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석문을 통해 본 신라 上代 행정실무조직의 발달과정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nforcement Organization of Early Period of Silla Seen through Its Epigraph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2.09
32P 미리보기
금석문을 통해 본 신라 上代 행정실무조직의 발달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107호 / 5 ~ 36페이지
    · 저자명 : 이미란

    초록

    본 연구는 금석문에 보이는 교령 집행조직을 분석하여 이것이 신라 상대의 행정실무조직으로 발전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포항중성리신라비>·<포항냉수리신라비>에서 교령 집행조직은, 喙部나 喙·沙喙의 奈麻와 무관등자로 구성된 임시의 인적조직이었다. 그런데 지증왕대에는 반복되고 지속적인 업무의 경우 東市典과 같이 상설 관부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법흥왕대에는 <울진봉평리신라비>에서의 교령 집행조직과 같이 임시의 인적조직이라도 나마(靑衣)와 그 미만의 관등소지자(黃衣)로 체계화되었다. 진흥왕 22년(561)에 건립된 <창녕진흥왕척경비>에서 법흥왕대에 상설 관부로서의 典이 등장했음을 확인하였다. 6세기 중반 이후의 문자자료에서는 다양한 典名이 등장하는데, 이것은 진흥왕대에는 업무에 따라 다양한 상설 관부로서의 典이 출현하였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다양하게 분화된 행정실무조직 중에서 품류의 典을 통할하기 위해 진흥왕 26년(565)에 전대등이 출현하였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xecuting organs of Kyo-Ryeong(敎令) seen through Epigraphs of Silla, paid attention to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Early Silla. In <Pohang Jungseong-ri stele(浦項中城里新羅碑)> and <Pohang Naengsu-ri stele (浦項冷水里新羅碑)>, the executing organs of Kyo(敎)-Ryeong(令) was a temporary human organization composed of Nama-ranking(奈麻) government official and non-ranking government official belong to Tak or Tak ·Satak. However, during the in King Jijeung Era, permanent organization began to appear in the case of repeated and continuous work, such as Donsi-Jeon(東市典). In King Beopheung Era, as in <Uljin Bongpyeong-ri stele (蔚珍鳳坪里新羅碑)>, the executing organs of Kyo- (敎)-Ryeong(令) was systematized into Nama-ranking(靑衣) government official and less than them(黃衣), even if it was a temporary human organization. Through <Changnyeong Jinheung Cheokgyeong stele (昌寧眞興王拓境碑)>, which was built in the 22nd year of King Jinheung (561), It was confirmed that Jeon(典) appeared as a permanent organizationl during the Beopheung Era. Many different Jeon(典) appear in epigraphic material after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which means that during the Jinheung Era, various permanent organization appeared according to their work. It was considered that Jeondaedeung(典大等) appeared in the 26th year of King Jinheung (565) in order to control the variously-differentiated Jeon(典).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