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涅槃宗要』 <三事門>의 불일불이(不一不異) 화쟁론: 체상․총별․법신 유․무색론(法身有無色論)에 대한 원효의 논의를 중심으로 (The Discourse of Hwajaeng of ‘Neither identity nor difference’ in Doctrinal Essentials of Mahāparnirvāṇa-sūtra: Wonhyo’s discussion on Noumena and Phenomena, Totality and Distinctness, and the Questio)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8.12
30P 미리보기
『涅槃宗要』 &lt;三事門&gt;의 불일불이(不一不異) 화쟁론: 체상․총별․법신 유․무색론(法身有無色論)에 대한 원효의 논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6호 / 163 ~ 192페이지
    · 저자명 : 김태수

    초록

    원효(元曉, 617~686)는 『涅槃宗要』 「열반문」 <三事門>에서 제시된 체상(體相)·총별(總別)에 대한 논의와 ‘법신 색의 유무(有無)’ 문제에서 관점에 따른 비일비이(非一非異)적 화쟁방식을 보인다. 이는 『涅槃宗要』 서두에서 제기한 『大般涅槃經』 종지인 ‘여래비장(如來祕藏)의 무이실성(無二實性)’ 법문으로부터 분화된 논의를 체상․총별․유무 등의 두 가지 문[二門]으로 교차시킨 후 다시 일심문(一心門)의 측면에서 여래비장 법문으로 회통시키는 구도이다.
    법신·반야·해탈이라는 삼사의 관계 또한 여래가 비장한 무이실성이나 법신을 여러 측면에서 바라본 관점적 불일불이 구도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체상(體相)·총별(總別) 등의 측면에서 관점에 따른 법신·반야·해탈의 삼사(三事) 또는 삼법(三法), 삼덕(三德) 간의 상의 상관적 관계로 볼 수 있다. 이로부터 전개된 논의 또한 불일불이(不一不異)적 회통구조를 드러낸다.
    ‘법신은 색이 있는가?’에 관한 논의에서도 ‘법신은 무색이지만 법신[體]의 무한한 속성을 드러내는 상의 측면에서는 유색으로 포섭된다’는 논리로 모순을 풀어나가는 불일불이론을 나타낸다. 이로써 ‘유색․무색에 관한 서로 다른 주장들은 비일비이의 여래비장 법문을 근거로 모두 도리가 있는 것’으로 화쟁된다.
    논지전개 방식은 관점을 달리해서 보면 각 주장이 모순되지 않는다는 관점적 화쟁 양태를 보인다. 상대를 설복시키려는 논법과 다르기에 논증식의 구조를 취하기보다는 5지나 3지 형식을 변형한 주장·이유·경증이나 주장·예증·적용(法喩合) 등이 개합적으로 활용된다. 한편, 저술의도의 차이로 인해 이유(hetu) 또한 부정인(anaikāntika-hetu)으로 되기 쉬운 포괄적 이유를 사용하여 차별적 입장으로부터 공통적 근거를 마련하는 특성을 드러낸다.
    따라서 <三事門>의 불일불이(不一不異) 화쟁론은 엄밀성을 요구하는 논증식과 달리. 교차배어(交差配語)를 활용한 연역적 개합논법을 통해 상이한 견해를 상호연계적으로 회통하는 긍정적 의미순환론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Wonhyo(617~686), in his discussion of Noumena and phenomena, totality and distinctness, and the question of the existence of form in Dharmakāya shown in the gate of three characteristics of Doctrinal Essentials of Mahāparnirvāṇa-sūtra manifests the discourse of hwajaeng characterized by ‘Neither identity nor difference.’ This is the scheme to return to the door of the Dharma of Tathāgata’s secret concealment from the perspective of one-mind after intersecting two gates of Noumena and phenomena, totality and distinctness, and existence or non-existence diversified from the dharma of non dual dharmatā of Tathāgata’s secret concealment as is suggested in the first part of Doctrinal Essentials of Mahāparnirvāṇa-sūtra as the main doctrine of the Mahāparnirvāṇa-sūtra.
    The relationship among three characteristics of Dharmakāya, Prajñā and Liberation can be understood as the scheme of ‘Neither identity nor difference’ which perceives non dual dharmatā or Dharmakāya of Tathāgata’s secret concealment from the various aspects. That is, it manifests mutually dependent relationships among three characteristics (dharmas or attributes) of Dharmakāya, Prajñā and Liberation according to the perspectives of Noumena and phenomena, totality and distinctness, and the question of the existence of form in Dharmakāya.
    Likewise, the argument over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form in Dharmakāya reveals the structure of ‘Neither identity nor difference’ through disentangling the contradiction with the logic of different perspectives. It presents the logic of encompassing the discourse on the existence of form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a, and of revealing infinite attributes of Dharmakāya while explaining the Dharmakāya without form from the perspective of dharmatā. Hereby, different views over the existence of form are harmonized as holding enough reason from the perspective of ‘Neither identity, nor difference’ following the dharma gate of Tathāgata’s secret concealment.
    In its logical aspect, similar features of 5 part syllogisms as well as three-part syllogism are found. Yet, since it is the method of inducing harmony of disputes perspective-wise, it seems to assume a common shape of syllogism without a rigorous form, unlike the dispute situation where one has to argue the opponent into one’s own position. Due to this difference of writing intention, reason (hetu) supporting the proposition is liable to be considered as indeterminate (anaikāntika-hetu) as it contains the comprehensive meaning which can be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Nontheless, Wonhyo’s discourse of ‘Neither identity nor difference’ represents the positive logic of deductive structure of ‘opening and sealing’ while circulating various meanings with chiasmatic phrases interconnected with one an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