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계학맥 문인록을 통해 본 강우 유학의 전개 (The Development of Gang-u(江右) Confucianism through the Record of Disciple(門人錄) of the Academic Lineage of Toegye(退溪學脈))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4.08
50P 미리보기
퇴계학맥 문인록을 통해 본 강우 유학의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81호 / 233 ~ 282페이지
    · 저자명 : 김지은

    초록

    16세기 이후 영남은 퇴계학파와 남명학파의 경쟁과 유대 속에서 독보적인 학문적 위상을 확보하였다. 인조반정 이후 강우의 남명학파는 큰 위기를 맞이하였지만, 퇴계학파와의 연계 및 흡수를 통해 돌파구를 모색하였다. 퇴계학파 또한 영남의 학문적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그 외연을 넓혀가며 강우의 지식인을 포섭하였다. 이 글에서는 퇴계학맥 문인록에 포함된 강우지역 문인에 주목하여 강우 유학의 지형에서 그 학맥이 전승‧확산‧변화 되어간 흐름을 계량적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추적해 보았다.
    이황 이후 다수의 강우 유림은 인조반정을 거치며 성주의 정구와 장현광을 중심으로 한 퇴계학맥으로 흡수되었고, 상주의 정경세는 남명학파와 거리를 둔 채 독립된 문인집단을 형성하였다. 영남의 서인화 경향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17세기 중반 이현일은 안동을 중심으로 한 퇴계학파의 재결집을 시도하였다. 그는 진주권의 남명학파와 직접적으로 연대하며 퇴계학맥의 외연을 확대해 갔고, 분열된 영남학파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강우지역 내 유림의 와해는 가속화 되었고 18세기 이상정에 이르러 두 학파 간의 연대는 보다 느슨해진 양상으로 변화하였다.
    19세기 초 안동의 류치명은 강우 전역으로 퇴계학맥의 영향력을 확대하였지만, 김흥락에 이르면 그 영향력은 축소되었다. 연계 양상도 이전과는 달랐으며, 문인 구성도 크게 변화하였다. 류주목은 과거의 독립성을 극복하고, 문인집단의 범주를 강우로 확대하였다. 장복추는 성주 일대뿐만 아니라 거창‧합천‧창녕 등 낙동강 중류의 강우 문인을 집중적으로 흡수하였다. 이 같은 변화는 강우지역 내 퇴계학맥 학자들의 결속력이 견고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허전을 중심으로 한 강우 유림의 재결집과도 연관이 있다.
    17세기 이후 지리적 이점을 갖춘 성주‧고령‧밀양 외 진주‧창녕‧산청‧삼가‧합천 등 남명학파의 중심 지역이 퇴계학맥과 많은 관련을 맺고 있는데, 이는 ‘영남학파’라는 학문적 동질감을 배경으로 유학의 명맥을 이어가고자 한 노력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고성‧사천‧안의‧의령‧칠원은 상대적으로 안동권 퇴계학맥과 연관성이 높은 곳들이며, 거창‧김해‧하동‧함양은 성주권 퇴계학맥과의 영향력이 높았다. 문인 중첩 또한 이들 지역에서 활발했는데, 그들은 19세기 강우 유학계에서 중요한 일원으로 활약하였다.

    영어초록

    Since the 16th century, the Yeongnam region secured a distinctive academic status through the competition and connections between the Toegye School(退溪學派) and the Nammyeong School(南冥學派). After the Injo Banjeong(仁祖反正), Nammyeong School in the Gang-u area faced a significant crisis, but it sought a breakthrough by establishing ties with and being absorbed into the Toegye School. The Toegye School also expanded its influence to secure academic leadership in the Yeongnam region by incorporating intellectuals from Gang-u a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scholars from the Gang-u area who are included in the record of disciple the Toegye academic lineage, analyzing quantitatively the transmission, spread, and transformation of that scholarly tradition within the landscape of Gang-u Confucianism.
    After Yi Hwang(李滉), many Confucian scholars from the Gang-u region were integrated into the Toegye academic lineage centered around Jeong Gu(鄭逑) and Jang Hyeon-gwang(張顯光) of Seongju following the Injo Banjeong. Meanwhile, Jeong Gyeong-se(鄭經世) of Sangju distanced himself from the Nammyeong School and formed an independent scholarly group. In the mid-17th century, Yi Hyeon-il(李玄逸) attempted to reorganize the Toegye School around Andong. He actively collaborated with the Nammyeong School in Jinju, expanding the reach of the Toegye academic lineage and striving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fragmented Yeongnam School. By the 18th century, the alliance between the two schools became more relaxed. In the early 19th century, Ryu Chi-myeong(柳致明) from Andong expanded the influence of the Toegye academic lineage throughout the entire Gang-u region, but by the time of Kim Heung-rak(金興洛), this influence had diminished once again. Ryu Ju-mok(柳疇睦) overcame the previous independence of his scholarly group and expanded its scope to include the Gang-u region. Jang Bok-chu(張福樞) actively absorbed scholars not only from the Seongju area but also from the mid-Nakdong River regions, such as Geochang, Hapcheon, and Changnyeong. These changes were also linked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Gang-u Confucian scholars centered around Heo Jeon.
    Since the 17th century, Jinju and other central regions of the Nammyeong School have maintained significant connections with the Toegye academic lineage. This was driven by efforts to sustain the continuity of Confucianism, grounded in the scholarly solidarity of the "Yeongnam School" The overlap of scholars in these regions was also active, and they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Confucian academic circles of Gang-u in the 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