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默齋 李文楗의 繪畵에 대한 觀心과 畵竹十詠에 대한 考察 (A Study(考察) on Mukjae(默齋) Lee, Mungeon(李文楗)’s Interest in Picture and Huajuksipyeong(「畵竹十詠:Composing of poem after seeing the 10 kinds pictures of bamboo」))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7.06
47P 미리보기
默齋 李文楗의 繪畵에 대한 觀心과 畵竹十詠에 대한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22호 / 227 ~ 273페이지
    · 저자명 : 이상주

    초록

    默齋 李文楗(1494~1567)은 詩書畵에 상당한 식견이 있는 인물이다. 이문건은 1545년(을사년) 지금의 경북 星州로 유배를 가서 1567년 그곳에서 卒했다.
    이문건은 星州에서 유배생활을 하는 23년 동안 시서화의 문예활동에 적극적이었다. 이문건은 1545년 『隴西公族譜』를 필사했다. 1547년 안봉사에 안치돼있던 이장경등 그 선조 7명의 초상화를 模寫해서 『隴西公族譜』에 부착했다. 이 초상화는 현재 제작연도가 확실한 초상화중에 연도가 가장 앞서며 寫意傳神的 기법을 적용했다.
    申潛(1491∼1554)은 墨竹畵를 잘 그렸으며 그를 禮讚하는 시가 많이 남아있다. 그러나 실물은 1폭만 발견되었다. 이문건의 『묵재집』에도 申潛이 그린 대나무 그림을 보고 지은 「畵竹十詠」이 실려있다. 이문건은 「畵竹十詠」에서 雙竹, 孤竹 등 10가지 形狀의 대나무를 그린 그림을 보고 10수의 시를 지었다. 이렇듯 대나무 그림을 보고 10수의 시를 지은 시은 사례는 처음인 듯하다. 그는 신잠이 그린 대나무를 보고 그 形狀에 맞게 傳神의 의미를 시로 표현했다. 따라서 이문건의 「畵竹十詠」은 사의전신적 기법을 시에 적용하여 그 비유적 표현미가 높은 畵竹詩로, 동시대와 후대 畵竹詩中에서 優秀作이라고 그 畵竹詩史的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영어초록

    Mukjae Lee, Mungeon(默齋 李文楗1494~1567)was a considerable knowledge of Siseohwua(詩書畵). In 1567, Lee, Mungeon had died at Seongju(星州) Gyeongbuk(today name) where he had exiled in 1545(Eulsa year). ] Lee, Mungeon was actively literary activity of Siseohwua(詩書畵) exile life at Seongju(星州) during 23 years. Lee, Mungeon had transcription 『Rongseogongjokbo隴西公族譜』 in 1545. Lee, Mungeon had attached after coping(模寫) the portraits of seven ancestors such as Lee, Janggyeong who had enclosed in Anbongsa and so on through 『Rongseogongjokbo隴西公族譜』 in 1547. These portraits had adapted technique of Saeuijeonsinbeop(寫意傳神法: Technique of portrait drawing, that is to say, surely paint the person's personality and spirit whenever drawing of portrait) and that was the most proceeded year among the portraits which have certainly sure the production year at this time.
    Sinjam(申潛1491∼1554) well painted a Chinese-ink painting that depicts bamboo (墨竹畵) and there were left many poems adoring(禮讚) it. But the real thing discovered only 1 width. Lee, Mungeon's 『Mukjaejip』was listed 「Huajuksipyeong畵竹十詠」which composed after seeing bamboo pictures by Sinjam(申潛).
    Lee, Mungeon had composed 10 poems after seeing of 10types shape(形狀)in Bamboo picture such as Ssangjuk(雙竹), Gojuk(孤竹) and so on in Composing of poem after seeing the 10 kinds pictures of bamboo 「畵竹十詠」. Like this, it seems to this case first which is Composing of poem after seeing the 10 kinds pictures of bamboo . He expressed as poems which had the meaning of Jeonsin(傳神) after seeing bamboo which painted by Sinjam and then fitting of the proper meaningful shape(形狀) through poem. Therefore, Lee, Mungeon's Composing of poem after seeing the 10 kinds pictures of bamboo 「畵竹十詠」 can be highly evaluated his figurative aesthetic expression, HuaJuk poems(畵竹詩)as he composed the poem in order to adapt through Technique of portrait drawing, that is to say, surely paint the person's personality and spirit whenever drawing of portrait (寫意傳神法). Composing of poem after seeing the 10 kinds pictures of bamboo 「畵竹十詠」 can be given meaning of Huajuksisajeok(畵竹詩史的) as a superior work in his contemporary era and in his next generation era Huajuk poems(畵竹詩中).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