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星湖僿說>에 보이는 원류비평 양상(Ⅱ) − 「詩文門」의 詩作品을 중심으로 − (The Criticism of the Origin in the 『Seonghosaseol(星湖僿說)』(Ⅱ) − Focus on the poem of 「Simunmun(詩文門)」)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8.10
26P 미리보기
&lt;星湖僿說&gt;에 보이는 원류비평 양상(Ⅱ) − 「詩文門」의 詩作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57호 / 9 ~ 34페이지
    · 저자명 : 박종훈

    초록

    성호 이익의 『성호사설』 「시문문」을 통해 성호의 원류비평 양상에 접근했다. 성호는 「시문문」에서 굴원과 두보 및 이백의 작품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했다. 이는 굴원과 두보 및 이백의 작품이 시의 준칙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했기 때문이다.
    성호는 우선 기존 주석서에서 주목하지 못했거나 생략했던 부분에 대해서 다양한 서적의 내용을 토대로 논리적이고 설득적으로 자신의 견해를 제시했다. 또한 주석의 오류에 대해서도 객관적 사실을 들어 꼼꼼하게 변증했다. 특히, 작품과 관련된 일반적인 정보에 대해서는 전체 작품의 내적 연관성을 통해 그 오류를 지적하면서 독창적인 견해를 설득력 있게 전개했다.
    굴원의 「懷沙賦」에 대해서는 『초사』 九歌의 흐름 속에서 접근하여, 굴원이 물에 빠져 죽을 때 지은 작품이 아니라 長沙를 그리워하며 지은 작품이라고 단언했다. 이백의 경우에도, ‘秋浦’는 일반명사가 아닌 고유명사로 인식했으며, ‘백발삼천장’도 이백 자신의 모습을 묘사한 것이 아니라 물에 비친 언 폭포의 모습으로 받아들였다. 이는 각 시인의 전체 작품 속에서 그 의미를 파악한 것으로 두보의 경우에는 ‘以杜釋杜’, 이백의 경우에는 ‘以李釋李’의 방법론에서 도출한 결과였다.
    성호는 굴원과 두보 및 이백의 작품을 시의 준칙으로 인식하고 그들 작품에 대해 꼼꼼히 변증하거나 자신의 견해를 과감하게 제시했다. 이는 시의 준칙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 이후 시인들의 작품도 그러한 맥락에서 파악하거나 이해할 수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영어초록

    『Seonghosaseol(星湖僿說)』 made by Seongho Lee-Ik, was encyclopedic. He has made various efforts in the 「Shimunmun」 for the full understanding of the works of Ch`u-yuan(屈原), Du-Fu(杜甫), Lee-Bai(李白). This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ir work is an example of poetry.
    He first presented his viewpoint objectively and persuasively based on the contents of various books about the parts that he did not notice or omit in the existing commentary. He also meticulously addressed objective facts about commentary errors. In particular, he has persuasively developed his argument by pointing out the error through the internal relevance of the entire work on general information related to his work He approached the 「Hoesabu(懷沙賦)」 of Ch`u-yuan(屈原) in the flow of 『Chosa(楚辭)』. It was not the work that was built when the dragon was drowned in water, but it was a work that was made with longing for Changsha(長沙). Even in the case of Lee-Bai, ‘Chipo(秋浦)’ was recognized as a proper noun, not a general noun. The ‘Baegbalsamcheonjang(白髮三千丈)’ did not depict itself, but accepted it as a frozen waterfall in the water. This is the meaning of each poet in the whole work. He was the result of the methodology of ‘Iduseogdu(以杜釋杜)’ in the case of Du-Fu and the method of ‘Ileeseoglee(以李釋李)’ in the case of Lee-Bai.
    He perceived Ch`u-yuan, Du-Fu and Lee-Bai as rules of the poetry and thoroughly explored their works or offered their opinions boldly. This is due to the recognition that the poet's work can be grasped or understood in that context sinc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poet's rules must be prec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