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일본에서 문예비평의 굴절— 한국전쟁의 문학적 영향 — (Distortion of Literary Criticism in Postwar Japan– The Literary Impact of the Korean War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3.06
36P 미리보기
전후일본에서 문예비평의 굴절— 한국전쟁의 문학적 영향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思想 / 44호 / 5 ~ 40페이지
    · 저자명 : 가지오후미타케

    초록

    본고는 1950년, 한국전쟁의 시대에 도쿄대학에 재학중이던 학생들이 창간했던 동인지 <<현대문학>>에 주목해 이 잡지에 결집했던 히노 게이조, 오오카 마코토, 김태중의 출발기와 그 이후의 동향을 전후일본의 ‘전향’이라는 관점에서 검증하고 있다.
    한국전쟁의 발발을 ‘전후’의 종언으로 받아들였던 히노 게이조는 여전히 후진국인 일본에 혁명과 전쟁이 임박했다는 인식 위에서 유혈을 거부한다는 입장에서 현대문학을 규정했다. 현실에 있어서 정치의 우위성을 인정한 이 규정은 문학의 자율성을 확보한다는 종래의 ‘정치와 문학’과 같은 비평의 구도를 굴절시키는 것이었다.
    오오카 마코토가 <<현대문학>>에 게재한 시 「1951년 성탄제 전후」는 한국전쟁에 대한 저항시 혹은 반전시로서의 성격을 띠는 한편, 언어유희에도 경도되어 있다. 시인은 이 작품에서 전쟁의 유혈을 시 언어의 유희를 위한 소재로 삼아서는 안된다는 금기에 스스로를 속박시키고 있다. 그러나 그 이후의 오오카는 사회적 윤리성보다 시인으로서의 ‘꿈’을 옹호하는 태도를 강화해갔다. 폴 엘뤼아르를 레지스탕스의 시인이 아닌 자연을 육체로 받아들이는 감수성을 갖춘 시인으로 평가했던 오오카는 자신이 경험한 1950년대의 ‘정치의 계절’을 ‘감수성 축제의 시대’라고 불렀다. 그것은 한국전쟁의 시대경험을 망각하려는 지향과 표리일체를 이루고 있었다.
    김태중이 <<현대문학>>에 발표한 「방문」은 오오카 작품의 패러디로 보이는 시 작품이다. 동시에 그는 이 시에 식민지 시대부터 한국전쟁에 이르는 ‘재일’로서의 디아스포라의 경험을 새겨넣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김태중은 경영자의 길을 선택하고 1950년대 후반부터는 시단에서 멀어져갔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일어난 일본의 전후부흥은 문학적 자율성의 승리를 결정적인 것으로 만들었고, 그와 동시에 사람들이 ‘천하태평’의 배후에 감춰진 사회적 모순으로부터 눈을 돌리게 만드는 측면이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coterie magazine “Gendai Bungaku” (Contemporary Literature), which was founded in 1950 by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Tokyo during the Korean War, and examines the starting period and subsequent trends of Hino Keizo, Ooka Makoto, and Kim Tae-joong, who gathered at this magazine, from the perspective of postwar conversion.
    Hino Keizo, who accepted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s the end of the “postwar” period, recognized that revolution and war were imminent for Japan, still a backward country. He defined contemporary literature as a fictional position that rejects bloodshed. This acceptance of the primacy of politics in reality distorted the postwar critical framework of “politics and literature,” which defends the autonomy of literature. However, the Korean War brought prosperity, not bloodshed, to Japanese society. Having thus lost the basis for his criticism, Hino then turned to depoliticization and warped the framework of “politics and literature” in the opposite direction.
    Ooka Makoto’s poem “Around the Nativity of 1951,” published in “Gendai Bungaku”, is a resistance or anti-war poem against the Korean War, but it is also inclined toward word play.
    The work itself is bound by a sense of taboo against using the bloodshed of war as material for a play on words in poetry. Later, however, Ooka took a more defensive stance toward his “dream” as a poet than toward social morality. Ooka, who regarded Paul Éluard not as a poet of resistance but as a poet with the sensitivity to internalize nature, called the 1950s, the political season he had experienced, “the age of the festival of sensitivity. This was inextricably linked to his desire to forget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Otozure ni” (“To visit”), published by Kim Tae-joong in “Gendai Bungaku”, is a poem that can be seen as a parody of Ooka’s work. It is inscribed with the experiences of the diaspora as a Korean in Japan,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Korean War era. Kim Tae-joong, however, went on to become a business manager, and from the late 1950s onward, he was away from the world of poetry. Japan’s postwar reconstruction in the wake of the Korean War determined the triumph of literary autonomy, but it was also inseparable from turning a blind eye to the social contradictions hidden behind the “peace under heav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思想”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