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교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김애란 소설의 치유적 효용 ㅡ 정신분석의 ‘도구적 무의식’과 역전이 실연 개념을 통해 - (Therapeutic Effect of Kim Ae-ran's Novels from a Religious Psycholoical Perspective -Using J.D. Naggio's Concept of The "Instrumental Unconscious" and “Countertransference Enactment”)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3.10
34P 미리보기
종교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김애란 소설의 치유적 효용 ㅡ 정신분석의 ‘도구적 무의식’과 역전이 실연 개념을 통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69권 / 233 ~ 266페이지
    · 저자명 : 배용희

    초록

    이 논문은 자기서사와 작품서사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와 성장을 유도하는 문학치료학의 입장과 모든 인간을 성인(聖人)의 씨앗으로 보는 종교 전통들의 ‘자기서사’가 공명하는 부분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정신분석을 바탕으로 한 종교심리학의 관점에서 김애란 소설의 치유적 효용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김애란의 초기 작품들 중 일부는, 상담자가 ‘도구적 무의식’을 통해 내담자의 무의식에 있는 내용을 공감하고 시의적절하게 해석해 줌으로써 치유적 효과를 낼 수 있듯이, 당대의 독자들의 자기서사를 거울처럼 비추어 줌으로써 치유적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것은 우선 김애란이 당대 독자들과 같은 눈높이에서 보고자 하는 서사윤리를 충실히 감당하고자 했던 결과였다. <도도한 생활>이나 <자오선을 지나갈 때>를 중심으로 두 번째 작품집인 『침이고인다』와 세 번째 작품집인 『비행운』에 수록된 작품들의 대체적인 경향은 이런 거울 서사로서의 치유적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벌레들>을 보면 김애란은 단순히 텅 빈 스크린으로서 독자들의 자기서사를 비추어 주는, 소극적 치유의 역할에 머무르는데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것은 문학치료가 공명과 공감을 통한 감동을 주는 단계에서 ‘승리의 서사’와 ‘상생의 서사’ 등을 통해 자기서사를 보충하고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김애란은 독자들의 세계에 새로운 층위를 더하며 종교적인 차원의 삶으로 이끌어 가는 적극적인 역할을 감당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정신분석에서 상담자가 텅 빈 스크린의 역할에 머무르지 않고 역할반응성과 역전이 실연을 통해 내담자와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상호주관적 창작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therapeutic effects of Kim Ae-ran's novels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tic religious psychology. It is based on the position of literary therapy that induces change and growth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epic of self and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resonance between the common narratives of religious traditions that regard every human being as the seed of sainthood.
    First, we found that some of Kim's early works could have a healing effect by mirroring the contemporary readers’ epic of self just as a counselor can have a healing effect by empathically and timely interpreting the contents of a client's unconscious using the "instrumental unconscious." This was the result of Kim's faithfulness to the narrative ethic of empathizing with readers. <Dodohan In-saeng> and <When Passing the Meridian> in the second collection "Chimigoinda" can be said to have a strong healing character as mirror narratives.
    However, in <Bugs> in the third collection, we can see that Kim is not satisfied with the passive healing role of simply reflecting the reader's self-narrative on a blank screen. It can be understood as a progression of literary therapy from the stage of moving through resonance and empathy to supplementing and strengthening the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victory and the epic of coexistence. In that sense, Kim seems to be trying to take an active role in adding a new layer to the readers' reality construction and leading them to a religious dimension of life. This can be understood as a intersubjective creative process in which the therapist’s role is not a blank screen in psychoanalysis. In the intersubjective process, writer and readers influence and are influenced by each other through “role responsiveness” and “countertransference enactment”, and creates a story together. In short, it can be said that Kim and the readers are creating a narrative together, adding new layers to the epic of 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