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예모 감독 영화 속 사랑과 여성이미지 연구 - 「집으로 가는 길」, 「산사나무 아래」, 「5일의 마중」을 중심으로 (The Love and the Image of Women in the Films directed by Zhang YiMou)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1.08
23P 미리보기
장예모 감독 영화 속 사랑과 여성이미지 연구 - 「집으로 가는 길」, 「산사나무 아래」, 「5일의 마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문화연구 / 56권 / 57 ~ 79페이지
    · 저자명 : 유진희

    초록

    본 논문은 중국 장예모 감독이 연출한 「집으로 가는 길」, 「산사나무 아래」, 「5일의 마중」, 세 편의 영화를 중심으로 영화 속 사랑과 여성의 이미지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장예모 감독은 이 세 편의 여성 중심의 애정영화를 통하여 “문화대혁명”이라는 특수한 사회・정치적 환경 속에서 꽃피운 남녀 간의 순수하고 열정적인 사랑 이야기와 끈끈한 가족애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으며, 아울러 이들의 사랑 속에 투영된 반인륜적이고 반인권적인 당시 사회상에 대해 이야기 하였다.
    결론적으로 「집으로 가는 길」과 「산사나무 아래」 두 편의 영화에서는 모두 사랑하는 남자가 먼저 죽지만, 두 영화의 공통점은 남녀가 생전에 욕망을 초월한 지고지순한 사랑을 그리고 있으며, 「5일의 마중」속 펑완위의 스토리는 얼핏 자오띠, 징치우와 다른 애정 스토리인 듯하나 동일한 시대적 아픔 속에서 상대방에 대한 남녀의 진실한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또한, 이 세 편의 영화 속에 묘사된 사랑에 관한 내러티브는 각기 다르나 상대방에 대해 무조건적이고 진실한 사랑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세 편의 영화는 현대사회에서 결핍된 남녀 간의 지고지순한 사랑을 중심으로 현실성과 희극적인 줄거리 구성으로 관중으로 하여금 깊은 공감대와 과거 순박했던 시대에 대한 향수를 자극하고 있다. 또한 영화 속 남녀 주인공들의 관계 속에 내포된 진실한 사랑에 대해 당시 파괴적이고 광기어린 삶속에서 상대를 배반하지 않고 지고지순한 사랑을 이루어가는 과정과 그 속에서 빛을 발하는 가족 간의 끈끈한 사랑과 포용 그리고 인내심과 희생을 기반으로 한 진실한 애정관계의 가치를 깨닫게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 of women and love focusing on three films, “The Raod Home”, “Under the Hawthorn”, and “Return”, directed by Chinese director Zhang Yi Mou.
    Director Zhang Yi Mou describes pure and passionate love stories and close family love between men and women blossoming in a special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called “The Cultural Revolution” through these three female-centered love affection films, and also talked about the anti-humanistic and anti-human rights social image projected in their love.
    In conclusion, these three films stimulate the audience with deep sympathy and nostalgia for the past, with realistic and comic plots centered on the pure love between men and women who are lacking in modern society. In addition, it makes us realize the value of true love relationship based on the process of achieving a loving and pure love without betraying the opponent in the destructive and mad life of the time, the close love, embrace, patience and sacrifice between the family members who shine in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