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國 舊石器時代 陰刻紋의 檢討 (A Review of the Engraved Patterns on Stone or Bone Surface in Paleolithic Kore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7.06
36P 미리보기
韓國 舊石器時代 陰刻紋의 檢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10권 / 10호 / 105 ~ 140페이지
    · 저자명 : 유태용, 최원호

    초록

    한국의 구석기시대 유적에서 동물뼈나 石材片 등에 陰刻의 형태로 사람이나 동물 등을 표현한 조각품들이 출토되고 있다. 이러한 陰刻紋 조각품은 현재까지 11점이 출토되었는데, 문양은 대개 人面紋・魚紋・鳥紋・動物顔面紋 등이 있다. 유라시아 구석기시대의 예술 형태는 크게 동굴벽화 같은 벽면예술(art parietal)과 음각문・비너스상과 같은 동산예술(art mobilier)로 분류되고 있다. 그런데 한국에서 벽면예술로 동굴벽화가 조사된 것은 없으며, 8개 지점에서 11점의 음각문이 새겨진 이동예술만 출토되었다.
    人面紋은 제천 점말동굴, 청원 두루봉 2굴・9굴, 단양 하진리 수양개 6지구, 청주 샘골유적에서 출토되었다. 동물과 관련된 문양으로는 동물안면문은 평양 룡곡 1호 동굴, 魚紋은 단양 애곡리 수양개유적, 鳥紋과 뗏목문은 공주 석장리유적에서 출토되었다. 이외에도 생활과 관련하여 단양 상시바위1그늘유적에서는 목에 걸고 다녔던 것으로 보이는 각선문양 조각품이 발굴되었고, 단양 하진리 수양개 6지구에서는 22개의 각선이 일정한 간격으로 새겨진 눈금돌이 출토되었다. 이 눈금돌은 구석기시대의 자(尺)로 해석되고 있다.
    구석기시대의 음각문들 가운데 눈금돌이나 각선문 조각품은 실생활과 관련된 유물들이고, 인면문이나 魚紋・鳥紋 등은 당시 사람들의 의식행위나 사유관념 등이 반영되어 있을 것으로 해석된다. 유적의 연대는 평양 룡곡 1호 동굴, 제천 점말동굴, 청원 두루봉 2굴・9굴, 단양 상시 바위1그늘유적은 중기 구석기시대로 편년되고, 그 외 단양 수양개유적, 청주 샘공유적, 공주 석장리유적은 후기 구석기시대의 유적지이다. 따라서 한국의 구석기시대 음각문은 중기 구석기시대에서 후기 구석기시대에 걸쳐 장기간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유라시아의 구석기시대 동굴벽화는 32,000년~10,000년 전까지 그려졌고, 음각문과 비너스상은 25,000년~10,000년 전 사이에 제작되었다. 이 시기는 유럽에서 오리냐크期(Aurignacian, B.C. 32,000~26,000년)에서 마들렌期(Madeleine, B.C. 22,000~10,000년)의 末期에 이르는 후기 구석기시대에 해당한다. 한국의 구석기시대 음각문들은 평양 룡곡 1호 동굴유적은 46,100±2,000 B.P.과 49,900±2,000 B.P. 그리고 제천 점말동굴은 66,000B.P.의 중기 구석기시대의 후기로 편년된다.
    유라시아의 비너스상은 풍만한 모습에서 다산과 풍요를 기원하는 母性의 推仰이라는 상징적 의의로 해석될 수 있다면, 음각문은 사냥감과 일상생활에 대한 사실적 의미가 묘사되었다. 한국의 음각문도 魚紋・鳥紋・動物顔面紋과 뗏목문 등이 있어 사냥이나 일상생활과 관련된 문양들이다. 따라서 비너스상을 제외하면, 한국이나 유라시아의 동산예술은 대체로 일상생활과 밀접한 사실적 묘사에 관심을 두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engraved patterns such as human face or animal image on animal bone and stone materials were excavated at the paleolithic archaeological sites in Korea. So far, eleven artifacts that engraved patterns like human face, fish, bird, lines, and animal face were unearthed. The paleolithic art in Eurasia may be divided into basic two categories such as wall art and portable art. Wall art was comprised paintings and engravings on the rock surface in caves, portable art, in the other hand, comprised figurines of Venus and engraving images on the bones.
    As a portable art, items like engraved patterns were yielded at the paleolithic site in Korea. The image of human face was unearthed at Jummal cave in Chechun, Durubong No.2 and No.3 Cave in Chungwon, 6 section of Suyanggae in Danyang, Saemgol cave in Chungjoo. Animal face was yielded at Ryonggok cave No.1 in Pyongyang. Fish image was from Suyanggae in Danyang. Bird and raft images were unearthed at Seokjang-ni site in Gongjoo. Accessory with engraved lines and hole on fragment of animal bone was yielded at Sangsi rockshelter No.1 in Danyang. Pebble stone with engraved 21 lines was excavated at Suyanggae in Danyang.
    The evidences of the paleolithic art in Eurasia was from 32,000 to 10,000 years ago, These are two kinds of art categories, cave art on rockshelters and figurines of Venus at archaeological sites. The first example of wall art from the cave was discovered by Marcelino Sanz de Sautuola in Altamira Cave in northern Spain in 1879. Other important additional cave with wall art was found nearby in south-western France. Now, more than 150 caves with late paleolithic wall art have been identified in Eurasia. Most of the dense concentration of Cave art were in northern Spain and south-western France area.
    A Venus figurine is any Upper Paleolithic statuette portraying a woman. Most of these have been unearthed in Europe, but others have been found as far away as Siberia, extending their distribution across much of Eurasia. These are dated from the Gravettian period (26,000–21,000 years ago), but Venus of Hohle Fels dates back at least 35,000 years to the Aurignacian. Venus of Monruz dates about 11,000 years ago in the Magdalenian. These figurines were carved from soft stone, bone or ivory, or formed of clay and fired. The latter are among the oldest ceramics known. In total, some 144 such figurines had been found.
    Engraved patterns of Paleolithic art excavated in Korea were dated back to Middle Paleolithic Age. Ryonggok cave No.1 in Pyongyang was dated to be 46,100±2,000 B.P. and 49,900±2,000 B.P., and Jummal cave in Chechun was calculated to be 60,000 B.P. These dates are belonged to Middle Paleolithic Age. Therefore, Engraved patterns of Paleolithic art in Korea are similar in age to the paleolithic art in Eurasia, or Paleolithic art in Korea was comparatively little bit early than those of Eur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