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3·1독립운동 전후 쑨원(孫文)의 한국 인식 연구 (A Study on Sun Wen’s Perception on Korea Before and After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0.12
28P 미리보기
3·1독립운동 전후 쑨원(孫文)의 한국 인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7호 / 101 ~ 128페이지
    · 저자명 : 김승일

    초록

    3·1독립운동 성격의 비폭력성에 대해서는 역사적 측면에서만 검토되었지, 법적인 검토는 안 이루어졌었다. 그러다가 최근에 법률적 차원에서의 검토 결과와 역사연구의 결과가 연결되어지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이 대두되었다. 즉 3·1독립운동에 참가하여 체포된 수많은 사람들이, 처음에는 내란죄 및 소요죄, 그렇지 않으면 구한국의 법률인 보안법과 출판법, 총독부의 정치범죄처형령 등의 법에 적용되어 구속되었었는데, 최종심리가 진행된 고등법원에 이르면 이들 법을 그들에게 적용하기가 곤란하여 당시 판결을 내려야 하는 담당자들이 대단히 곤란해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 결과 당시 실무자들이 적용한 법률과 그 결과에 대한 재검토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에 의해서 새롭게 3·1독립운동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사실을 알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시각을 통해서 여심→지방법원 판결→복심법원 판결→고등법원 판결을 계통적으로 정리하면 3·1독립운동의 비폭력적 성격을 보다 명확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되어, 일본기독교대학의 사사가와 노리가츠(笹川紀勝) 교수와 필자가 이들 판결문을 수집하고 정리하기에 이르러, 『3·1독립운동 판결정선』이라는 책을 출간하였고,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나머지 판결문을 찾아서 정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판결문을 중심으로 3·1독립운동의 성격에 대해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3·1독립운동을 옆에서 눈여겨 본 쑨원이 한민족의 역량을 재평가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가는 그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바로 이와 같은 쑨원의 한국에 대한 인식의 변화 상황을 3·1독립운동이 끝나가는 무렵인 1920년대 전반기를 전후하여 비교 연구한 것이다.
    이러한 검증을 바탕으로 향후에는 3·1독립운동이 쑨원의 삼민주의 사상 정립과 연아용공 정책에 미친 영향, 그리고 3·1독립운동을 기점으로 쑨원의 일본관 변화의 추세도 추적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문에서 살펴본 바처럼, 쑨원은 초기에는 한국을 중화주의적 영토관념에서 보아왔고, 그러한 관점하에서 본 한국의 식민지화는 중국의 것을 일본이 빼앗아 갔다는 강대국 간의 이해관계에만 머물러 있었기에, 초기 한국 독립운동당인들에 대해서는 그다지 관심을 보이지 않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창혁명 과정에서 보여진 한국독립운동가들의 활동과 본인이 이끌고 있던 호법정부의 미약함에 의한 의지처의 탐색, 그리고 국내외 정세의 변화에 따른 친일적 감정의 쇠퇴 등에 따라 서서히 한국독립운동가들과의 교류가 본격화 하게 됐고, 급기야 그들과의 교류를 통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주고받으며 약소국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는 과정에서 3·1독립운동과 5·4운동을 통한 민중의 역량을 보면서 중국의 민족모순을 갈파하게 되었고, 그 결과 지나청년과 한국인청년단과 쑨원 3자가 연결되게 되었으며, 결국 조선의 독립운동과 쑨원의 동지적 관계가 굳건하게 되어져 갔던 것이다. 그러는 가운데 조선 망국의 비극을 교훈으로 삼으며 일본의 침략적 팽창정책을 전환하도록 요구해 나가게 되었던 것이니, 쑨원은 대일투쟁에 온 힘을 기울이던 한국의 현실로부터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고, 그 결과 한국 독립운동에 대해 열심히 원조하게 되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Non-violence of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was examined only on the historical side and its legal side was not studied. Recently a new study of method to connect the study on its legal side with its historical study emerged. Lots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and were arrested were brought into custody for rebellion, sedition or the viola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the publication law based on the ex-Korean law or the violation of the order of punishment on political offence enac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others at first, however, as it was difficult for High court for the final hearing to apply these laws to them and the persons in charge to make their decision were in trouble. As a result, it was known that it was necessary to review the law applied to them by the persons in charge and their decision. It was known hereby tha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newly.
    In case that the decision of a preliminary hearing, the ruling of a district court and decision of a high court were arranged systematically from this viewpoint, I was sure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more clearly uncover the nature of non-violence of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Mr. Sasagawa Norigatsu, the professor of Japan Christian Institute and I got to collect and arrange the rulings and published a book “The well selected rulings on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And we still look for and arrange the rest of the rulings.
    In the course of review of the nature of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centering around the rulings, Sun Wen got to revalue the capacity of Korean people and we could get a sense of his perception change to support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article I made a comparative study of Sun Wen’s perception change on Korea before and after the early 1920s toward the end of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On the basis of this investigation, I think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trace the influence of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on Sun Wen’s thesis of “the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and his policy to struggle against imperialism of Western powers through cooperation with communist powers, and his change of view on Japan as of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In his early stage he looked Korea on the basis of the Sinocentric territorial concept. As his viewpoint at that time was in interests between big countries, that is,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meaned that Japan deprived China of Korea, he was not so much interested in the members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But according to the activity of the members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appeared in the course of armed revolution, his searching for a place to lean on due to the weakness of Guangdong government (護法政府) led by him and the decline of pro-Japanese feelings due to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ange of situation, he gradually buckled to exchanges with the members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Finally giving and taking a new possibility through exchanges with them, he got to be interested in minor powers.
    In this course, he found capabilities of the mass of the people through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and May Fourth Movement and he got to scold people conflicts in China. In the end, Chinese young men, a Korean young men’s association and Sun Wen were connected and comradeship betwee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Sun Wen got to be strong and steady. Learning a good lesson from a tragedy of Korean national decay, he demanded the switch of the Japanese aggressive expansionist policy. He learned lots of things from Korea’s real situation, which struggled against Japan with all its might and got to enthusiastically support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