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 조각의문문에 대한 소고 (Notes on Fragmentary Questions in Kore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2.05
22P 미리보기
한국어 조각의문문에 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23권 / 2호 / 117 ~ 138페이지
    · 저자명 : 전혜원

    초록

    생성문법(Generative Grammar)에서는 영어의 생략구문 연구에서 Merchant(2001, 2004, 2006)가 제안하는 이동 후 생략(movement and deletion)의 접근법을 통해 절 생략(Clusal Ellipsis), 시제구 생략(TP Ellipsis), 동사구 생략(VP Ellipsis), 명사구 생략(NP Ellipsis) 등 다양한 생략 현상을 통합된 이론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Maeda(2019)는 Rizzi(1997)가 주장하는 지도 분석(a cartographic analysis)에 따라 일본어 조각 의문문이 좌분지(left periphery)에서 형성됨을 보이며, 조각의문문은 좌분지로 이동을 하고, 그 후에 시제구(TP)가 생략되어 이미 이동을 겪은 조각의문문은 생략되지 않고 남는다고 분석한다. 실제로 발화(Spell out) 되는 것은 조각문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사실상 해석을 위해서는 전체 문장(a full-fledged clausal interpretation)이 필요하다는 것이 조각문의 중요한 특징이며, 이는 Morgan(1973,1979), Park(2005), Ahn and Cho(2006), Nichigauchi(2006, 2010, 2011), Merchant(2001, 2004, 2006) 등 많은 학자들의 연구에서 입증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조각의문문(Fragmentary questions, FQs)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격(Case), 결속(Binding), 문미에 소사‘-요’(Particles in Korean Fragmentary Questions)가 나타나는 현상을 통해 연결성 효과(Connectivity Effect)를 제시하며, 한국어 조각의문문에 나타나는 다음의 통사적 특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어 조각의문문은 생략된 부분이 발음은 되지 않지만, 문장 전체를 수반하는데, 이를 통해 생략된 부분에도 통사 구조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어 조각의문문은 대조 주제화(Contrastive Topic)되어, 좌분지의 가장자리(Top Foc P)로 이동을 하여 의문사구(Wh-phrase)보다 더 상위에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조각의문문의 통사적 구조를 도식화하여 제안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 조각의문문은 생성문법에서 영어의 생략 구조 연구에서 중심이 되는 이동 후 생략의 접근법에 잘 부합하여 설명이 가능함을 보이고자 한다. 그리하여, 영어의 생략 구문과 통합된 방식으로 한국어 조각의문문을 분석하여, 이론의 최소화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present some properties of Fragment Questions (FQ) in Korean. The implication pointed by connectivity effects would seem to be : (i) there exists syntactic structure inside ellipsis sites, but it is unpronounced. (ii) Remnants in FQs in Korean are considered as a Contrastive Topic. (ⅲ) Remnants in FQs in Korean moves to a higher position than a (covert) wh-phrase.
    Ellipsis phenomena cover a range of constructions, such as predicate ellipsis, ellipsis in the nominal phrase and clausal ellipses found in sluicing, gapping, fragment answers. In this paper, we primarily focus on a fragment. Specifically, considerable attention is paid to how to derive a fragmentary expression that nonetheless yields a full-fledged clausal interpretation. Maeda(2019) presents that such topic-marked remnants in FQs in Japanese are constructed as a contrastive topic of the interrogative clause, and such a fragmentary expression with a contrastive topic remnant is derived by deleting a full-fledged interrogative clause. Armed with Maeda(2019), Maeda and Jeon(2019) following Merchant(2001, 2004), among others, we assume that Top-FocP projects above FocP in the left periphery, a remnant moves to a higher position than a (covert) wh-phrase in Fragment Questions Korean.
    In analogy with fragment answer (FA) to sluicing, Merchant(2004:675) argues that FA in fact involves a full-fledged structure, in which the fragment moves from within TP to a clause-peripheral position, Spec FP, headed by F containing [E](elide) feature, prior to the constituent TP ellipsis. This paper shows that the notion of fragment in English also applies to fragmentary questions in Korean, so-called FQ. The derivation of FQ in Korean can be assimilated to that of FA in English, involving focus movement and TP ellipsis. For explicitness, we suggest the structure of the left periphery for FQs in Kore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