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평 문씨의 영암 정착과 지역내 위상변화 (Nampyeong-Mun’s settlement in Yeongam and the change of status in the regi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5.02
24P 미리보기
남평 문씨의 영암 정착과 지역내 위상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68권 / 1호 / 49 ~ 72페이지
    · 저자명 : 김하임

    초록

    영암 남평 문씨는 문맹화(文孟和(?-1487))가 처향인 영암의 영보지역으로 내려오면서 시작되었다. 남평 문씨는 그곳에서 연촌 최덕지 가문과 혼맥을 맺으면서, 점차 영암 지역사회에서 대표적인 사족 가문 중의 하나가 되었다. 당시 여지도서·향안·사마재안(司馬齋案) 등의 자료들을 통하여 살펴볼 때 영암의 유력 사족으로는 거창 신씨, 전주 최씨, 함양 박씨, 창녕 조씨, 남평 문씨 등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서로 혼맥을 통해 불가분의 관계를 맺으면서, 영암에서 대표적인 사족 가문이 되었다.
    한편 남평 문씨는 그들이 집거하던 지역인 영암 영보지역에서 벗어나 영암의 다른 지역과 영암외의 다른 지역 즉 전주, 해남, 장성, 안평등으로 지파(支派)를 형성하여 분화하여 살기 시작했다. 즉 남평 문씨는 영암에 성공적으로 정착한 이후에 확산되었다가 주변 지역으로 분화되어 나간 것이다.
    당시 영암에는 향교와 서원이 설립되어 있었다. 영암의 사족층이라면 이 향교와 서원의 명단에 이름을 올리는 것이 당연한 일중 하나였다. 그러나 남평 문씨는 향교의 자료가 존재하는 해에 항상 이름을 올리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이름을 올리지 못한 해의 다음 연도에는 여지없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것은 남평 문씨도 영암내에서 끊임없이 노력하는 사족층이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또한 서원의 명단인 청금록에도 몇 대에 걸쳐 서원에 이름을 올리는 남평문씨의 가계도 있었고, 한 명도 서원에 이름을 올리지 못하는 가계도 있었다. 남평 문씨가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문중 내부에도 서로 다른 사회적 위상을 가지는 가계들이 존재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층위 속에서, 그들에게 지역사회내에서의 위기감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것은 단순히 향교와 서원의 명부에 이름을 올리지 못하는 문제가 아니라, 남평 문씨의 사회적 위상이 약화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영암 지역에서의 이러한 분위기는 남평 문씨에게 위기감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위기감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남평 문씨만의 결집화된 조직이 필요했다. 그것을 묶는 힘은 동일한 선조를 모시고 있다는 족적인 관계라는 것인데, 이것이 바로 남평 문씨 족계가 창계된 결정적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Yeongam Nampyeong-Mun’s family originated when Munmaengwa (?-1487) descended to the Yeongbo area of Yeongam, his hometown. They intermarried with the Choi Deokji family of Yeonchon, and gradually became one of the leading sa-jok in the Yeongam community.
    At that time, Yeongam's influential families can be seen as the Geochang Shin family, Jeonju Choi family, Hamyang Park family, Changnyeong Cho family, and Nampyeong-Mun’s family, according to sources such as Yeojidoseo, Hyangan, and Samajaean(司馬齋案). They became inextricably linked to each other through intermarriage and became the leading sa-jok in Yeongam.
    Meanwhile, Nampyeong-Mun's family moved out of Yeongam, the area where they had been living, and began to form branches and live in other parts of Yeongam and other areas outside of Yeongam, namely Jeonju, Haenam, Jangseong, and Anpeong. In other words, Nampyeong-Mun successfully settled in Yeongam and then spread out to the surrounding areas.
    Hyanggyo and Seowon were established in Yeongam at that time. It was one of the natural things for Yeongam's sa-jok to put their names on the list of this Hyanggyo and Seowon. However, Nampyeong-Mun was not always listed in the year when the materials of Hyanggyo existed. However, the year after the year in which they didn't make the list, they made the list without fail. This shows that the Nampyeong-Mun was also a sa-jok who constantly tried in Yeongam. In addition, in Cheonggeumrok, the list of Seowon, there were some households that were listed on the Seowon for several generations, and none of them were listed on the Seowon. As Nampyeong-Mun moved to various regions, there were households with different social status inside the family. Within these layers, a sense of crisis began to form within the community for them. This is not simply a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put a name on the list of Hyanggyo and Seowon, but it shows that the social status of Nampyeong-Mun is weakening.
    This atmosphere in the Yeongam area brought a sense of crisis to the Nampyeong-Mun’s family. In order to overcome this sense of crisis, it was necessary to have a unified organization of Nampyeong-Mun’s family. The binding force was the genealogical relationship of having the same ancestors, which seems to have been the decisive factor in the creation of the Nampyeong-Mun’s family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