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재 안내문과 공공언어-인천광역시 중구의 문화재 안내문 분석을 중심으로- (Cultural Asset Guides and Public Language -A Study on the Public Language Use of the Cultural Asset Guides in Jung-gu, Incheon-)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9.02
52P 미리보기
문화재 안내문과 공공언어-인천광역시 중구의 문화재 안내문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천학연구 / 1권 / 30호 / 179 ~ 230페이지
    · 저자명 : 권미영, 신언호

    초록

    이 글은 ‘공공언어’의 관점에서 인천광역시 중구의 문화재 안내문 22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머리말에서는 공공언어에 대한 그간의 정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공언어는 언어정책 차원에서 쓰이는 용어로, 언어의 대상이 ‘국가나 사회 구성원 두루’라는 점이 핵심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화재 안내문이 공공 기관에서 문화재를 관람하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문화재를 안내하려는 공공의 목적을 위해 쓴 것이므로 공공언어임을 분명히 하였다.
    2장에서는 ‘공공언어’에 요구되는 요건을 살펴보았다. 공공언어에서는 일차적으로 표기와 표현이 정확해야 한다. 또한 공공의 목적을 달성해야 하므로 소통성에서도 문제가 없어야 한다. 이때 소통성은 공공성, 정보성, 용이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특히 인천광역시의 대표적인 문화재인, 인천향교의 안내문을 분석함으로써 공공언어의 요건을 지켰을 때 문화재 안내문이 어떻게 개선될 수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공공언어’에 요구되는 요건을 규정한 법령들을 고찰하였다. 『국어기본법』,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시행규칙』 등이 그것이다. 법령에 규정된 내용과 필자가 그간 문화재 안내문을 감수하면서 확인한 문제점을 동시에 제시함으로써 인천광역시 중구의 문화재 안내문을 분석할 기준을 마련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인천광역시 중구의 문화재 안내문 22개를 3장에서 세운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기준 (가)는 어문 규범에 맞게 한글로 작성하였는가에 관한 것이었다. 이를 검토한 결과 22개 안내문 중에서 불필요한 곳에 한자나 외국어를 병기한 경우는 1개뿐이었다. 또 어문 규범을 준수하지 않은 경우는 총 44개가 발견되었는데, 한글 맞춤법과 외래어 표기법에서 벗어난 경우가 각각 1개씩 있었으며, 나머지는 전부 띄어쓰기 오류였다.
    기준 (나)는 문장이 간결하고 의미가 명확하게 전달되는지에 관한 것이었다. 이를 구체화하여 문장의 길이가 적절한지, 단어를 의미상 적합하게 썼는지, 문장이 문법에 맞는지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문장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서 한 문장에서 전달하는 정보가 많아서 읽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으며, 서로 어울리지 않는 단어를 쓴 경우도 있었다. 특히 문장이 국어 문법에 맞지 않는 경우는 상당수가 있어서 이들을 다시 조사와 어미를 잘못 사용한 경우, 문장 성분 간 호응이 되지 않는 경우, 수식 구성에서 문제가 생긴 경우, 접속 구성에서 문제가 생긴 경우로 나누어서 분석하고 개선안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준 (다)는 쉽고 친숙한 단어와 어조를 우선하였는지에 관한 것이었다. 이것은 바꾸어 쓸 만한 쉬운 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어려운 단어를 쓴 경우, 전문 용어나 어려운 말이어서 보충 설명이 필요한 경우, 외국어를 번역한 듯한 어색한 어조를 쓴 경우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쉬운 표현이 있는데도 상대적으로 어려운 단어를 쓴 경우와 보충 설명이 없이 전문 용어를 사용한 경우가 상당수 있었고, 외국어를 번역한 듯한 어색한 어조를 쓴 경우도 확인되었다.
    문화재 안내문을 작성할 때는 여기서 검토한 기준 외에 공공성과 정보성의 문제도 중요하나 이 글에서는 이들을 다루지 못하였으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22 cultural asset guides in Jung-gu, Incheon,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language', to identify problem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previous definitions of public language in the introduction.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public language has been the term used in language policy, and that the object of that language is 'all members of the country or society'. We also made it clear that the cultural asset guide is a kind of public language. This is because it is cultural asset guides that public institutions write for the public purpose of guiding cultural assets to the general public.
    In Chapter 2, we looked at the requirements of 'public language'. First, public language should be correct in marking and expression. In addition, there should be no problems in communication as it must achieve public purposes. At this, communication was divided into public, information and ease.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guide of Inchon Hyanggyo, a representative cultural asset of Incheon. Through this, we presented how much improvement can be made in compli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public language in cultural asset guides.
    In Chapter 3, we examined the laws that set out the requirements for 'public language'. They include 『Gugeogibonbeop』, 『Haengjeong Hyoyulgwa Hyeobeop Chokjine Gwanhan Gyujeong』, 『Munhwajae Jubyeon Siseolmul Deunge Daehan Gong-gong-design Jichim』. We set criteria for analyzing cultural asset guides in Jung-gu, Incheon, by reviewing both the details stipulated in these laws and the problems identified while inspecting the cultural asset guides.
    In Chapter 4, we analyzed 22 cultural asset guides in Jung-gu, Incheon, according to the criteria set in Chapter 3, and proposed ways to improve them. The results of the review of criteria (ga) are as follows: Among the 22 guides, there was only one guide that used unnecessary Chinese characters or foreign languages. There were also a total of 44 non-compliance with the rules of Korean orthography.
    The criterion (na) is whether the sentence is concise and the meaning is clearly. Specifically, we analyzed whether the length of the sentence was appropriate, the meaning of the word was correct, and whether the sentence conformed to the Korean grammar rul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sentences which were too long to read and included the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n one sentence. Also, there were cases that words were used that did not match each other.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sentences that did not fit the Korean grammar.
    Finally, the criterion (da) was whether easy and familiar words and tones were preferred. We analyzed this by dividing it into three. First, it is a case of using difficult words even though there are easy words to change. Second, it is a case of using technical terms without supplementary explanation. Third, it is a case of using awkward tones that seems to have translated foreign languag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many instances that difficult words were used, even though they could be converted into easy expressions, and technical terms were used without supplementary explanation.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awkward tones that seems to have translated foreign languages.
    Besides the criteria reviewed here, public and information are also important criteria when writing cultural asset guides. Nevertheless, since we have not covered these two criteria in this article,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