로 추정되는 해치상은 주둥이가 앞으로 돌출되어 있고, 머리 중앙에 큰 뿔이 하나 있으며, 온 몸이 비늘로 장식되어 있는 등 17 세기 전반 이전의 도상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경복궁이 창건되는 조선 전기에 작품으로 판단된다.
    조선 후기로 편년되는 해치상은 주둥이가 돌출되지 않았으며, 머리 중앙의 뿔은 나선형의 돌출돌기로 형식화되다가 사라지며, 온 몸을 원형 점무늬로 장식되는 등 조선 전기와는 다른 특징을 보여 중국과는 다른 조선만의 독창적인 해치 도상이 정립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 후기 해치상은 광화문 해치상을 정점으로 하여 제작 기법과 작품 수준이 현저하게 저하되는데, 당시 혼란했던 사회상이 예술작품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dissertation is framed for stylistic developments of the Haechi (a mythical unicorn-lion) statue by investigating iconographic changes of the mythical creature. First of all, according to Chinese records and a rank badge (hyungbae) with the Haechi figure appeared in meritorious retainers’ portraits. Chinese iconography of Haechi was seen in the artwork produced before th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17thcentury. This iconographic characteristic of Haechi started to change since the late 17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At this time it went through a period of transition, and fused with the form of a lion. Finally Joseon’s Haechi iconography achieved its originality of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as seen in the Haechi statue of the late 19thcentury at GwanghwaGate.
    Even though we cannot recognize an exact reason for the transformation of Haechi iconography, it is possible that Sinocentrism after King Sukjong’s reign profoundly affected Joseon society and provided Joseon people with pride in high-developed culture.
    Possibly for these reasons they did not merely copy Chinese culture, but created Joseon’s originality with contemporary cultural flow.
    Research on changes of Haechi iconography was applied to record chronology of the Haechi statue which was manufactured in early to late Joseon period. When it comes to the Haechi statue of early Joseon period, it is characterized by its projecting mouth, a horn in the center of its head and the body covered with scales. These iconographic features are detected in the Haechi statue produced before the early 17th century; therefore it seems that the statue belongs to the work of early Joseon period when Kyeongbokgung Palace was built.
    The Haechi statue recorded as late Joseon period does not have the projecting mouthpart anymore. In addition the central head horn with convoluted projection which appeared in the statue gradually disappeared, and its whole body is decorated with a dotted pattern. These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are totally different from those of early Joseon period. It means that Joseon’s innovative Haechi iconography was developed at that time.
    After the time of the Haechi statue at Gwanghwa Gate, the statue of late Joseon period met a fall in its technical standards. It shows how contemporary social instability in late Joseon period was reflected in art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