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구심리학의 심층해석이 서구불교계에 끼친 영향- 무의식과 아뢰야식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evance between Unconsciousness and Ālaya-vijñāna in Analysis and Healing of Mind)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7.03
24P 미리보기
서구심리학의 심층해석이 서구불교계에 끼친 영향- 무의식과 아뢰야식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9호 / 503 ~ 526페이지
    · 저자명 : 김동림

    초록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년)와 융(Carl Gustav Jung, 1875~1961년)은 무의식(無意識)을 포함한 서구심리학 이론들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근대 심리학의 개척시대는 인간의 병적 마음에 대한 임상치료의 시도뿐만 아니라 마음을 통해 인간의 본질을 묻는 철학적 문제마저 대두되는 시기여서 서양은 종교와 정신세계가 큰 변화를 겪었다. 융은 인도의 종교와 철학을 서구의 사고에 반영시켰고 이로 인해 서구심리학은 불교의 유식이론과 여러 측면에서 유사성을 띠고 있다. 서구심리학의 무의식과 불교의 아뢰야식 이론 사이에는 많은 유사성을 띠고 오랜 시간에 걸쳐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서구심리학은 정신치료나 심리치유와 같은 현실적 이유에서 시작된 것이기에 깨달음과 해탈을 추구하는 불교이론과는 사뭇 다른 점도 없지 않다. 그러나 반복되는 현실은 무의식과 아뢰야식의 유사성뿐만 아니라 상호 교류를 통한 실효성 측면의 연구가 끊임없이 밝혀지고 있다.
    서구심리학은 인간의 사고와 행동양식에 대한 심리적 근저를 무의식, 또는 잠재의식 이론을 통해 탐구하고 정신을 치유하지만 불교는 아뢰야식의 본질을 규명하고 이로 인해 인간심리에 존재하는 번뇌를 극복할 수 있는 전통적인 수행들을 제기한다. 서구심리학에서는 인간의 억눌린 심리들을 추출하기 위해 만다라치료, 명상 등의 방법을 적용시키고 나아가 약물의 보조적 도움을 받지만, 불교는 선정과 염불, 진언, 관상 등 천 여년 이상 마음에 억제된 번뇌를 일깨우고 벗어나는 기술들을 개발해왔다. 이 과정을 통해 서구심리학과 주변의 종교철학, 정신세계는 점점 인간의 본성에 대한 무자성과 유사한 해체 이론, 과정철학 등이 제기되고 이에 대한 논의는 결국 불교에 뜻을 두는 지식인과 대중들의 진지한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심리학에서 제기한 무의식과 불교의 아뢰야식에 대해 그 연원과 본성, 유사성을 비교해보고, 서구의 정신세계가 불교의 깨달음으로 접근해가는 점진적인 변화들을 고찰하려는 것이다. 심리학의 무의식과 잠재의식 이론이 불교의 아뢰야식과 그 본질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서로의 접점을 끊임없이 비교하는 현상을 통해 서구심리학이 불교의 깨달음을 지적하는 사회적 현상을 살펴보려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Ālaya-vijñāna and unconsciousness in influencing our mental activity. The early Buddhism limited mental activity to the teachings of six sense organs and eighteen dhātus. Later, however, Yogacara of Mahāyāna Buddhism defined the consciousness at the foundation of the human mind as the eighth Ālaya-vijñāna. Yogacara argued that Ālaya-vijñāna is the only place where awareness that creates and leads the world takes place.
    Meanwhile, in the West, attempts were made to explore human psychology corresponding to Ālaya-vijñāna of Buddhism, and psychology was on the rise as a new research field for both academic study and treatment of mental illness. The attempts bore fruit as Sigmund Freud and Carl Gustav Jung found 'the unconscious'. Freud and Jung's concept of the unconscious does not refer to simple non-existence of consciousness, Rather, it refers to a field or area where mental activity affecting awareness does not take place, but other mental elements exist.
    As the source of awareness, storage of energy, and source of existence, which are the commonality of Ālaya-vijñāna and the unconscious, Ālaya-vijñāna works in a clearer and more active way than the unconscious. Ālaya-vijñāna is also active as the subject of Saṃsāra and the substantiality of enlightenment, which are not shared by the unconscious. Though the unconscious falls short of Ālaya-vijñāna, both of them create our senses(six sense organs) and store energy that creates everything. Ālaya-vijñāna and the unconscious seem to share a common denominator, a field where mental elements stay, in view of their function as storage, but they are two different mental aggregations. Ālaya-vijñāna creates all things and becomes what those things made, whereas the unconscious only poses the possibility without reacting to the action.
    As a new research tool, brain science may shed some light on the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of Yogacara and the unconscious placed deeper than Ālaya-vijñāna. The author considers that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study the effect of Ālaya-vijñāna and the unconscious on human thinking and sentiment by examining their activity as storage of mental energy and their relationship.
    Buddhism has developed versatile tools for discerning the deep level of consciousness of mind like meditation, muttering Mantra, visualizing Mandala which have possibilities of curing diseases of mind in the future.
    The beginning of the psychology of western society begins with the researches on the subconsciousness of mind but it eventually focuses on the reality of ego and passions of selfness which will be the key to make Buddhism to be known to western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