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톨스토이는 삶의 무의미로부터 어떻게 의미탐색을 해나갔는가?: 『참회록』의 자기성찰에 드러난 '철학적 숙고'를 중심으로 (How did Tolstoy search for meaning out of the meaninglessness of life?: Focusing on the philosophical deliberation revealed in the self-reflection of "A Confessi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5.04
38P 미리보기
톨스토이는 삶의 무의미로부터 어떻게 의미탐색을 해나갔는가?: 『참회록』의 자기성찰에 드러난 '철학적 숙고'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간연구 / 55호 / 75 ~ 112페이지
    · 저자명 : 노성숙

    초록

    본 논문은 톨스토이의 자서전적 서술이 돋보이는 참회록 텍스트를 중심으로 그가 50세 즈음 인생의 중년기에 직면한 정신적 대위기의모습을 고찰한다. 이 글의 목적은 톨스토이 무의미병의 양상과 그 극복경험을 단지 철학적 논증으로 증명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의 사례에 드러난 ‘삶의 의미탐색’ 과정을 ‘철학자’의 눈과 귀로 경청하고 이해하면서‘무의미병’에 대한 자기성찰이 지닌 치유 가능성을 탐구하려는 것이다. 먼저 II장에서는 톨스토이가 처한 총체적인 삶의 위기가 무엇인지, 그리고 ‘삶의 무의미’가 그에게 어떤 중병으로 경험되었고, 그가 그 위기를 벗어나고자 했던 노력이 기존의 연구에서 ‘철학’이냐 ‘종교’냐의이분법적인 배타성을 통해서 어떻게 환원적으로 규정되고 있으며, ‘철학적’으로 해석되더라도 어떤 제한점을 지니고 논의되고 있는지를 밝혀본다.
    III장에서는 그의 가장 깊은 내면의 고민이 집중적으로 놓여 있는‘삶의 의미탐색’의 핵심단계들에 천착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하지않았던 이 단계에 대해 톨스토이의 참회록 텍스트를 전거로 하여, 철학과 신학, 이성과 신앙 ‘사이’에 놓인 톨스토이의 번민과 그의 사유 과정을 좀 더 면밀하게 밝혀낸다. 그리하여 이성과 신앙 사이에서의 ‘변증법적 사유하기’와 참된 신앙을 ‘주체적 삶으로 실천하기’의 중요성을 드러낸다. 끝으로 IV장에서는 삶의 의미탐색을 위한 톨스토이의 자기성찰에드러난 ‘역동적 존재’의 경험과 ‘철학적 숙고’가 지닌 치유적 함축성에대해서 알아본다. 톨스토이는 단순한 이성의 포기, 혹은 신앙으로의 비약에만 의존하지 않고, 오히려 ‘역동적인 존재’로서의 신을 ‘통합적으로’ 경험함으로써 치유에 이르게 되며, 그 이후에도 ‘이성과 신앙’ 사이에서‘신중하고 주의 깊은’ 태도로 계속 숙고를 멈추지 않는다. 이와 같이하여 본 논문은 톨스토이가 삶의 무의미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었는지를 단계별로 상세히 밝혀냄으로써, 톨스토이처럼 실제 삶에서의 무의미병에 시달리며 실존적 갈등을 겪는 현대인들을 좀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좀 더 가까이 다가서기 위한 초석을 다지는 데그 의의가 있다. 오늘날 톨스토이가 겪은 ‘무의미병’이 확산되고 있는국면에서 이러한 정신적 위기가 자해나 자살로 이어지지 않도록 미리예방적 차원에서 ‘삶의 의미에 대한 감수성’을 기르고, 이에 대한 ‘철학적 숙고와 자유로운 대화’의 기회가 제공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olstoy’s mental crisis, which he faced around the age of 50. It focuses on the text of “A Confession”, which features Tolstoy’s auto- biographical narrative. The paper’s objective is not to prove Tolstoy’s meaninglessness-illness or his experience of overcoming it with philosophical arguments. Instead,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healing through the self-re- flection of “meaninglessness” in his case by listening to and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life” through the eyes and ears of a “philosopher”.
    Chapter II thoroughly examines the crisis in Tolstoy’s life and how he expe- rienced “meaninglessness” as a serious illness, how his efforts to overcome the crisis have been reductively defined in existing research through the dichoto- mous exclusiveness of “philosophy” or “religion,” and the potential limitations in discussing it even when interpreted “philosophically.” Chapter III delves into the core stages of the search for the meaning of life, where the focus is on Tolstoy’s deepest inner concerns. These stages,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are explored in depth through Tolstoy’s “A Confession,” highlighting Tolstoy’s inner turmoil and thought process “between” philosophy and theology, or reason and faith. It is revealed that Tolstoy develops a dialectical thinking between reason and faith and the notion that practicing true faith is a subjective life.
    Chapter IV considers the healing implications of Tolstoy’s “experience of a dynamic being” and the “philosophical deliberation” revealed in his self-re- flection on the search for the meaning of life. Tolstoy’s approach is not based on abandoning reason or leaping into faith. Instead, he experiences God in unity as a “dynamic being,” and this heals him. Even after this epiphany, he continues to deliberate the correlation between “reason and faith” in a “prudent and careful” manner.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olstoy’s process for modern people who, like Tolstoy, suffer from existential conflicts and are plagued by the disease of meaninglessness in life. This paper discusses in detail how Tolstoy was able to escape the meaninglessness of life step by step. In today’s context, opportunities for “philosophical deliberation and free conversation” are vital for cultivating a “sensitivity to the meaning of life” in a preventive manner so that such a mental crises do not lead to self-harm or suici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