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화백자 산수문(山水文)과 노론이 만든 영조(英祖) 신화 (Porcelains with Underglaze Cobalt-Blue Decoration of Landscapes and the Myth of King Yeongjo Created by the Noron (Old Doctrine) Facti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3.11
36P 미리보기
청화백자 산수문(山水文)과 노론이 만든 영조(英祖) 신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32호 / 126 ~ 161페이지
    · 저자명 : 조규희

    초록

    ‘산수문(山水文)’ 청화백자는 18세기 이후에 성행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선 전기의 청화백자나 17세기에 유행한 철화백자에서는 산수문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산수문 청화백자가 언제부터, 어떤 주제로 제작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은 상태다. 청화백자 산수문의 제작 시기와 관련해서 영조(英祖, 재위: 1724-1776)가 연잉군(延礽君) 시절에 손바닥만 한 유지(油紙)에 수묵으로 그린 화초(花草) 네 폭과 산수 두 폭을 번조소(燔造所)로 가는 종[胥隷]에게 보내며 작은 항아리[小壺]를 구워 오게 했다는 기록이 주목된다. 이 일화의 출처는 김시민(金時敏, 1681-1747)이 자신이 소장한 매화 한 폭이 결실된 영조의 다섯 폭 도자기 밑그림으로 만든 화첩(畫帖)에 1724년에 쓴 글이다. 이 글은 산수문 도자기가 숙종(肅宗, 재위: 1674-1720) 대부터 제작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게도 한다.
    김시민이 소장한 영조가 연잉군 시절에 그렸다는 도자기 밑그림은 영조의 진작이라는 증거는 없다. 영조의 진작이든, 혹은 그렇게 전해졌거나 미상의 그림을 영조의 그림이라고 주장한 것이든, 김시민은 난초, 국화, 매화라고 그 제재를 밝힌 화초 그림들과 달리 산수도 두 폭의 주제는 특정하지 않았다. 그 산수도들이 매우 작은 유지에 수묵으로 그려진 특징 없는 일반적인 산수도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영조 대에 본격 유행한 청화백자 산수문의 주된 두 장면은 ‘동정추월(洞庭秋月)’과 ‘장한강동거(張翰江東去)’이다. 청화백자에 시문된 <동정추월도>는 전형적인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의 한 장면이기보다는 악양루(岳陽樓)가 제재인 중국 시문(詩文)을 도해한 고사도 계통의 산수화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정선(鄭歚, 1676-1759)은 악양루가 중심이 되는 이러한 동정호 그림을 토대로 청화백자 산수문에 그려진 것과 같은 곧은 깃대가 옆에 선 악양루가 화면 우측에 위치한 <동정추월도>를 그렸다. 현재 전하는 청화백자의 <동정추월도>는 김시민과 가까운 사이였던 정선이 그린 이러한 <동정추월도>와 가장 유사하다. 반면 동정추월도와 짝을 이루는 강안(江岸)에 선 두 인물이 대화를 나누는 장면은 그림의 주제를 특정하기 어렵다. 강안전별도(江岸餞別圖) 계통의 이 장면을 판단하는 근거는 그림과 함께 청화백자에 적힌 ‘장한강동거’로 시작되는 이백(李白, 701-762)의 「송장사인지강동(送張舍人之江東)」의 시구(詩句)이다.
    이러한 점들을 토대로 이 논문은 영조 즉위 후 노론과 안동 김씨 가문의 상징적 인물인 김창협(金昌協, 1651-1708)에게 시호를 내리는 것을 논의한 날 경종의 희귀한 어필인 ‘장한강동거’ 구절이 노론의 핵심 인사들 사이에서 새롭게 환기되었을 맥락에 주목하였다. 김시민이 자신이 소장한 영조의 도자기 밑그림 산수도를 ‘장한강동거’와 관련시켰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숙종 사후 노론의 핵심 인사들은 연잉군 시절의 영조가 부왕인 숙종의 자질을 이어 그림에 조예가 깊다는 신화를 만들어 냈다. 김시민의 어화첩 제발도 이러한 노론 핵심 인사들의 논조를 공유했다는 점에 이 논문은 주목하였다. 영조에 대한 신화가 새롭게 만들어지던 당시의 문화적 맥락에서 접근할 때, 청화백자 산수문의 주제 및 형식, 제작 시기 등에 대한 미술사적 이해도 깊어질 수 있을 것이다. 청화백자 산수문에 그려진 가을바람 부는 해질녘과 달밤의 운치 있는 광활한 수면 풍경은 당시 문사(文士)들 마음에 감흥을 일으키는 시적 정취가 넘치는 산수공간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갑번자기를 주문하고 향유할 수 있었던 18세기 전반 장동(壯洞)을 중심으로 한 문인들의 취향과 이들의 정치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청화백자 산수문도 재조명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Porcelains with underglaze cobalt-blue decoration of landscapes are believed to have become popular after the 18th century. However, there is still a lot of controversy as to when porcelains with underglaze cobalt-blue decoration of landscapes began to be produced and on what topics. This paper focuses on the record that King Yeongjo (r. 1724-1776), when he was a prince, drew two landscape paintings in ink on a very small piece of paper and then had his servant create a small jar for him. The source of this anecdote is a record written in 1724 by Kim Simin (1681-1747) in an album made from the five porcelain sketches of King Yeongjo that he owned.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sketches for making potteries that Kim Simin possessed were drawn by King Yeongjo during his time as Yeoninggun (Prince Yeoning). Whether they were the works of King Yeongjo, or whether they were passed down as such, or whether Kim Simin claimed that the anonymous sketches were painted by King Yeongjo himself. Kim did not specify the subject of the landscapes, unlike the flower paintings, part of the sketches for making potteries that were identified as orchid, chrysanthemum, and plum blossoms. This may be because the landscape drawings were typical, featureless landscape sketches drawn in ink on very small paper.
    It has been understood that porcelains with underglaze cobalt-blue decoration of landscapes were mainly depicting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preferred by the elites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main scenes shown in the porcelains with underglaze cobalt-blue decoration of landscapes are of “Autumn Moon over Lake Dongting” and “Zhang Han Leaving for Jiangdong” in theme. It is possible that the blue and white wares depicting landscapes began with these two scenes rather than the eight scenes. It is difficult to find any clues that contemporary appreciators particularly preferred the paintings of “Autumn Moon over Lake Dongting” among those of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In addition, designs on ceramics are thought to follow the pictorial trends of the time, but the scene of “Zhang Han Leaving for Jiangdong” is a theme of landscape painting that has not been seen in the works of painters since the reign of King Sukjong (r. 1674-1720). If the porcelains with underglaze cobalt-blue decoration of landscapes were not modeled after the landscape paintings prevalent at the time, how was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themes achieved? In order to infer this point, this paper focused on the intention of the inscriptions written on the album leaves by Kim Simin of the Andong Kim clan after he created the album of King Yeongjo's sketches immediately after the ruler’s accession to the throne. When approach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e time when the myth about King Yeongjo was being newly created, extensive art historical interpre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style, and the time of production of porcelains with underglaze cobalt-blue decoration of landscapes can be deepe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