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2000년대 광화문 공간의 재구축에서 ‘전통과 현대’ (“Tradition and Modernuty” in the renewal of “space of Gwanghwamun Gate” from the 1960s to the 2000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2.03
16P 미리보기
1960-2000년대 광화문 공간의 재구축에서 ‘전통과 현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4권 / 3호 / 911 ~ 926페이지
    · 저자명 : 염복규

    초록

    이 논문은 2022년 7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의 완료에 즈음하여 1960년대 이래 ‘광화문 공간’의 역사적 변천을 살펴본 것이다. 1960-2000년대 광화문 공간의 변형의 저류에는 ‘전통의 복원’과 ‘현대의 질주’라는 상반된 욕망이 다양하게 뒤얽혀 있었다.
    이는 크게 두 단계로 나뉘어진다. 1960-70년대 박정희 정부의 발전국가는 중앙청 복구를 시작으로 광화문 공간을 전통의 동원과 현대의 건설이라는 두 축의 상징정치의 전시장으로 만들었다. 이순신동상 건립, 광화문 중건이전자라면 광화문지하도 건설, 세종로 확장은 후자에 해당한다.
    1980-2000년대 민주화 이행과 선진국 진입의 국면을 거치며 광화문 공간에서는 전통과 현대의 균열이 일어나고그를 봉합하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었다. 경복궁 복원, 구 조선총독부 건설 철거, 광화문 목조 복원, 광화문광장의건설 등이 그것이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완성된 광화문광장은 서로 다른 여러 역사적 상징성이 중첩된 복합적인 역사 공간이라고할 수 있다. 앞으로 광화문광장은 이런 다양한 역사적 흔적을 미래로 전달하는 매개체가 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the “space of Gwanghwamun Gate” since the 1960s, on the occasion of the completion of the restructuring project of the Gwanghwamun Square in July 2022. From the 1960s to the 2000s, this iconic center of the capital Seoul was transformed by two conflicting desires to reconstruct tradition and accelerate modernity.
    Its transition process can be divided into two phases: First, during the 1960s-70s, the Park Chung Hee regime, a ruthless driver of development, made Gwanghwamun an exhibition site of symbolic politics based on mobilizing tradition and constructing modernity. In its initial stage, Jungangchung, the colonial government building, which was partly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was restored. As a traditional landmark, a statue of Admiral Yi Sunsin of the Chosun dynasty was erected and Gwanghwamun, the main gate of Gyeongbok Palace was reconstructed. For promoting modern infrastructure, the Gwanghwamun underpass was constructed under Sejongro, the main streets along the area, which was also expanded.
    In the second phase, during the 1980s 2000s, Korea became one of the more democratic and developed countries, and the space came to reveal the fissur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attempts of reconciling two conflicting forces. Several major projects took place in the area: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the demolition of Jungangchung, the restoration of wooden structures of Gwanghwamun, the construction of the Gwanghwamun Plaza.
    Today, Gwanghwamun Plaza has become a space with complicated historic significance, where several different symbolisms overlap one another and should bear testimony of this complicated historic legacy to the future gen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