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회중의 기억과 설교를 통한 상기: 크래독(Fred B. Craddock)의 기억과융(Carl G. Jung)의 집단적 무의식의 비교를 중심으로 (Memory of Congregation and Reminding through Preaching: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Craddock’s Memory and Jung’s Collective Unconsciousnes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8.10
22P 미리보기
회중의 기억과 설교를 통한 상기: 크래독(Fred B. Craddock)의 기억과융(Carl G. Jung)의 집단적 무의식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110호 / 301 ~ 322페이지
    · 저자명 : 양승아

    초록

    본 연구는 심리학적 차원에서 설교와 회중과의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설교가 회중의 삶에서 실천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래독의 기억과 융의 집단 무의식을 비교 연구하였다. 크래독은 회중을 수동적 청취자로 보지 않았다. 오히려 회중을 설교의 적극적 참여자로 이해했다. 왜냐하면 회중은 설교를 듣고, 자신의 경험 속에서 상상하고, 자신의 삶에서 실천함으로서 완성해 나가기 때문이다. 그래서 크래독은 회중에 대한 관심을 기울인다. 크래독은 설교가 회중의 기억을 상기시키는 역할은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이해는 심리학의 도움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유추된다. 크래독의 보편적 기억과 융의 집단적 무의식, 크래독의 기억의 변화와 융의 원형상의 변화, 크래독과 융의 상징을 통한 상기, 크래독과 융의 상기와 상상력의 연관성은 서로 유사하게 보인다. 이는 크래독의 기억에 대한 이해는 융의 심리학의 도움을 받았다는 것을 유추케 한다. 그런데 크래독은 심리학이 가진 한계를 인식한다. 그래서 크래독은 기독교 공동체만의 기억의 독점성, 해석을 통한 기억의 변화의 확장성, 그리고 상기의 계시성을 통해 심리적 차원에 국한된 융의 집단적 무의식의 한계를 극복한다. 그러므로 설교자는 심리학적 관점에서 회중에게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동시에, 기독교의 계시적 독점성과 특수성을 보다 확실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Korean churches are in the floods of preaching. Numerous preaching is transmitted through various media, and congregation can easily access to preaching at any time and place. As many preachers preach, many Christians hear preaching. However,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are criticized for failing to practice Christian values from society. This may be an evidence that the sermons in Korean churches are not being carried out fully, overlooking the reality that preaching is accomplished through the practice of the congregation. Therefore, in order for the Korean church to change, the petterns of preaching must be changed. This should be done with paying attention to the congregation.
    Craddock did not view the congregation as a passive listener. Rather, he understood them as active participants in preaching. They listen to preaching, imagine it in their own experience, and accomplishes it by practicing in their own lives. So Craddock focuses on the congregation. Craddock considered preaching as a reminder of the memory of the congregation. This perception seems to have been made with the help of psychology. The Cradock’s universal memory and Jung’s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Craddock’s changes in memory and Jung’s changes in archetypal image, bilateral relation between symbol and remind, and bilateral relation between imagination and remind seems similar. This suggests that Craddock’s understanding of memory has been buttressed by Jung’s psychology. But Craddock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psychology. Thus, Craddock emphasizes the monopoly of the Christian community’s memory, the expansion of the memory change through interpretation, and the revelation of the reminding. Through this, he overcomes the limits of Jung’s collective unconsciousness confined to the psychological dimension.
    The change of Korean churches will be possible by paying attention to the congregation and by preaching that can be practiced through the congregation. To this end, the preacher must understand the memory of the congregation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being sensitive to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congregation’s life. However, the preacher must recognize the humanistic limitations of psychology. That is why preachers need to be more aware of the revelatory monopoly and specificity of Christia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독교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