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日象文연구 (A Study of Solar Patterns(日象文) in the Koguryo Tomb Mura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9.07
30P 미리보기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日象文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구려발해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34권 / 101 ~ 130페이지
    · 저자명 : 김주미

    초록

    日象文의 형태적 식별이 가능한 17기 고구려 고분을 대상으로 하여 편년 검토 및 제안, 日象文의 형식 분류, 日象文의 시기별 양식 특징과 천하관의 추이 등을 살펴보았다.
    우선 銘文자료, 墓室구조, 벽화 내용의 변천, 기존 편년 案등을 고려하여 17기 고구려 고분에 대한 편년을 제안했다. 한편 日象文의 형식 분류는 日象文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상징적 의미를 갖는 圓과 圓안에 표현된 瑞鳥의 有無및 動勢등을 기준으로 삼았고, 아울러 삼국시대 이후 전개되는 日象文과 의 관련성도 고려했다. 그 결과 형식 Ⅰ〔圓안에 날개를 접은 채 서 있는 瑞鳥〕, 형식 Ⅱ〔圓안에 날개를
    반원형으로 펼친 채 서 있는 瑞鳥〕, 형식 Ⅲ〔圓안에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瑞鳥〕, 형식 Ⅳ〔圓으로 구성된 日象文〕등 4개의 日象文형식을 도출했다.
    또한 본인이 제안한 편년 案과 日象文의 형식 분류 상에 보이는 특징 및 고구려의 시대 상황 등을 반영하여 5세기 초에서 6세기 초, 6세기 중반에서 7세기 초 등 두 시기로 나누어 日象文의 양식 특징과 천하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5세기 초에서 6세기 초의 日象文은 형식 Ⅰ〔圓안에 날개를 접은 채 서 있는 瑞鳥〕이 주류를 이루며, 日象안의 瑞鳥를 天命의 전달자란 측면에서 볼 때 날개를 접은 채 서 있는 瑞鳥의 모습은 天命이 움직이지 않고 한 곳에 머물렸던 정치적 안정기를 상징한다. 이를 뒷받침하듯 5세기 초에서 6세기 초는 고구려가 동북아시아 일대의 패권을 차지했던 최전성기이며, 이러한 시대 배경 하에서 고구려인 들은 자국 중심의 자주적인 천하관을 형성한다. 5세기 금석문인 廣開土大王碑와 牟頭婁墓誌에서 고구려의 최고 통치자를‘皇天之子’,‘ 日月之子’로 표현한 것은 바로 이러한 고구려인의 자주적 천하관을 반영한 것이다.
    6세기 중반에서 7세기 초의 日象文은 형식 Ⅱ〔圓안에 날개를 반원형으로 펼친 채 서 있는 瑞鳥〕가 다수를 차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日象안의 瑞鳥를 天命의 전달자로 볼 때 날개를 반원형으로 펼친 채 서 있는 瑞鳥의 모습은 天命이 떠나려 하거나 天命이 머물기 위한 前단계 즉, 정치적으로 다소 불안정한 시기를 나타낸다. 이를 말해주듯, 6세기 중반에서 7세기 초는 고구려가 내적으로 귀족연립정치의
    전개와 지방분권화의 진행을 겪게 되는 등 정치적ㆍ사회적 혼란에 직면하고, 외적으로는 신라가 성장하여 한강 유역을 장악하고 中原에 隋ㆍ唐과 같은 통일 왕조가 등장하여 국제 질서의 재편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隋, 唐이 중국 중심의 일원적인 국제 질서 개편을 위해 주변 세력에 대해 압력을 행사할 때 고구려는 이에 굴복하지 않고 의연하게 대항하는 등 자주적 면모를 잃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들을 거치면서 고구려적 天下는 점차 와해의 길을 걷게 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review and propose chronological recording of Koguryo tomb murals, to classify types of solar patterns and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s of solar patterns and transitions in world view per period by looking at the mural paintings in 17 Koguryo tomb murals of which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solar patterns was possible.
    For reviewing and proposing the chronological recording of Koguryo tumb murals, I examined the existing chronicles by considering written data and structures of the burial chambers, etc., then proposed the chronological recording of tomb murals with consideration given to transitions in the contents of mural paintings, etc. In the mean tim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solar patterns was based on circles as well as motions and existence of auspicious birds inside the circles, etc., which hold symbolic significance as the important components of solar patterns. In addition, I considered the relevance to solar patterns developed after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s a result, I derived classification of solar patterns into 4 types, such as Type I (auspicious birds standing in a circle with wings folded), Type II (auspicious birds standing in a circle with wings spread in a semicircle), Type III (auspicious birds standing about to fly off form a circle with spread wings) and Type IV (solar patterns consisting of circles)
    In addition, I examined characteristics of the styles of solar patterns and transitions in world view for two periods, such as from the early 5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and from the mid 6th century to the early 7th century, by reflecting characteristics displayed in the plan of chronological recording and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solar patterns proposed by myself as well as the political circumstances of Goguryeo, etc.
    The majority of the solar patterns from the early 5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was of Type 1 (auspicious birds standing in a circle with wings folded). Regarding the auspicious birds inside solar patterns to be the messengers of Heaven’s will, I construed that the image of auspicious birds standing with the wings folded symbolized the period of political stability in Koguryo during which the Heaven’s will stayed at a single place without shifting away. As if supporting this view, the period from the early 5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was the time when Koguryo enjoyed the greatest prosperity to hold sway of the areas around Northeast Asia. Under the circumstances, the people of Koguryo formed an autonomous world view centering on their own country. The fact that the 5th century epigraph in the Monument of Gwanggaeto the Great and the Tomb of Moduru described the highest ruler of Koguryo as the‘ Son of the High Heaven’or the ‘Son of the Sun and the Moon’reflects the independent and autonomous world view of the people of Koguryo. For the period from the mid 6th century to the early 7th century, a majority of the solar patterns is of the Type II (auspicious birds standing in a circle with wings spread in a semicircle). As aforementioned, auspicious birds inside solar patterns were regarded as the messengers of the Heaven’s will. Therefore, the image of auspicious birds standing with the wings spread in a semicircle was construed to symbolize the stage where Heaven’s will was about to shift away or just before it was settling to stay - in other words, the period of a slight political instability. To back this up, Koguryo internally faced political and social chaos during the mid 6th century ∼ early 7th century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coalition politics by the nobility and decentralization of power. Externally, Shilla expanded to hold control the areas near Han River and the unified dynasties, such as Su and Tang, began to establish themselves in China to restructure the international orders during the period. While Su and Tang dynasties exercised pressure on the surrounding nations in order to restructure the international orders centering on China, Koguryo did not succumb to this and kept its autonomy by resolutely confronting the Chinese dynasties, etc. However, through these processes, the world view of Goguryeo slowly headed in the direction to fall do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구려발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