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甲骨文 字形에 반영된 商代의 身體 裝身具 (The Body accessory in the Shang Dynasty of Ancient China Represented in Oracle Bone Script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8.03
20P 미리보기
甲骨文 字形에 반영된 商代의 身體 裝身具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42호 / 29 ~ 48페이지
    · 저자명 : 김영현

    초록

    갑골문 字形을 통해 상대의 신체 장신구에 대하여 문자학적인 관점에서 고찰하여 본 결과, 상대 신체장신구는 대표적으로 목걸이, 귀걸이, 비녀, 두건, 짐승의 꼬리, 모자, 패옥, 깃털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신체 장신구들은 미적인 기능과 신분표시기능으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미적 기능으로서의 신체 장신구는 목걸이, 귀걸이, 비녀, 두건, 짐승의 꼬리가 이에 속했다. 갑골문자에 보이는 상대 목걸이는 주로 조개가 일반적인 재료로 사용되었으며 주로 부녀자들이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을 엮어 만든 귀걸이는 오늘날의 실을 엮어 만든 일종의 매듭과 흡사하며, 옥이나 금속 장식의 귀걸이와 달리 사회적 신분이 비교적 낮은 계층들이 이러한 매듭귀걸이를 이용하였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비녀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머리를 질끈 묶어 흘러내리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사용하였다. 비녀는 하나만 고정시켜 사용한 것이 아니라 두 세 개의 비녀를 꽂은 형태의 글자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는 비녀의 기능적인 측면을 떠나 점점 미적인 기능이 확대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오늘날의 머리핀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상대는 짐승의 꼬리를 신체의 일부에 달아 장신구로도 활용하였다. 특히 당시 호랑이의 꼬리가 장신구로 발달한 것은 몸치레를 하여 자기를 돋보이기 위한 욕구에서뿐만 아니라 주술적인 의도도 다분히 지녔을 가능성도 보인다.
    둘째, 신분표시 기능으로서 신체 장신구에는 모자, 패옥, 깃털이 이에 속했다. 상대의 모자는 다양하고 화려한 장식을 한 관모의 성격에 더 가깝다. 이러한 관모에는 새의 머리, 혹은 동물의 뿔을 이용한 장식을 하였는데, 이는 착용자의 신분을 나타냄으로서 시선을 집중시키고 돋보이기 위한 미적 요소로 활용되었다. 특히 갑골문 ‘王’자는 왕관모양을 형상화한 글자이며, ,(皇)처럼 왕관에 여러 모양의 장식을 더하여 한층 더 높은 계급임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상대 패옥은 주로 허리에 차고 다니는 오늘날의 노리개에 가까웠으며, 이는 착용하는 사람의 사회적 신분을 나타내는 중요한 기능을 하였다. 패옥은 귀족들의 전유물로서 매우 중히 여기는 그들만의 가질 수 있는 장식품이라 할 수 있다.
    상대의 깃털 장식은 주로 머리 혹은 모자에 치장을 하는 장신구로서 신체의 가장 높은 위치에 사용됨으로서 귀족이나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의 사회적 신분을 강조하기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tarted from an inquiry to investigate how people in the Shang dynasty of ancient China showed in pursuit of aesthetics. Thus, the following details are findings by exploring the pattern of pursuing beauty by people in the Shang dynasty through interpreting forms of oracle bone scripts in terms of graphonomy.
    First, there are traces from wearing many accessories on their bodies to seek for beauty. Earrings and necklaces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jade and shells were significant cosmetic materials to boast their beauty. Particularly they used tiger tails as accessories, which represent beauty and rarity at the same time.
    Second, people in the Shang dynasty exhibited beauty by putting various decorations on their heads. They used Korean hairpins to bind and fix their hairs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Korean hairpins were initially made of branches. This provides evidence that they considered an aesthetic function in terms of functional aspect of jade or teeth-made Korean hairpins. In addition, sheep horns were used as decorations on their heads, which indicates that they believed that sheep were regarded as white and pure animals and they could dress up well if these horns are put on their bodies.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hey attempted to pursue beauty and its pattern by interpreting forms of oracle bone scripts. It is challenging to identify how people in the Shang dynasty approximately dating back to 3,000 years strived to look beautiful or boast their individual features. However, the ancient history, culture, and letters can illuminate their life. Oracle bone scripts, in particular, reveal the entire history of the Shang dynasty.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the outline of their lifestyle in the past will be more clear if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oracle bone scripts and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s are thoroughly conducted. By doing so, what cloth and what patterns of clothes they wore, how they showed off beauty by placing accessories on their heads, and their principle of fashion by putting accessories can be clearly identif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