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雲門寺 소장 불교공예품의 현황과 특징 고찰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and the Characteristic of Buddhist Crafts in Unmunsa Templ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8.06
28P 미리보기
雲門寺 소장 불교공예품의 현황과 특징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0호 / 151 ~ 178페이지
    · 저자명 : 최응천

    초록

    운문사에 소장된 공예품 가운데 작압전 출토 사리장엄구 일괄은 1987 년 10 월 작압전 해체 복원당시 이곳에 봉안되어있던 석불좌상의 대좌 아래에서 발견된 것이다. 납석제 유개원합, 청동제 사리병, 숭덕칠년명 유제 뚜껑, 영락통보, 원형대소환옥, 소석편으로 구성되었다. 납석제 유개원합에 새겨진 명문을 통하여 사리합은 당시 탑에 2 과의 사리를 안치하고자 통일신라 경문왕 5 년인 865 년에봉안된 것으로서 납석제로 제작된 점에서 통일신라 9 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일련의 신라 하대 사리기와 연맥을 같이한다. 안치된 청동제의 사리병은 고려 초기에 그 예가 많다는 점에서 이 사리병의제작 시기에 대해서는 좀 더 검토가 요구된다. 또한 숭덕 7 년의 명문을 지닌 유제 뚜껑을 통해 조선시대 1645 년에 작압전에 대한 세 번째의 중수가 이루어졌으며 시주를 했던 10 명의 명단과 대목의인명이 확인되어 조선중기 이후 운문사 중수 공사의 세세한 일면을 파악할 수 있다. 영락통보 동전이함께 발견되는 것은 단순한 공양구라기 보다 중수 당시의 기념적 유물을 함께 넣은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운문사 사리기를 보호한 석조 사리외함이 운문사 작탑과 유사한 분황사 전탑 사리기 외함과달리 백제식의 지하식 사리 장엄 방식을 따른 점에서 원 작압전의 건축 시기가 지금 알려진 것보다훨씬 앞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운문사 공예품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청동 항아리는 지금까지의 용도와 달리 뚜껑 위에 장식된 독특한 화염 보주형으로 미루어 사리기 내지 경통처럼 사리와 관련된 보관용기로 쓰였을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여기에 1067 년에 중수되었다는 명문의 내용은 이 화염보주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추측되며 몸체는 그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통일신라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밝혀보았다.
    이 밖에 운문사 옥등은 비록 명문은 없지만 고려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불연은 바닥에 기록된 조련기의 분석을 통해 1688 년에 중하연으로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연을 제작한사람은 화원 정심(淨心)이란 승장으로 파악되었다. 당시 연을 만들 때 조역승 200 여명이 동원된 사실을 기록하여 운문사의 사세 뿐 아니라 불사에 많은 승려들이 동원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전패는 조선후기 명문 있는 불전패와의 비교를 통하여 17 세기 후반쯤 제작된 삼전패(三殿牌) 가운데 하나일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묵서명이 기록된 1682 년에 이말남(李唜男)에 의해 만들어진 목조 대경함과 1688 년에 만들어진 목조경상은 조선 후기 사찰 목공예품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명문이 남아있지 않은 운문사 대종의 제작 시기는 19 세기 전반에서 중엽 쯤, 목어 역시 그와 유사한 19 세기 정도로 편년되었다.
    운문사의 불교공예품은 비록 그 수량은 많지 않지만 통일신라의 사리장엄구와 청동 항아리와 같은 우리나라 공예사 연구에 빼 놓을 수 없는 매우 귀중한 작품이 남아있다는 점에서 운문사가 지닌비중을 증명해 준다.

    영어초록

    The Sarira reliquaries of Unmunsa temple was founded in October 1987 under the pedestal of the seated Buddha at the time of the demolition of Jakapjeon hall. This sarira reliquaries consist of the bowl with lid made of agalmatolite, bronze bottle, the lid with inscription 'Chongde 7th, Yongle Tongbao(永樂通寶), and the small stone. According to the inscriptions on the bottom of the lid, this sarira reliquaries was enshrined to put two sarira in the stupa in 868, the fif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mun.
    It is likely that the bronze bottle inside stupa was made in the Goryeo perio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hird renovation of the Jakapjeon hall was carried out in 1645 through the lid with inscription 'Chongde 7th. The Yongle Tongbao(永樂通寶) was considered to be the monument of the renovation.
    The most important bronze jar of all the buddhist crafts has been used as a sarira reliquary or a container related to sari like a sutra case. The inscriptions ‘had been repaired in 1067’ on the shoulder of the body shows that the repair was carried out centered on the flame ornament, the body was made in the Unifed Silla.
    The jade lantern of Unmunsa temple is supposed to be made in late Goryeo period. Of all the wooden crafts the buddhist palanquin that has a inscriptions was made in 1688. The man who made the buddhist palanquin was a monk craftsman, Jeongsim, and the two hundreds monk were joined to make a palanquin.
    The buddhist tablet of Unmunsa temple is supposed to be one of the three tablets for royal family made in 17th century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buddhist tablet with a inscriptions. Also the wooden sutra container made in 1682 and the wooden sutra table made in 1688 which were made by Lee Malnam.
    It is assumed that the big buddhist bell of Unmunsa temple without inscriptions made in the middle of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rough the style comparison. It is also estimated that the wooden fish was made around the same time.
    Although the Buddhist artifacts of Unmunsa temple are not much in quantity, the works of Unmunsa temple is still very valuable in the history of Korean crafts such as the sarira reliquary of Unified Silla and bronze jar which proves the importance of Yunmunsa.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