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잊힌 화순 유학자의 재발견 — 心圃 文炯의 삶과 성리학적 사유 — (The Rediscovery of the Forgotten Hwasun Confucianist - ‘Shimpo(心圃) MoonHyung(文炯)’s life and Neo-Confucianism though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3.03
29P 미리보기
잊힌 화순 유학자의 재발견 — 心圃 文炯의 삶과 성리학적 사유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90호 / 193 ~ 221페이지
    · 저자명 : 조우진

    초록

    본 논문은 전남 화순의 유학자 心圃 文炯(1882~1936)에 관한 첫 연구로서 그의 삶과 성리학적 사유를 개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형은 1882년에 태어나 구한말 개항기 28년과 일제강점기하에서 26년을 살았던 인물로 蘆沙 奇正鎭의 문인 日新齋 鄭義林의 직전제자이다. 그는 정주학을 자기 학문의 표준으로 삼아 화순지역에 노사학의 씨앗을 뿌리고 성리학적 질서를 뿌리내려 유학적 전통 가치를 지키려고 했던 ‘碩果’와 같은 존재였다.
    문형은 노사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학파와 학자들의 문집을 독학하고, 호남과 영남의 노사학파뿐만 아니라 화서학파·한주학파·문장가 등 당대 최고의 석학들과 토론하여 성리학적 논쟁점을 종합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그 과정에서 많은 저술을 남겼다. 특히 문형은 『蘆沙集』을 읽고 중요한 부분을 편집한 『蘆沙集節要』라는 책을 저술했는데, 이를 통해 문형이 노사학파의 일원으로서 노사와 스승 정의림의 학맥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고자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아쉬운 것은 『노사집절요』 서문만 남아있을 뿐 현재까지 그 저술을 직접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는 말년에 <聞可契>를 조직하여 화순지역을 중심으로 후학양성과 노사학파의 계승에 힘썼으며, 이것은 후학들에 의해 21세기 초반까지 이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문형의 삶과 성리학에 대한 그의 학문적 관심과 성과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필자는 문형에 관한 후속 연구를 통하여 성리학적 측면에서 중요한 개념인 마음[心]의 문제, 문학적 측면에서 노사학파의 문장론에 대한 그의 태도, 사상적 측면에서 학파 간 교유 관계 등을 심도 있게 다루어 보려고 한다. 이러한 논의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질 때, 호남 유학사에서 문형의 위치와 화순 근대유학의 지형도를 새롭게 그릴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utline his life and Neo-Confucianism thought as the first study of a Confucianist Shimpo(心圃) MoonHyung(文炯) of Jeollanam-do Hwasun. He was born in 1882, lived through 28 years the opening period of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26 years of Japanese colonization. Also He was a disciple of IlShinJae(日新齋) JungEuirim(鄭義林) who was the literary people of Nosa(蘆沙) KiJeongjin(奇正鎭). He felt a sense of grief and responsibility as an intellectual of a ruinous country and went on his own academic path. In other words, he wanted to establish an Neo-Confucianism's order by spreading Nosahak(蘆沙學) regarding ChéngZhūxué(程朱學) as the standard of academy in Huashun, that is like a 'Seokgwa(碩果)' preserving the traditional values of Confucianism.
    While studying alone about various schools and the collection of works of scholars with a focus on Nosahak(蘆沙學), he debated not only Nosa School(蘆沙學派) of Honam and Yeongnam but also the best scholars of his time- Hwaseo School(華西學派), Hanju School(寒洲學派), and writers etc. and He strived to synthesize the controversial points of Neo-Confucianism, left many writings in the process. In particular, He read the Nosajip(蘆沙集) and wrote the Nosajipjeolyo(蘆沙集節要) edited important parts in. In this respect, it can be seen that he tried to inherit and develop the scholarly lineage of Nosa(蘆沙) and his teacher JungEuirim(鄭義林) as a member of the Nosa School(蘆沙學派). Unfortunately, Nosajipjeolyo(蘆沙集節要) has not been handed down so far, so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contents directly. In his later years, he organized Mungagye (聞可契) in Hwasun to promote the training of younger students and the succession of the Nosa school, which has been continued by younger students until the early 21st century. In other words, he was the best philosopher in Honam who practiced Hohak(好學) centering on the Tao of Confucianism while looking at the reality that Neo-Confucianism was disappearing.
    In this paper, I looked at an overview of his life and his scholarly interests and achievements on Neo-Confucianism. Through subsequent research on him, I would like to study deeper into the issue of Shim(心) been an important concept in respect of Neo-Confucianism, his attitude toward the Nosa School(蘆沙學派)'s sentence theory in respect of literature, and his interaction with the schools in respect of thought. When these discussions are synthesized, his place in the history of Honam Confucianism and the topographical map of modern Confucianism in Huashun will be redef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