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念佛普勸文』의 국어학적 연구 (A Study on Korean Language Characteristics of the ‘Yeombulbogwonmu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5.02
33P 미리보기
『念佛普勸文』의 국어학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7호 / 315 ~ 347페이지
    · 저자명 : 이옥희

    초록

    이 논문은 18세기 불경 서적인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의 국어학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문헌은 여러 이본 가운데 흥률사본(1765)을 저본으로 제작된 내원정사의 소장본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문헌 분석을 통해 표기, 음운 및 음운 현상 그리고 문법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지역어의 특징적 모습을 살펴보았다.
    우선 표기상의 특징으로는 합용병서와 각자병서의 정연한 표기가 나타난다. 어말자음에서 ㅅ과 ㄷ이 모두 ㅅ으로 통일되었고, 어중에서 ㄹㄹ의 표기가 ㄹㄴ으로 나타난다. 연철과 분철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중철이 나타난다. 아래아 표기는 어두와 비어두에서 모두 나타나고 있다.
    음운상의 특징으로는 ㄷ구개음화가 일부 나타나며, ㅅ, ㄴ의 구개음이 나타난다. 어중 경음화, 어중 격음화, 한자합성어에서 ㄹ의 ㄴ되기, 원순모음화가 일부 단어들에서 등장하며, 이중모음 ㅟ와 ㅢ의 변화가 나타난다. 이들은 모두 진행 중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
    문법상의 특징으로는 ㅎ말음 체언의 자동적 교체와, ㄱ말음 체언과 쌍형어간의 활용에서 비자동적 교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격조사의 쓰임과 어미의 사용을 통해 중세어의 전통과 근대어로의 이행의 과도기적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연결어미 ‘-모’는 경상도 방언의 문법적 요소이며, 이와 아울러 ‘수리’와 같은 어휘에서 경상도 지역에서 간행된 문헌임을 짐작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korean language characteristics shown in ‘Yeombulbogwonmun’ written in the middle 18th century, Buddhist scriptures. This literature is a collection of Naewonjeongsa, which was made based on Heungryul temple 's edition(1765). Through specific literature analysis, notation, phonological and phonological phenomena,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alect in this old literature were examined.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tation are the well-organized notation of Hapyongbyungseo and Gakjabyungseo. It was unified into ㅅ by the neutralization of the syllable-ending consonants ㅅ and ㄷ, and the notation of 'ㄹㄹ/ㄹㄴ' appears as ㄹㄴ in the inter- vowels. and this old literature shows us the various types of Joong-cheol , Yon-cheol and Bun-cheol. An a-rea-A appear in both the beginning of word and non beginning word .
    As a characteristic of phonology, some of the ㄷ-palatalization appear, and the palatalization of ㅅ and ㄴ in the phonetical level appear. Word-mid glottalization , inter-word aspiration, changing ㄹ into ㄴ in Chinese character composites appear, and roundvowelization appear in some words, and changes in diphthong vowel ㅟ and ㅢ appear. They are all showing ongoing changes.
    Grammatical characteristics include an automatic alternation in ㅎ-syllable-ending, an unautomatic alternation in the use of ㄱ-syllable-ending and 雙刑 of verb stem. In particular, through the use of case markers and the use of endings,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transitional aspects of the tradition of the Medieval korean and the transition to the modern korean. Finally, the connected ending '-mo' is a grammatical element of the Gyeongsang dialect, and it can be guessed that it is a literature published in the Gyeongsang region along with the same vocabulary as 'Su-r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