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 도봉서원 하층 영국사지 출토 금석문 자료 소개 (An Introduction to Epigraph Inscriptions excavated at Temple site in Yeongkuksa the lower layer of Dobongseowon, Seoul)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8.06
37P 미리보기
서울 도봉서원 하층 영국사지 출토 금석문 자료 소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20호 / 377 ~ 413페이지
    · 저자명 : 박찬문

    초록

    도봉산(道峯山) 도봉 계곡에서는 율곡 이이가 쓴 ‘도봉서원기’에서처럼 고려∼조선시대 도봉산 영국사와 조선시대 도봉서원이 한 자리에서 확인되었다.
    도봉서원은 조선의 사림정치 이념을 대표하는 정암 조광조와 우암 송시열을 병향했던 사액서원이다. 1573년(선조 6) 영국사 터에 건립되어 임진왜란을 비롯한 여러 전란과 자연재해로 불타거나 쓸려간 건물들이 지속적으로 재건되었으며, 많은 문인들이 서원과 계곡을 찾아와 시와 글을 남겼다.
    도봉서원 복원을 위한 발굴 조사 결과, 도봉서원은 철저하게 훼철되었고 건립할 때 영국사의 주요 건물 기단 등 건축 시설과 부재를 활용하여 명확한 배치를 확인할 수 없었다. 오히려 실체가 불분명했던 영국사와 관련된 통일신라시대 건물지 기단 확인, 고려~조선시대 건물지 기단과 ‘견주도봉산영국사 혜거국사비’, 석경, 석각 천자문, ‘도봉사’, ‘계림공’, ‘효령대군 대시주’ 등 다양한 유구와 금석문이 조사되었다.
    영국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 신정(神靖)선사가 머물렀으며 고려시대 초기에는 그의 제자 혜거(慧炬)국사가 주석하며 법안종 선사상을 펼쳤으며 적연(寂然)국사가 수학하였다. 광종이 부동사원으로 지목한 도봉원과도 깊은 관련이 있는 고려 전기의 주요한 사찰이다. 통일신라시대 구례 화엄사 화엄석경과 경주 창림사 법화석경, 남산 칠불암 금강석경의 전통을 계승한 고려시대 묘법연화경 석경을 조성하였으며 천자문을 석각하여 교육하였음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고려시대 계림공과 조선시대 효령대군이 중창 시주하는 등 왕실의 후원을 받아 번성하였다. 세종 때에는 진관사에서 거행하는 왕실의 수륙재(水陸齋)를 영국사로 옮기는 것이 논의되었으며 세조의 축수재(祝壽齋)를 봉행하는 등, 위상이 매우 높았다.
    영국사에 주석했던 혜거국사는 고려 전기의 고승이다. 오월 구법승(求法僧)으로 당대 선사상에 정통하여 법안종 선사상을 고려에 전파하였다. 도봉산 신정선사와 법안종 초조 법안 문익의 제자이며 적연국사 영준의 스승이다. 국왕이 유학 중인 스님에게 사신을 보내어 예로서 맞이하였으며, 위봉루(威鳳樓)에서의 설법이 전한다.

    영어초록

    In the Mount Dobong - Dobong Valley, Dobong-san Yeongkuksa in the Koryo-Chosun Dynasty and Dobong Seowon of the Joseon Dynasty were confirmed in a single place as in the ‘Dobongseowon Records(道峯書院記)’ written by Yulgok Lee-Yi. Dobong Seowon is a Seowon of a King was given Pyeonaek where are enshrined in Cho Kwang-cho and Wooam Song Si-yeol,both of whom were represented by Chosun’s political ideology of Sarim.
    It was built at Yeongkuksa site in 1573 (seonjo 6), the buildings that were burned or washed away by Imjinwaeran and other natural disasters were constantly rebuilt, many literary men visited poetry and valley and left poetry and writing.
    Results of excavation research for the restoration of Dobongseowon, The Dobongseowon was thoroughly demolished and the clear layout could not be confirmed because it utilized the facilities and absence of Yeongkuksa’s main building basement when erected.
    On the other hand, Yeongkuksa which is unclear in reality, confirmed the foundations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and Goryeo~Chosun Dynasty building site base, ‘Gyeonju(見州) Dobongsan Yeongkuksa hyegegugsa inscription’, Seokgyeong(Scriptures carved in stone), Rock Carvings Cheonjamun(千字文;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Dobongsa’, ‘Gyelimgong(鷄林公)’, ‘Prince Hyoryeong Many donations’, etc. a variety of sites, artifacts, and an epigraph were investigated.
    Yeongkuksa was built at the Unified Silla Period. Sin-jeongseonsa(神靖禪師) stayed, During the early Goryeo Period, Hyegegugsa(慧炬國師), his student, lived and preached the Zen Thought of beob-anjong of the main temple, and Jeog-yeongugsa(寂寞國師) is studying etc. It is also closely related to Dobongwon, who is designated as unassailable temple under the name of King Gwang-jong. Hwaeom-Seoggyeong of Hwaom Temple in Gurye and Beobhwa-Seoggyeong of Changryungsa Temple in Gyeongju, Geumgang-Seoggyeong of chilbul-am in Nmsan, etc. Following the tradition of the Unified Silla Period, Myobeop Yeonhwagyeong Seokgyeong was crea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it was confirmed for the first time that taught Cheonjamun by carving it on a stone. In the Koryo Dynasty prince Gyelimgong and early Joseon Dynasty prince Hyoryeong donated Hyegegegugsa, who stayed in Yeongguksa Temple, is a high priest from the early Goryeo Dynasty. Owol(吳越) Gubeopseung(求法僧), a scholar of the Zen Thought, propagated the Zen Thought of Beob-anjong to Koryo. He is the disciple of Dobong-san Sin-jeongseonsa(神靖禪師) and the founder of Beob-anjong Beopan(法眼) Mun-Ig and a teacher of Jeog-yeongugsa(寂寞國師) Young Jun. The king sent an envoy to a Buddhist monk studying abroad, and Seolbeop(說法) from Weibonglu(威鳳樓) is being delivered.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