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영정 논제와 정상 조건문 (Young-Jeong Kim’s Thesis and Normal Conditiona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1.05
30P 미리보기
김영정 논제와 정상 조건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사상 / 40호 / 261 ~ 290페이지
    · 저자명 : 박정일

    초록

    故 김영정 교수는 비판적 사고와 형식논리학의 ‘멋진 조화’를 꿈꾸며 ‘선제논리’라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불행하게도 그 프로그램은 실패로 끝났다고 여겨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김영정 논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김영정 논제”란 전칭명제와 특칭명제를 모두 조건문을 포함하는 양화문장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영정 교수는 전칭긍정명제와 특칭긍정명제를 각각 (∀x)(Sx ⊃ Px)와 (∃x)(Sx ⊃ Px)로 기호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나는 김영정 교수의 프로그램이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근원적인 이유는 우리의 조건문을 실질 함언으로 파악했다는 점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실질 함언이 아니라 우리의 언어실천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조건문, 즉 비트겐슈타인의 “정상 조건문(normal conditional)”(p → q)을 김영정 논제와 결합하면 어떤 귀결이 나올지를 탐구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된 김영정 논제”에 따르면, 가령 전칭긍정명제와 특칭긍정명제는 각각 (∀x)(Sx → Px)와 (∃x)(Sx → Px)로 기호화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수정된 김영정 논제는 정상 조건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열쇠와 통로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생각들이 정리가 되면 예컨대 (A → B와 A → ∼B가 둘 다 참이 되는) 기 바드(Gibbard) 현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판명되며, 기존의 논의가 얼마나 혼란스러운 것인지를 깨닫게 한다. 요컨대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의 정상 조건문과 김영정 논제를 결합하여 “수정된 김영정 논제”를 설정한 후 이논제를 일관성 있게 유지할 때 어떤 귀결이 나올지를 탐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정된 김영정 논제”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것은 가능하다는것, 그리고 이를 통해 전통적인 대당사각형이 복원된다는 것, 정상 조건문 p→ q의 조건부 부정은 p → ∼q라는 것, 또 정상 조건문의 또 다른 사용(⇒)이 있다는 것, p → q의 대우는 ∼q ⇒ ∼p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late Professor Young-Jeong Kim propounded the ‘Presupposition Logic’ program, longing for harmony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formal logic. Unfortunately that program is regarded as a failure, but I believe that Young-Jeong Kim’s thesis is still relevant. Young-Jeong Kim’s thesis asserts that both a universal proposition and a particular one should be considered as a quantified proposition which contains a conditional. Professor Young-Jeong Kim asserts that a universal affirmative proposition and a particular affirmative one must be symbolized as (∀x)(Sx ⊃Px) and (∃x) (Sx ⊃ Px), respectively. However, I believe that the fundamental reason that Professor Young-Jeong Kim’s program could not help but end in failure is that he regarded our conditional as a material implication (conditional). Hence we need to consider the case that in Young-Jeong Kim’s thesis, a material implication should be replaced with a conditional which is used in our real language practice, that is, Wittgenstein’s normal conditional.
    According to this “modified Young-Jeong Kim’s thesis,” a universal affirmative proposition and a particular affirmative one must be symbolized as (∀x)(Sx → Px) and (∃x)(Sx → Px), respectively.
    Then, the modified Young-Jeong Kim’s thes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an important key and the path to for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a normal conditional. Furthermore, after we arrange our thoughts in regard to this matter, we will come to know that the Gibbard phenomenon in which both A → B and A → ∼B are true does not exist, and come to realize how confusing the previous thoughts about conditionals are. In a nutshell, we can investigate what consequences can be derived if we maintain this modified thesis consistently after we combine Wittgenstein’s normal conditional with Young-Jeong Kim’s thesis. And through this we can ascertain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odified Young-Jeong Kim’s thesis, that we can rehabilitate the traditional opposition square, that the negation of a normal conditional p → q is p → ∼q, that there is another kind of use for a normal conditional(⇒), and that the contraposition of p → q is ∼q ⇒ ∼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