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강점기 처용무의 춤동작과 무용서사 비교 : 일제강점기 1929년 무보(舞譜), <조선무악(朝鮮舞樂)>(1931) 영상자료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Dance Epic and Moves of Cheoyong Dance in Japanese Occupation and Present Time - Focusing on 1929 Mubo dance scor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the video material)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9.02
34P 미리보기
일제 강점기 처용무의 춤동작과 무용서사 비교 : 일제강점기 1929년 무보(舞譜), &lt;조선무악(朝鮮舞樂)&gt;(1931) 영상자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과학기술 / 15권 / 1호 / 9 ~ 42페이지
    · 저자명 : 최미연

    초록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이왕직아악부의 1929년 무보(舞譜)의 처용무와 1931년 영상자료의 처용무의 춤동작을 비교하고 무용서사의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시대 처용무는 70여년의 단절기간을 거쳐 이왕직아악부의 악사들에 의해 1930년 영친왕 환국공연을 준비하기 위해서 『악학궤범』․『정재무도홀기』 문헌에 따라 복원되었다. 당시의 기록이 국립국악원양성소 출신 이흥구의 책에 1929년 무보로 기록되어 있으며, 1931년 국립영화제작소에 무성영화 <조선무악-이왕가고전>이라는 영상자료로 남겨져 있다. 이 일제강점기 처용무의 기록은 2년의 간격을 두고도 서로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데, 1929년 무보의 처용무는 문헌보다는 당시에 전해져온 궁중무용 5인무인 연백복지무 등의 대형과 춤동작에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1931년 영상자료의 처용무는 1929년에 창작된 대형과 춤동작에서 문헌의 내용을 좀 더 보완하여 새로운 춤동작들이 생겨났으며, 이것이 현재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처용무로 전승되었다. 일제강점기의 처용무는 문헌과 달리 허리를 깊이 숙이는 동작이 많이 발견되며, 이는 조선시대 보다 ‘순응’의 서사가 더욱 심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당시의 악사들이 처용무를 왕을 송축하는 궁중무용의 의미로 보았으며, 또는 일제치하에 이왕직아악부의 억눌린 심리가 무의식적으로 춤동작으로 반영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1929년의 처용무는 사방대형의 처용이 중앙을 향해 들어갔다가 돌아나오는 동작이 있어, 현재는 사라진 문헌상의 ‘주선(周旋)’동작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동작은 현대인의 삶에서 가치가 하락한 ‘지속’의 서사가 당시에는 중요한 철학적 가치로 남아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took a note that the current Cheoyongmu was what was restored by the musicians during the period of Yiwangjik A-ak Society of Jose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n the current Cheoyongmu was compared to the Cheoyongmu that is indicated in the literatures such as 『Akhakgwebeom』 and 『Jeongjaemudoholgi』 where the restored Cheoyongmu is found, in the Mubo dance score of the students for court music at Yiwangjik A-ak Society of Joseon in 1929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in the 1931 silent image material <Joseon Muak–Yi Dynasty Classic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Cheoyongmu on Mubo dance score in 1929 was allegedly reproduced with reference to not only the literatures such as 『Akhakgwebeom』 and 『Jeongjaemudoholgi』 but also the form and composition of the five person royal court dance, which had already been handed down. Secondly, in 1929 Cheoyongmu, the confrontation between Cheoyong and the goddess of smallpox was expressed much shorter and more concise than the current Cheoyongmu and the meaning of praying for the king’s longevity was more abundant than the current Cheoyongmu. Third, Cheoyongmu in the 1931 video data was revised to reflect more dancing movement in the literatures such as 『Akhakgwebeom』 and 『Jeong jaemudoholgi』 than 1929.
    Fourth, the Cheoyongmu in 1931 had longer scenes of greeting Cheoyong on the front side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side, which reflected the enhanced ‘son and daughter epic’ by the choreographer to stress ‘conformity’. Fifth, the Cheoyongmu in 1931 displayed the tempo of gait succinctly in triple time while the current Cheoyongmu displayed the slower Sujecheon Jangdan in ten times with the addition of a motion of lifting and lowering one foot slightly in two times after two step walk. It can be presumed that the choreographers’ perception on Cheoyong changed from active selection to more prudent and relaxed selection in 'male and female epic' that stresses ‘selection’. Sixth, the Cheoyongmu in 1931 enhanced storytelling aspect more compared to the ‘Cheoyongmu’ in 1929 by adding ‘Samjin’, which is a three step walk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Suyangsumu Motion 1’ that has the meaning of the contest with the geddes of smallpox. Seventh, while the current Cheoyongmu has only one time of big backward stepping scene in terms of ‘Suyangsumu Motion 1’ followed by three times of forwarding scenes, the Cheoyongmu in 1931 has three times of big backward stepping scene in terms of ‘Suyangsumu Motion 1’ revealing the enhanced ‘son and daughter epic’ to stress ‘conformity’. It can be inferred that, in comparison with the current Cheoyongmu, the image of Cheoyongmu in 1931 adheres to the traditional principle of balancing “tying and untying” in Korean d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과학기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