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叫’, ‘让’, ‘给’자 피동문 문법 설명에 대한 재고 (Study on the Grammatical Interpretation of ‘叫’, ‘让’, ‘给’ in Passive Sentenc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7.12
31P 미리보기
‘叫’, ‘让’, ‘给’자 피동문 문법 설명에 대한 재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중국연구 / 73권 / 95 ~ 125페이지
    · 저자명 : 임미나

    초록

    본고에서는 먼저 7종 문법서에 수록된 ‘叫’, ‘让’, ‘给’자 피동문의 문법 설명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 문법 설명이 전면적이지 못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첫째, ‘叫’, ‘让’, ‘给’자 피동문에 대한 인식 부족둘째, ‘叫’, ‘让’, ‘给’자 피동문의 행위자 생략 가능 여부에 대한 설명 부족셋째, ‘叫’, ‘让’, ‘给’자 피동문의 의미색채에 대한 설명 부족넷째, ‘叫’, ‘让’, ‘给’자 피동문과 동일한 구조를 지닌 구문과의 비교 부족다음으로 앞서 진행한 문법 설명 분석을 통해 드러난 기존 문법서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叫’, ‘让’, ‘给’자 피동문에 대한 설명을 좀 더 자세하고 전면적으로 제시해 보았는데,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문법서에서는 ‘叫’, ‘让’, ‘给’자 피동문에 대한 설명이 매우 부족하고 정확하지 않은 내용도 있어 학습자의 오류를 유발하고 있다. 학습자를 오도하지 않으려면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온 ‘叫’, ‘让’, ‘给’자 피동문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전면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이상의 논의 내용이 중국어 피동문에 대한 연구 및 중국어교육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have reviewed and analyzed the grammatical explanations of ‘叫’, ‘让’, ‘给’ in passive sentences from the existing seven grammar books. I have learned that the currently existing books failed to provide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n the grammar of ‘叫’, ‘让’, ‘给’ in passive sentences and my review and analysis revealed several weakness in current explanations, for which alternative and more detailed interpretations were proposed in this paper. The followings are the problems that I found: 1. The lack of mention of ‘叫’, ‘让’, ‘给’ passive sentences.
    2. The lack of explanation for the omission of NP2 in the ‘叫’, ‘让’, ‘给’ passive sentences.
    3. The lack of explanation about the semantic colors of ‘叫’, ‘让’, ‘给’ passive sentences.
    4. The lack of comparisons for the phrases that have the same structure as ‘叫’, ‘让’, ‘给’ passive sentences.
    I am proposing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explanations in the ‘叫’, ‘让’, ‘给’ passive sentences as follows: ‘叫’, ‘让’, ‘给’ passive sentences structure : NP1+叫/让/给+NP2+VP 他叫雨淋了。(He got wet with rain.) 羊让狼吃了。(A sheep was eaten by a wolf.) 我的自行车给(人)偷了。(My bike was stolen by a thief.) characteristics : ①NP1 is a definite ingredient which may be abbreviated in colloquial dialogue.
    ②‘叫’, ‘让’ and ‘给’ are all used in colloquial style, but ‘给’ is a little bit more colloquial than ‘叫’, ‘让’. They are, however, replaceable each other as passive marker in the colloquial language.
    ③‘叫’, ‘让’, ‘给’ passive sentences have basically negative meanings abut sometimes have a neutral meanings.
    ④‘给’ is a passive marker originally observed in southern dialects, but it is now also found in northern dialects.
    ⑤NP2 after ‘叫’ and ‘让’ cannot be omitted. It is grammaticalized from causative verb to passive marker and it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ausative sentences which requires NP2.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omit NP2 after ‘给’ because it is grammaticalized from dative verb meaning of ‘giving’ to passive marker and the dative verb itself can be used without NP2.
    ⑥ A verb cannot appear alone in VP. Either complement, object or aspect particle must appear with a verb in VP. ‘着’ is not used in general, but it can be used in sentences that indicate a command or request. Auxiliary verbs, adverbs, and time nouns appear before the passive marker.
    ⑦‘叫’, ‘让’ passive sentences has the same sentence structure as the ‘叫’, ‘让’ causative sentences and it is same that NP2 is the agent of VP.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NP1 is different in between passive sentences and causative sentences and the components of VP are also different. ‘给’ passive sentences has the same sentence structure as the ‘给’ prepositional phrases but the agent of VP are different.
















    It is found that the currently existing grammar books provide very limited and vague explanations about ‘叫’, ‘让’, ‘给’ passive sentences, which misleads the student to the ambiguous use of those words. I believe it is necessary to provide explicit and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for ‘叫’, ‘让’, ‘给’ passive sentences and it will be an honor if the above discussions could make any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Chinese passive sentences and Chinese language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