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함경도 망묵굿의 <타승풀이>와 티벳 『사자의 서』에 나타난 저승관념 연구 (The Study of notion of afterlife in of Mangmuk-gut in Hamgyoung-do and Tibet’s 《Book of the Dead》)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2.06
34P 미리보기
함경도 망묵굿의 &lt;타승풀이&gt;와 티벳 『사자의 서』에 나타난 저승관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50호 / 113 ~ 146페이지
    · 저자명 : 김은희

    초록

    본고는 우리의 함경도 망묵굿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한국 굿의 죽음관인 저승관의 이해하기 위해서 함경도 망묵굿의 <타승풀이>와 티벳의 『사자의 서』를 선택해서 저승관을 비교하였다. 본고에서는 불교의 저승관이 선명하게 드러나는 저승여정을 들어서 죽은 망자에게 들려주는 구비적 연행을 하는 구비무가로서의 특징을 통해서 비교하였다.
    두 자료는 ‘불교’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저승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형식에서 유사하게 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저승에서 죽음 이후의 저승여정 대해서 각각의 형식에 따라서 그려지고 있는 부분이 있으나, 그 문화가 가진 근본적인 종교적 배경의 차이와 종교의 지향점의 차이에 따라 매우 다른 면모를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했다. 즉 같은 면모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나 그 실제에 있어서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확인되었고, 이를 다음의 세 가지를 들어서 정리할 수 있다. 그 종교적 배경은 같지만 그 실상에서 차이가 있는 점을 다음의 두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 함경도 망묵굿의 <타승풀이>와 티벳의 『사자의 서』는 불교를 저승세계를 구성하는 세계관을 통해 저승을 구현하고 있다. <타승풀이>의 저승은 고대에 우리에게 익숙한 저승의 모습이 불교의 저승과 혼합된 모습으로 구현된다. 『사자의 서』는 저승에서 지옥에 대해서 엄격하게 강조하는 것으로만 나타나지 않는다. 오히려 망자가 이 세상의 근원을 깨닫고 참자아를 발견함으로써 가시적인 세계가 허상임을 깨닫는 것에 초점을 둔다.
    둘째, 두 자료는 모두 불교의 저승관이 투영되어 환생이라는 관념을 공유한다. 『사자의 서』에서 말하는 환생이 깨달음 얻는 것을 실패한 자들이 선택하게 되는 길이라는 인식이 드러나는 것과 달리, <타승풀이>는 환생을 이승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환생을 통해 전생에서 얻지 못한 만복을 누릴 기회로 인식하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타승풀이>와 『사자의 서』는 망자 개인의 죽음을 통해 모든 인간에게 적용되는 죽음의 과정으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 보편적으로 공유된 저승관을 보여준다. 이러한 작업을 『사자의 서』는 불교의 세계관 안에서, <타승풀이>는 무속의 세계관 안에서 그 저승세계에 대한 한 단면을 해석해주는 매우 중요한 대상으로 재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타승풀이>는 문명권의 중심세력에서 발생한 중세종교가 가진 권위에 대한 도전이며, 중세종교의 권위를 벗어던질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심판과 벌을 받는 지옥은 중세불교의 법칙을 따르는 형국을 취하고 있으나, 실제는 현세중심적 세계관의 표상을 통해 파괴된다. 무속에서 만들어낸 해결책을 통해 결국 불교에서 말하는 환생마저도 우리식으로 바꾸어버린다. 이로써 중세에서 강조하는 세계관의 핵심적 틀을 깨는 파격을 보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Hamgyong-do Mangmuk-gut.In order to understand the notion of afterlife view of Korean-gut, the article analyzes and compares <Tasung-puri> of Hamgyong-do Manmuk-gut and Tibetan 《Book of the Dead》. The differences found in the reality despite of the same religious background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of all, <Tasung-puri> of Mangmuk-gut in Hamgyoung-do and Tibetan 《Book of the Dead》 both embody the Buddhist worldview of the underworld. But the afterlife of <Tasung-puri> is shaped as a mixture of ancient and Buddhist afterlife. In the underworld of Tibetan 《Book of the Dead》, the dead are told to realize the source of the world and discover the true self.
    Secondly, both docuements share the notion of reincarnation of Buddhism. However, the reincarnation of Tibet is chosen by those who fail to attain the enlightenment. On the other hand, <Tasung-puri> is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enjoy full happiness that was not obtained in the previous life through reincarnation. <Tasung-puri> reflects the perception of the present world in a positive light.
    To sum up, The <Tasung-puri> and Tibetan 《Book of the Dead》 present the process of human death throughout an individual death. The notion of afterlife, which is universally shared, is seen. This work is carried out through the worldview of Buddhism in Tibetan 《Book of the Dead》 and <Tasung-puri> through the worldview of shamanism.
    Through these studies, it can be seen that the “Taeseungpuri” is challenging the authority of medieval religions that arose from the central power of civilization. It suggests an alternative to the medieval religion with shamanism to break out of its authority. In the end, <Tasung-puri> presents the reincarnation of Buddhism in our shamanism way. In other words, it broke the core of the worldview that was important in the Middle 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