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하대 선종 미술의 모태, 실상산문의 불교미술품 (Buddhist Art of the Silsangsan School, Cradle of Art of the Korean Seon Buddhism in the Later Silla Period)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8.07
36P 미리보기
신라 하대 선종 미술의 모태, 실상산문의 불교미술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전북사학 / 53호 / 5 ~ 40페이지
    · 저자명 : 진정환

    초록

    선종의 유입과 확산은 신라 하대 불교계는 물론 신라 사회 변화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주지하다시피 신라에 북종선은 혜공왕대 신행에 의해, 남종선은 821년 도의에 의해 전해졌다. 그러나 가장 먼저 왕실의 공인을 받은 산문은 중국 당나라에서 남종선을 수학하고 826년 귀국한 홍척이 개창한 실상산문이었다.
    본고의 목적은 조성시기, 존명과 수인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고 있는 실상사 철불좌상에 대한 검토를 통해, 철불 역시 필자가 이미 고찰한 바 있는 고복형 석등과 팔각원당형 승탑과 마찬가지로 통일신라 선종미술의 원형이 실상사에서 시작되었음을 밝히는 데 있다.
    결론적으로 실상사 철불좌상은 양식적 특징을 고려하면 840년 무렵 조성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존명과 수인은 노사나불로 여기는 최근의 주장은 아직까지 검증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신라 왕실과 실상사와의 관계를 고려할 때 조성 당시부터 복장에서 나온 아미타수인을 맺은 아미타불일 가능성이 높다.
    실상사 철불은 물론 고복형 석등과 팔각원당형 승탑의 조성시기 역시 840년 무렵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홍척에 의해 826년 무렵 개창한 실상산문이 불과 14년이 흐른 시점에 대규모의 중창불사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 중창불사를 진두지휘한 인물은 다름 아닌 홍척의 제자이며 실상산문의 제2조인 수철이었다. 선종사상은 물론이고 화엄교학, 산악신앙이나 비보신앙 등 속신신앙까지 두루 섭렵하였던 수철은 홍척의 입적과 함께 실상사로 되돌아오기 전 수많은 탑과 불상을 보며 나름의 안목을 키우고 새로운 불교미술품을 구상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와 같은 사상적 자유로움과 넒은 경험과 식견으로 조성된 실상산문, 실상사의 불교미술품은 조성 이후 같은 실상산문은 물론이거니와 다른 산문, 더 나아가 해인사, 화엄사, 청량사 등 교종(화엄종)사원에까지도 영향을 끼쳤다. 이처럼 실상사의 불교미술품은 ‘신라 하대 선종 미술의 모태’였다고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The arrival and spread of Seon (Chan or Zen) Buddhism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Silla kingdom (57 BCE - 935) resulted in important changes to society and Buddhism in Silla. It was during the reign of King Hyegong (r. 765-780) that Northern Chan Buddhism was introduced to Silla by a monk named Sinhaeng, while Southern Chan Buddhism was brought to Korea in 821 by the monk Doui. The first school of Korean Seon Buddhism to be officially acknowledged by the Silla ruler was the Silsangsan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by Hongcheok in 826 after his return from Tang Dynasty China (618-907), where he had studied under the Southern School of Chan Buddh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cast iron statue of the seated Buddha enshrined in Silsangsan Temple, for which there are many different views about its production date, name and symbolic hand gesture (mudra), and to demonstrate that the statue - together with the hourglass-drum shaped stone lantern and the octagonal stone stupa - originated from Silsangsa Temple, and, therefore, that the temple was a cradle of art for the Korean Seon Buddhism that develop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676-935).
    The artistic style of Silsangsa Temple’s cast iron Buddha statue suggests that it was made around 840. While the latest view is that the statue represents Rocana Buddh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yal family of Silla and Silsangsa Temple, and the offerings discovered in the statue’s hidden repository suggest that it is closer to Amitabha Buddha.
    The hourglass-drum shaped stone lantern and the octagonal stone stupa of Silsangsa Temple are also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about 840, suggesting that the temple underwent a major renovation and enlargement project just fourteen years after its foundation by Hongcheok in 826. The project was organized and supervised by Sucheol, Hongcheok’s head pupil and the second patriarch of the Silsangsan School of Buddhism. The studies conducted so far suggest that Sucheol had comprehensive knowledge of contemporary folk beliefs, including those of Pungsu (or Feng Shui), as well as the Avatamsaka philosophy and the Buddhist art represented by stone pagodas, and state that he returned to Silsangsa Temple in order to succeed his tutor, Hongcheok, who had just died.
    The Buddhist art works of Silsangsa Temple, which reflect Sucheol’s ideological freedom, comprehensive knowledge and artistic experience, exerted a strong influence on the works produced not only for the temples of the Silsangsan School of Buddhism but also for those of the Avatamsaka School, such as Haeinsa, Hwaeomsa and Cheongnyangsa. This leads one to conclude that the works of Buddhist art at Silsangsa Temple formed a cradle for the art of the Korean Seon Buddhism that developed during the late Silla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