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사술어문의 시제에 관한 연구 (On the Tense system of Noun-Predicate Sentences in Japanese and korean)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3.05
19P 미리보기
명사술어문의 시제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연구 / 85권 / 1호 / 323 ~ 341페이지
    · 저자명 : 정상철

    초록

    本稿は時間的限定性の観点から現代日本語と韓国語の<ハナシアイ>文(主に叙述文の終止法)を対象とし、名詞述語文のテンスについて動詞述語文と対照させながら論じたものである。その主な論点と結果をまとめると、次のようになる。まずは、名詞述語文のテンスには大きく二種類があることを確認した。一つは動詞文と同様に「発話時(speech of time)」を基準とし、過去形と非過去形とを用いるタイプである。もう一つのタイプは発話時ではなく、「話し手の視点」によって無標形式の非過去形と有標形式の過去形とを使い分けするものである。第二点は、名詞述語文の「発話時」を基準にする場合、動詞述語文との相違の一つは非過去形の用法にある。つまり、動詞文の非過去形は基本的に「現在」を含まないのに対し、動作性名詞以外の名詞文の非過去形は「現在」を含むのである。第三点は名詞述語文が「発話時」を基準とする場合は時間的限定性と述語名詞の意味と密接な関連がある、という点である。すなわち、時間的限定性の観点から一時性を持つ<動作性名詞>と<状態名詞>の場合は基本的にここに属する。一方、通常時間的限定性を持たない<本質><特性><関係>の場合は基本的にテンスが分化しない。しかしながら、1)その述語になる特性や本質、関係の可変性の程度によって、2)量的な性質を表す場合、3)期時副詞との共起する場合、4)複合述語を構成する場合などは過去の意味を実現するようになり、テンスが分化する、という点を指摘また確認した。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ast tense of noun-predicate sentences from a perspective of temporal localization. Main arguments are as follows:First, tense of noun-predicate sentences is determined in two ways: in accordance with speech of time as in verbal-predicated sentences and from the speaker’s point of view. In the latter case, past forms can be substituted by non-past forms depending on whether the speaker notes the judgement of the present or the modal meaning of the past.
    In the former case where the tense of noun-predicate sentences is determined by speech of time, verbal-noun predicate sentences behave like verbal-predicate sentences; however, in the usage of non-past forms, they are slightly different from other noun-predicate sentences like statal noun-predicate sentences. Namely, the non-past forms of non verbal-noun predicate sentences (e.g., statal noun-predicate sentences) function as present markers while verbal-predicate sentences do not.
    Lastly, in cases of verbal nouns or statal noun-predicate sentences which reveal temporal localization, tense is simply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speech of time. However, there are some exceptional cases where tense of nouns or noun-predicates lack of temporal localization is also determined by speech of time. For example, in the case of characteristic nouns lack of temporal localization, tense can be determined by speech of time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i) they are property nouns, essence nouns or relative nouns; (ii) they are compound predicates; (iii) they contains long-term time adverbs; (iv) they are quantity nou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