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계/기술적 대상’에 대한 공포와 판타지의 정치적 무의식 - TV 드라마 <환상 거탑>의 경우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Fear of Machine/Technological Objects and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Fantasy - focussing on TV Drama, -)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6.06
47P 미리보기
‘기계/기술적 대상’에 대한 공포와 판타지의 정치적 무의식 - TV 드라마 &lt;환상 거탑&gt;의 경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52호 / 191 ~ 237페이지
    · 저자명 : 박명진

    초록

    이 논문은 TV 드라마 <환상 거탑>의 형식적 특징과 이데올로기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 드라마는 웹툰을 각색한 드라마이다. 이 드라마는 옴니버스 형식의 드라마이고, 플롯 장치로서 반전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옴니버스의 에피소드 나열 방식과 각 에피소드별 20분 분량으로 구성한 것은 상업성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짧은 분량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적 의미의 성찰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 드라마에서 주로 활용하고 있는 반전의 플롯 기법은 단순한 ‘놀람’의 수준에서 머물며 교훈적인 메시지로 급하게 마무리된다.
    이 드라마는 기계/기술적 대상과 인간이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판타지 상황을 보여준다. 이는 현대 문명에 대한 풍자와 비판 기능을 하는 것과 동시에,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선을 희미하게 만든다. 그러나 기계에 의해 인간성을 잃은 주인공이 결말에서 응징을 받게 됨으로써 인과응보의 휴머니즘적 세계관을 보이고 있다.
    <환상 거탑>은 기계/기술적 대상과의 접촉, 또는 초현실적인 상황의 발생 때문에 주인공이 판타지의 세계에 진입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주인공의 과도한 욕망이 개입되면서 윤리적인 징벌을 받게 된다. 이는 인간을 비인간과 철저하게 분리시키는 휴머니즘 이데올로기를 재현한 것인데, 텍스트는 무의식적으로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선을 무너뜨림으로써 스스로의 논리를 배반한다. 이는 이 드라마가 '불안/불안정'의 정동을 이데올로기소로 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때의 '불안/불안정'은 미래에 대한 전망을 빼앗긴 서민들의 정동을 대표한다. 그런데 이 드라마는 텍스트 외부에 존재하고 있는 사회적 불안의 정동을 휴머니즘적 인과응보로 봉합시킨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ormal characteristics and ideological elements of the drama <Huge Tower of Fantasy>. This drama is adapted from a Web toon, <Fantasy City>. <Huge Tower of Fantasy> is a drama of omnibus form, and uses peripety as a plot device. Listing ways of the omnibus episodes and 20 minute amount of each episode intended to pursue commercial interests.
    Because <Huge Tower of Fantasy> is too short, this drama dose not induce to introspection but to surprise. This drama shows the fantastic situation that is caused by contact between humans and machines. At the same time, this makes the boundaries of humans and inhuman dim, functioning as a satire and criticism on modern civilization. However characters who lost their humanity by the machine is showing humanism of punitive justice by being punished in ending scene. Characters of <Huge Tower of Fantasy> entered the world of fantasy through surreal situations or contacting with the machine.
    Protagonists should receive ethical punishment because of their excessive desire. It shows the ideology of humanism that separates human from inhuman strictly. The text violates its logic unconsciously by breaking down the border between humans and inhuman. It means that <Huge Tower of Fantasy> handles the ‘affect’ of anxiety/precariousness as ideologeme of text. Anxiety and precariousness represent the ‘affect’ of people who lose their future prospects under the system of Neo-liberalism. But the drama sutures the ‘affect’ of anxiety and precariousness through humanistic punitive jus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극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