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의 日象文 연구 (A study on the solar patterns (Ilsangmun) of the Joseon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9.12
50P 미리보기
조선시대의 日象文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51호 / 5 ~ 54페이지
    · 저자명 : 김주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에 전개된 日象文을 대상으로 하여 日象文의 形式 분류, 시기별 樣式 특징, 天下觀의 推移 등을 고찰했다.
    먼저 日象文의 形式은 우리나라에 日象文이 처음 선보인 고구려 고분 벽화의 日象文을 근간으로 하여 ⅰ) 형식 Ⅰ〔원 안에 날개를 접은 채 서 있는 瑞鳥〕, ⅱ) 형식 Ⅱ〔원 안에 날개를 반원형으로 펼친 채 서 있는 瑞鳥〕, ⅲ) 형식 Ⅲ〔원 안에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瑞鳥〕, ⅳ) 형식 Ⅳ〔원으로 구성된 日象文〕로 분류했다. 한편 정치․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보이는 兩亂(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중심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日象文의 시기별 양식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선 전기에는 형식 Ⅰ․형식 Ⅱ가 왕실 발원 佛畵 몇 점에 보이고, 형식 Ⅲ은 中宗 反正 이후에 나타나며, 형식 Ⅳ는 士大夫 墓碑에 다수 표현되었다. 또한 조선 후기에는 作例에 상관없이 형식 Ⅳ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형식 Ⅱ는 보이지 않고 형식 Ⅰ은 대둔사 佛畵 몇 점과 日月圖刺繡 袈裟에서, 형식 Ⅲ은 直指寺 藥師如來圖와 日旗에서 살필 수 있었다. 그러나 日象文에 그려진 瑞鳥의 경우, 前代〔고구려, 고려〕와 같은 시기별 특징〔맹금류, 닭, 물새〕은 나타나지 않았다.
    治天下와 왕권의 상징물로 사용된 日象文의 시기별 특징을 시대상과 이에 따른 天下觀의 推移라는 측면에서 고찰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조선 전후기 모두 형식 Ⅳ〔원으로 구성된 日象文〕가 다수를 차지한다. 형식 Ⅳ는 원 안의 瑞鳥 표현을 태양의 흑점을 나타낸 것으로 인식했고, 태양의 흑점 역시 태양을 가리는 것으로 여겨 瑞鳥 없이 원으로만 日象〔태양〕을 표현한 中原 유교 문화권의 日象文 전통을 반영하고 있다. 이처럼 형식 Ⅳ가 조선시대 日象文의 다수를 점하고 있는 것은, 유교를 國敎로 삼았고 明과 事大 관계를 맺으며 중국 중심의 국제질서 하에 있었던 조선의 정치 상황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둘째, 형식 Ⅲ〔원 안에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瑞鳥〕은 조선 전기에는 中宗 反正 이후에 제작된 왕실 발원 佛畵 및 反正과 관계된 사대부 墓碑에 나타나고, 조선 후기에는 直指寺 藥師如來圖(1744년)와 大韓帝國 시기의 日旗에서 볼 수 있다. 日象 안의 瑞鳥를 天命의 전달자로 볼 때, 날아가는 瑞鳥는 天命이 다른 곳으로 옮겨감을 의미한다. 이를 말해주듯, 형식 Ⅲ은 反正의 당위성과 통치자의 합법성이 중요시 되었던 中宗 反正 이후, 明이 몰락한 후 조선이 中華 문화를 계승할만한 유일한 문화국가임을 표방한 朝鮮中華 사상이 팽배했던 英祖代, 조선 王國의 종언을 고하며 帝國을 등장시켰던 大韓帝國 시기에 나타난다.
    셋째, 형식 Ⅰ〔원 안에 날개를 접은 채 서 있는 瑞鳥〕은 조선 전후기의 佛畵 몇점과 조선 후기의 日月圖刺繡 袈裟를 제외하고는 볼 수 없고, 형식 Ⅱ〔원 안에 날개를 반원형으로 펼친 채 서 있는 瑞鳥〕는 成宗 때 제작된 藥師三尊十二神將圖에만 표현되었다. 형식 Ⅰ과 형식 Ⅱ는 그 수는 많지 않지만, 조선 초기의 경우 명목상으로는 明을 섬기면서도 왕권 확립과 함께 주변국에 대한 영향력을 넓혀가며 조선 중심의 국제 질서를 구상하고자 했던 15세기 왕실 발원 佛畵에서 살필 수 있어 주목된다.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日象文이 시대상을 반영하며 또한 자국 중심의 세상 인식인 天下觀을 보여주는 매체로서 기능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日象文에 대한 이 같은 연구 접근 방법을 통해 ‘상징은 시대를 반영하며 문화는 시대를 담는 그릇이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the solar patterns of the Joseon Dynast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s by period, and the transitions in world view. This study used the solar patterns of the mural paintings in Goguryeo tumuli, the first solar patterns in Korea, to classify the types of solar patterns into i) type I〔auspicious birds standing in a circle with wings folded〕, ii) type II〔auspicious birds standing in a circle with wings spread in a semi-circle〕, iii) type III〔auspicious birds about to fly off from a circle〕, iv) type IV〔solar patterns made up of circles〕. Meanwhile, the author also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olar patterns by period and the transitions in world view before and after the two wars. The result showed that,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type Ⅳ appeared on a number of tombstones of Sadaebu (men of noble birth), and type Ⅲ was intensively found in years after Jungjong Banjeong (enthronement of King Jungjong subsequent to the dethronement of Yeonsangun), whereas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ype IV was the dominant type.
    If the characteristics of solar patterns symbolic of ruling the nation and royal authority are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the transitions in world view,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erived. First, type IV was most prevalent both in the first and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is is indicative of the small China ideology imitating the Chinese order. In the Chinese Confucian cultural area the auspicious birds in the circle were perceived as sunspots, and the sunspots were thought to block the sun. Accordingly, only circles were used to represent solar patterns. Second, type III solar patterns were concentrated in years after Jungjong Banjeong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while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ey could be found in Yaksayeoraedo (painting of Bhaisajyaguru) of Jikjisa Temple, and the Japanese flag during the period of Korean Empire. When the auspicious birds in the solar pattern is viewed as the messenger of Providence, flying auspicious birds mean that the providence moves to another place, that is, the king or dynasty will be replaced. As if to prove it, type III appeared after Jungjong Banjeong emphasizing the legitimacy of it,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when the Joseon China ideology was prevalent arguing that Joseon is the only civilized nation to succeed to the Chinese culture after the collapse of the Ming Dynasty, and in the period of Korean Empire when the end of the Joseon Kingdom was announced and an empire made its appearance. Third, type I can hardly be seen except a few Buddhist paintings in the first and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nd in the Ilwoldojasu Gasa (monk's robe embroidered with the painting of the sun and the moon), and type II was only expressed in the Yaksasamjon Sipyisinjangdo pain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Types I and II are not numerous, but it is noteworthy that Buddhist paintings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are found in the 15th century when Joseon served Ming externally, but conceived of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order with Joseon at the center while expanding its influence on neighboring countries as well as its royal authority.
    This study revealed that solar patterns served as a medium of reflecting the times and the world view placing Joseon at the center of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