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사학파 구암(龜巖) 문송규(文頌奎)의 삶과 사유 (The Life and Thought of KuAm(龜巖) MunSonggyu(文頌奎) of the Nosa School(蘆沙學派))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4.02
31P 미리보기
노사학파 구암(龜巖) 문송규(文頌奎)의 삶과 사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117호 / 7 ~ 37페이지
    · 저자명 : 조우진

    초록

    본 논문은 노사학파(蘆沙學派) 인물 연구의 일환으로 지금까지 공개되지 않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직전제자 구암(龜巖) 문송규(文頌奎)의 삶과 사유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문송규는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출신으로 30살에 생을 마감한 구한말 유학자이다. 그는 일찍이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의 수리(數理)를 공부하였으며, 18세 이후에는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과 함께 기정진을 찾아가서 리(理) 중심의 성리학적 사유체계를 수학하였다. 스승 기정진이 죽은 뒤에는 정의림과 학문적 교류를 이어 나갔다.
    문송규는 기정진을 만나기 전에 하도와 낙서를 통해서 우주 만물의 변화를 다음과 같이 이해하였다. 첫째, 기존 학자들이 하도와 낙서를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으로 분리했던 방식과 달리 하도 속에서 상생과 상극을 설명하였다. 둘째, 천지 사이의 존재와 그 변화를 ‘음양호택(陰陽互宅)’과 ‘음양호근(陰陽互根)’이라는 대대(待對)와 유행(流行)의 방식으로 이해하였다. 셋째, 인간의 감정인 희노애락(喜怒哀樂)을 오행(五行)의 상생과 상극으로 해석하였다. 넷째, 자연의 물상(物象)을 오행(五行)의 구조로 사유하였다.
    문송규는 스승 기정진의 위정척사(衛正斥邪) 사상과 주리적(主理的) 학문체계를 계승하면서 “천지 사이에는 ‘하나의 이치[一理]’일 따름이다.”라는 명제를 제시하였다. 천(天)·제(帝)·태극(太極)·성(誠)·신(神)·덕(德)·도(道)·명(命)·성(性)·심(心)·정(情) 등은 모두 ‘하나의 이치’를 설명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인의예지(仁義禮智) 또한 ‘하나의 이치’인데, 가리키는 바에 따라 이름을 달리한 것이다. 더 나아가 문송규는 ‘하나의 생각[一念]’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여 선(善)한 생각과 악(惡)한 생각에 따라 요·순(堯·舜)과 걸·척(桀·跖)으로 나누어진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화(禍)와 복(福)은 밖으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쌓은 선과 불선에 따라 저절로 이른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s part of a study of the figure of the Nosa School(蘆沙學派), to summarize the previously unpublished life and thought of KuAm(龜巖) MunSonggyu(文頌奎) who was a last direct disciple of Nosa(蘆沙) KiJeongjin(奇正鎭). MunSonggyu was a late period Joseon Dynasty confucian from Cheongpung-myeon, Hwasun-gun, Jeollanam-do, who died at the age of 30. He early studied HaDo(河圖) and NakSeo(洛書)’s SuLi (數理), and after the age of 18, he visited to KiJeongjin with Ilsinjae(日新齋) JungEuirim(鄭義林) and studied the Li (理)-centered Neo-Confutian thought system. After his teacher KiJeongjin died, he trusted and interacted with JungEuirim studies.
    Before meeting KiJeongjin, MunSonggyu understood the changes in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rough HaDo and NakSeo as follows. First, he explained SangSaeng(相生) and SangGeuk(相剋) in HaDod, unlike the way scholars separated HaDod and NakSeo into SangSaeng and SangGeuk. Second, he understood the way of existence and change between heaven and earth as a way of DaeDae(待對) and YuHaeng(流行) which is regarded as ‘EumYangHoTaek(陰陽互宅)’ and ‘EumYangHoGeun(陰陽互根)’. Third, he interpreted the human emotion HuiNoAeRak(喜怒哀樂) as SangSaeng and SangGeuk of OhHaeng(五行). Fourth, he thought of all things in nature as the structure of the OhHaeng.
    MunSonggyu presented the proposition that “there is only ‘IlLi(一理)’ between heaven and earth.” while inheriting the idea of WieJeongCheokSa(衛正斥邪) and JuLi(主理) centered academic system of his teacher KiJeongjin. Cheon(天)·Jae(帝)·TaeGeuk(太極)·Seong(誠)·Shin(神)·Deok(德)·Do(道)·Myeong(命)·Sung(性)·Shim(心)·Jeong(情) are all concepts tha describe ‘IlLi’. and InUiYeJi(仁義禮智) is also IlLi, which is named differently according to what it refers to. MunSonggyu also thought of as being divided into Yo·Sun(堯·舜) and Geol·Cheok(桀·跖) based on good and bad thought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lNyeom(一念)’. Therefore, Hwa(禍) and Bok(福) do not come from outside, but come by themselves according to the good and bad that one has accumul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