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심과 집단 무의식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영화 <팀 버튼의 크리스마스 악몽>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ildhood-mind and Collective Unconscious Images -Focused on the movie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9.09
33P 미리보기
동심과 집단 무의식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영화 &lt;팀 버튼의 크리스마스 악몽&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56호 / 97 ~ 129페이지
    · 저자명 : 김원정, 박희복

    초록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힐링, 감성, 키덜트 등의 키워드가 트렌드로 부상하며 소설과 에세이, 웹툰, 영화, 애니메이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면에서 동화적 콘텐츠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화적 콘텐츠들은 기존 동심을 기반으로 아이들을 위해 만들어진 이야기라는 문학적 의미에서의 ‘동화’ 개념과는 대조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화적 상상력’에 기초해 제작되었다는 작품이 이미지 면에서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진행한다.
    <팀 버튼의 크리스마스 악몽>은 제작하고 적지 않은 시간이 지났지만 오랜 시간 사랑받아왔으며 현재까지도 키덜트 문화의 한 부분으로 꾸준히 관련 상품이 나오고 있는 작품이다. 우울하고 기괴한 이미지로 가득한 작품이 어떻게 동심과 동화적 상상력에 기반한다고 할 수 있는지, 이러한 작품이 어떻게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꾸준히 사랑받을 수 있는지를 칼 융의 집단무의식 개념과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동심 자체가 어린아이의 심상을 의미하고, 인류 보편의 것이라 할 수 있다. 어떤 특정한 이미지 등을 봤을 때에 대다수 사람들이 떠올리는 공통된 무엇이 있다면 그것은 칼 융이 말하는 집단무의식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고, 이는 상징과 원형 이미지로 나타난다. 때문에 이와 같은 이미지들을 이용하는 것은 동화적 상상력의 표현 방법 중 하나로 동심과 집단 무의식에 의해 보편적으로 특정한 이미지들을 연상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신화와 민담, 동화로 대표되는 이러한 이미지들은 동화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하는 작품들 속에서 다수 등장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팀 버튼의 크리스마스 악몽>에서 나타나는 집단 무의식적 이미지들을 찾아보고, 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작품 속의 동화적 분위기를 구성하는지를 분석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작품 속 공간과 캐릭터, 색채 등에서 수많은 상징과 원형 이미지들을 찾아볼 수 있었는데, 이러한 직관적 이미지들이 동화적 분위기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써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누구나 지니고 있는 근원적 감성인 동심을 집단 무의식적 이미지를 통해 표현한다는 것은 팀 버튼의 작품이 많은 이들에게 오랜 시간 사랑받을 수 있었던 요인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Recently, keywords such as healing, emotion, and kidult have emerged as trends in Korean society, and fairy tale contents are appear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novels, essays, webtoons, movies, and animations. However, these fairy tale style contents tend to contrast with the concept of 'fairy tale' in the literary sense of a story made for children based on childhood-min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images used in works produced based on 'Fairytale Imagination'.
    Although <Tim Burton’s Christmas Nightmare> is an old work, it is still loved so much that the product concerned is being released as part of kidult cultule. On this study looked at how works full of gloomy and bizarre images are based on childhood-mind and fairytale imagination, and how these works can be consistently loved by people of all ages, in relation to Carl Gustav Jung's concept of collective unconscious.
    First of all, childhood-mind itself means the imagery of a child, and it is universal to mankind. When you look at a particular image, and so on, if there's something in common that most people think of, it's based on what Carl Jung says is collective unconscious, and it appears as a symbol and a circular image. Therefore, using images like these is one of the ways of expressing a fairytale imagination and that is associate universal certain images by childhood-mind and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ese images, generally represented by myths, folktales and fairy tales, appear in many of the works based on fairy tale imagina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collective unconscious images in <Tim Burton's Christmas Nightmare> and analyzing how they compose the fairytale atmosphere in the work. Numerous symbols and archetype images could be found in the space, characters and colors of the work, and these intuitive images could be seen to act as important elements that make up the fairy tale atmosphere. This expression of the underlying imagery of childhood-mind, which exists in everyone, through collective unconscious images is one of the factors that Tim Burton's work has been loved for a long time by many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