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장환 시에 나타난 ‘언어해체’와 ‘항일의식’의 관련성 연구 - 『전쟁』의 ‘시적 무의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dissolution of a language’ and ‘anti-Japanese sentiments’ in Oh Jang-Whan’s poetry - focused on the poetic nonsense of 「the war」)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4.06
40P 미리보기
오장환 시에 나타난 ‘언어해체’와 ‘항일의식’의 관련성 연구 - 『전쟁』의 ‘시적 무의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상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이상리뷰 / 21호 / 343 ~ 382페이지
    · 저자명 : 최라영

    초록

    「전쟁」은 모더니즘 기법을 활용하여 ‘만주사변’을 비롯한 ‘중일전쟁’ 전후의 현황과 전쟁의 야만성을 고발하고 있다. 형식과 내용 둘 다에서 전면적 언어해체는 ‘도서과 검열’을 통과하기 위한 시적 전략으로 간주된다. 즉 「전쟁」은 해체적 표현과 냉소적 태도 너머에 숨겨진 시인의 ‘의도’와 ‘의향’에 관한 독해가 요청되는 텍스트이다. 본고는 먼저, 「전쟁」에 나타난 ‘시적 무의미’의 ‘범주적’ 특성을 중심으로 ‘시적 의향’과 ‘언어 해체’의 관련성을 구명하였다. 다음, ‘시적 무의미’의 ‘결합적’ 특성을 중심으로 ‘언어해체’와 ‘출판검열’이라는 긴장관계에 의해 심층화되는 ‘시적 의도’ 즉 시인의 ‘항일의지’를 구체화하였다.
    첫째, ‘범주적 이탈’의 무의미는 복합적이고 전면적으로 구사되고 있는데, 이는 조선말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의 경우 해체구문의 진의를 이해하기 어렵도록 한다. 이는 ‘도서과 검열’을 의식한 시인이, 궁극적으로 고발하고자 하는 내용을 ‘형식적’으로 은폐하고자 한 ‘시적 의향’과 관련이 있다. 둘째, ‘어휘의 무의미’는 주로, ‘독가스류’, ‘전함류’, ‘무기류’, ‘살인광선’ 등의 세부항을 구체화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것은 ‘만주사변’을 비롯하여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 등에서 일본이 개발,사용한 실제 무기종류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상황의 무의미’는 ‘나의 아저씨’, ‘죽어가는 병사’, ‘출산하는 처녀’ 등을 조롱하거나 냉소하는 태도와 관련하여 활용된다. 그럼에도 이어지는 시적 무의미 어구들과의 결합적 관계에 의해 이 대상들은 결국, 평범하고 무고한 우리 민족의 일원임이 밝혀진다.
    특히 이 장시의 중심대상 즉 ‘나의 아저씨’, ‘죽어가는 병사’, ‘서정시인(나)’, ‘출산하는 처녀’ 등에 주목한다면, 시적 무의미 범주 각각의 표층적 의미항은 상호 간의 결합적 관계에 의해 그 의미맥락이 역전적으로 전복되는 ‘수수께끼의 무의미’를 형성하고 있다. 즉 시인이 비하하고 희화화하는 사람들, 즉 ‘생체실험대’에 누운 ‘나의 아저씨’, ‘캠풀’을 쓰지 못하고 ‘죽어가는 병사’, ‘비료가 되기로’ 결심하는 ‘서정시인/나’, 전쟁터에서 아기를 낳는 ‘조선인 처녀’ 등은, 당시 일본의 전쟁동원으로 인해 비인간적이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 평범한 우리 민족의 일원임을 알 수 있다. 「전쟁」은 한국어에 능숙하지 않은 검열관일 경우, 당시 동원되는 전쟁무기류를 열거하고 우리 민족을 비하하는 모더니즘 기법의 장시로 독해할 소지를 지니고 있다. 즉 ‘살인광선’을 인격화하고 우리 민족의 일원을 비하, 냉소, 조롱하는 ‘시적 무의미’의 어구들은, 당대의 해체적 기법을 사용하여 검열을 통과하여 ‘현실성’과 ‘시대성’에 충실하고자 한 시인으로서의 숙명과 각오를 전하고자 한 시적 장치였던 셈이다. 유의할 것은, ‘독가스’, ‘생체실험’, ‘전함류’, ‘조선위안부’ 등이 ‘만주사변’ 이후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까지 횡행하였던 당시 역사적 실제기록과 거의 일치한다는 것이다. 「전쟁」은 모더니즘적 해체방식을 경유한 ‘은폐’와 ‘고발’의 ‘시적 의향’에 의해 ‘일본의 전쟁야욕의 실제’와 ‘항일저항의 의지’가 심층적으로 부상된다.

    영어초록

    「the war」, the long poem of Oh Jang-Whan, accuses the current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Sino-Japanese War’, including the ‘Manchurian Incident’, and the barbarity of the war. The way of language disintegration, which appears entirely in both form and content,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poetic strategy to pass through the 'publishing department’s censorship' at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other words, 「the War」 is a text that requires reading the hidden intentions of the poet beyond deconstructive expression and cynical attitude. This paper categorizes the types of 'poetic nonsense' used in 「the War」 into four categorie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detailed expressions of each category.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categories of poetic nonsense' shown in 「the war」, his 'intent and intention' that are deeply meaningful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egories of poetic nonsense' and the ‘central object’ are analyzed. First, the phrases described through the nonsense of various and complex ways of ‘category mistake’ are difficult to understand for readers who are unfamiliar with the Korean language, which can be said that it is a poetic intent to conceal the main object from ‘censorship’. Second, 'the nonsense of vocabulary' is mainly used to specify details such as 'poison gas', 'battleships', 'weapons', and 'killing ray'.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these are real weapons developed and used by Japan in the Manchurian Incident,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Third, 'the nonsense of the situation' is mainly used in relation to the attitude of mocking or cynicism of 'my uncle', 'dying soldier', and 'birthing maiden'. Nevertheless, by the combined relationship with various poetic meaning phrases that follow, he makes us realize that these objects eventually are members of our ordinary and innocent people.
    When we pay attention to the central objects in this long poem, such as ‘My uncle’, ‘Dying Soldier’, ‘a lyric poet(me)’ and 'birthing maiden’, we can see that each superficial meaning term in each poetic meaning category forms the ‘enigma' in which the context of meaning is reversed by the combined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those whom the poet disparages and caricatures, such as ‘My uncle’ lying on a ’a biological experiment table, ‘Dying Soldier’ without a ‘campule’(an medicine), ‘lyric poet(me) deciding to be a Fertilizer, and ’Korean Maiden’ who gives birth to a baby on the battlefield, can be seen as members of the ordinary Korean people who faced an inhumane and tragic end due to Japan's mobilization of the war at the time. A Japanese censor who is not proficient in Korean may mistake 「The war」 as a long poem written through modernist technique that lists the weapons of war mobilized at the time and demeans our people. In other words, the expressions that personify ‘killing ray’ and disparage, ridicule and sneer Koreans are poetic devices to pass censorship through a deconstructive technique of that time and convey his in-depth intentions. Surprisingly, ‘poison gas’, ‘weapons’, ‘battle ships’, ‘Korean comfort women’(sex slavery) generally match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time,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The War」 shows an attempt to express the 'reality of Japan's war ambition' and 'willingness to resist Japan' by poetic intent of 'cover-up' and 'accusation' using the modernist techniqu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상리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