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秋史 金正喜의 尙書 今古文論과 僞書考證 (Chusa(秋史) Kim Jeonghui(金正喜)'s Demonstration of Authenticity of the “New Text” and the “Old Text” Chapters in Shangshu(尙書))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2.06
34P 미리보기
秋史 金正喜의 尙書 今古文論과 僞書考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28권 / 107 ~ 140페이지
    · 저자명 : 김만일

    초록

    이 논문은 완당집에 수록된 추사 김정희의 상서에 대한 저술과 응와 이원조의 문집에 실린 「위고문십육언설변」에 대하여 분석ㆍ고찰한 것이다. 김정희는 한대에 출현한 상서 금문 고문에 대하여 밝히고, 이것과 비교를 통하여 매색의 고문상서공전이 한대 상서의 금문ㆍ고문과 관련이 없는 위서임을 고증하였다. 또한 채침의 서집전이 매색본을 이어 받은 것을 밝혔다.
    상서 금문과 고문의 전래과정과 변천을 기준으로 하여 금문을 두 가지로 고문은 네 가지로 분류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서집전』의 고문은 당대에 개작된 곽충서의 고문을 이어 받은 것이며 금문 또한 당대에 위포의 개작본을 이어 받은 것으로 한대의 금문 고문과는 다른 것임을 밝혀냈다. 김정희는 금문ㆍ고문에 대한 분류를 통하여 채침전의 오류를 지적하고 채침전에만 의거하여 금문ㆍ고문을 논한다면 왜곡된 결론에 이를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이것은 당시 조선에서 채침의 『서집전』을 유일의 주석본으로 사용해온 것에 대하여 문제점을 제기한 것이다. 김정희가 「상서금고문변」을 통해서 고증하고자 한 것은 매색의 『고문상서공전』이 위작임을 밝히고 채침의 『서집전』의 오류를 밝히려는 것이다.
    응와 이원조의 문집에 실린 「위고문십육언설변」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이 글 가운데 김정희의 글이 인용되어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人心惟危, … 允執厥中’의 열여섯 글자가 『순자』에서 나왔으며 매색이 만든 것이라고 밝힌 김정희의 「위고문십육언설」의 일부를 확인하였다. 제주목사였던 이원조는 제주 대정으로 유배 온 김정희로부터 「위고문십육언설」을 받아 보고서, 이에 대해 고증학적 방법으로 경전을 연구하려는 것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김정희의 설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비판하였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on Chusa(秋史) Kim Jeong-hui(金正喜)'s demonstration of authenticity of two versions of Shangshu(尙書; Sangseo in Korean), a.k.a. the Book of Historical Documents through analyzing his Sangseo Keumkomun Byun (尙書今古文辨), Demonstration of Jinwen and Guwen versions of Shangshu and Wikomun Sipyukeonseol Byun(僞古文十六言說辨), Demonstration of Kim Jeonghui's Comment on the Forged Guwen Sixteen-letter Phrase included in Eungwajip (凝窩集) by Yi Won-jo(李源祚). Shangshu had had two versions from Han dynasty. One version was written in Jinwen (今文; the "Old Texts"), and the other was written Guwen (古文; the "New Texts"). Guwen version is also known as the version of Mei Ze(梅賾) who found and presented it to a emperor in Eastern Jin(東晉) dynasty. Mei Ze's version was Guwen Shangshu Kong Anguo Zhuan (古文尙書孔安國傳), Guwen Shangshu annotated by Kong Anguo. The authenticity of two versions had been a highly controversial topic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Kim Jeong-hui added his own historical consideration and analysis to the long list of controversy.
    Kim Jeong-hui classified Shangshu into three groups that were a Jinwen version, a Guwen version, and a scattered and lost version. He analyzed the table of contents of Mei Ze's version, and compared it with Jinwen and Guwen versions of Han dynasty. He concluded that Mei Ze's was a fabricated book. He also ascertained that Mei Ze's was selected to Shangshu Zhengyi (尙書正義) in Thirteen authorized compilation of Confucian classics compiled in Tang dynasty, and that Zhu xi (朱熹)'s disciple Cai Chen (蔡沈)'s Shujizhen (書集傳), annotation of Shangshu adopted Mei Ze's version. Kim Jeonghui's argument gave Chosun a shock because Cai Chen's Shangshu was the most influential in Chosun dynasty.
    Kim Jeonghui classified Guwen Shangshu into four groups and Jinwen into two groups. Through this classification he demonstrated that Guwen and Jinwen Shangshu labelled by Cai Chen in his Shujizhen cannot be the original Guwen and Jinwen versions in the days of Han dynasty. He emphasized that the demontration of Jinwen and Guwen Shangshu on the basis of Cai Chen's classification, therefore, would be misled into the wrong conclusion. Chosun dynasty became to acknowledge the fallibleness of Cai Chen's Shujizhen by Kim's raising a question.
    Kim Jeong-hui's Wikomun Sipyukeonseol (僞古文十六言說), Comment on the Forged Guwen Sixteen-letter Phrase in Shangshu is not included in his own collection of works called Wandangjip (阮堂集), but partly included in Yi Won-jo's collection called Eungwajip. In his demonstration Yi criticized Kim's argument, and Kim's original comment can be inferred from Yi's writing. Kim Jeonghui insisted that the Sixteen-letter Phrase (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 The mind of man is restless, prone to err; its affinity for the right way is small. Be discriminating, be undivided, that you may sincerely hold fast the Mean.) in Shangshu's Dayumo (大禹謨: the Counsels of the Great Yu) Chapter was from Xunzi (荀子), and that Mei Ze rephrazed and manufactured it. This was rearranged from Yan Ruoqu (閻若璩)'s Shangshu Guwen Shuzheng (尙書古文疏證), A Critical Commentary on the "Old Texts" Chapters in Shangshu. Yi Wonjo held an unfavorable opinion of Kim's argument by saying that the Sage's mind cannot be demonstrated by syntactic analysis. Yi maintained his opinion that the Sixteen-letter phrase must be a genuine saying of the ancient Sage, and that therefore it cannot be manufactured in after ages.
    Kim Jeong-hui adopted various achievements of Qing dynasty scholars such as Yan Ruoqu, and attempted his own demonstration on the fabricated "Old Texts" chapters of Shangshu. This thesis gave the first attention towards a hitherto unknown text of Kim Jeonghui's comment on Shangshu in Yi Won-jo's writing, and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Kim developed his argument on the text of Shangshu, which will help to grasp an entire picture of his study on Confucian class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