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도나무 이야기(요 15:1-11)에 반영된 요한공동체의 기억과 자기이해 (The Vine Story (John 15:1-11) as a Medium for Memory and Self-Understanding in the Johannine Communit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7.03
34P 미리보기
포도나무 이야기(요 15:1-11)에 반영된 요한공동체의 기억과 자기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약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약논단 / 24권 / 1호 / 79 ~ 112페이지
    · 저자명 : 송진순

    초록

    요한복음 15:1-11은 포도나무 이미지를 통해 예수와 믿는 자들의 관계 를 서술한다. 본문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요한의 교회론이나 제자 도의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 과정에서 본문의 역사적 맥락이나 요한 복음에서 본문의 위치, 그리고 포도나무 이미지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이 간과되기도 했다. 그러나 요한은 유대 전승에서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 계를 나타낸 포도나무에 대한 전통적 이해를 요한공동체의 사회적 상황에 서 새롭게 변용하고, 이를 예수 유훈(遺訓)의 정점에 둠으로써 공동체의 사 회적 현실에서 예수와 공동체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성찰을 담아내고자 했다. 따라서 본고는 포도나무 이야기에 반영된 요한공동체의 삶의 자리와 그들의 기억을 사회역사적 관점에서 읽어내고자 한다. 1세기 후반 요한공 동체와 유대 사회가 첨예하게 갈등하는 상황에서 요한은 유대인들에게 매 우 친숙한 포도나무의 전승을 예수와 요한공동체의 관계에서 재해석했다. 그것은 고난 받는 요한공동체가 과거 전승과 예수에 대한 기억을 토대로 당면한 현재의 상황을 재구성하면서 자신을 이해하는 과정이었다. 이 과 정에서 유대의 종말론적 표상으로서 새 이스라엘을 의미하던 포도나무는 본문에서 생명의 근원인 예수이자 그와 하나된 구원받은 공동체로 인식된 다. 이러한 자기 이해를 기반으로 요한공동체는 예수와의 긴밀한 연합과 공동체의 결속을 통해 고난의 현재를 극복하고 새 이스라엘로서의 삶을 살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ine story in the Gospel of John (15:1- 11) from a socio-histor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 The Fourth Evangelist draws upon the vine motif, a familiar symbol of Israel, as he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Jesus and his disciples. Hence the frequent discussion of it in the context of the Johannine ecclesio- logy and discipleship. Overlooked in the discussion, however, is the examination of Sitz im Leben of the pericope and its literary function in the Fourth Gospel. To remedy this deficiency, I propose to read the vine story as a self-identifying statement formulated upon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Johannine community. First, John 15:1-11 reflects the experience of the Johannine believers. Amid the conflict with the Jewish communities due to its high Christology, the commu- nity was under persecution. Like the branches of the vine, the Johannine believers feared that they would be thrown away and burned by the Jews. Yet they felt the presence of and union with Jesus the Word through the Paraclete. In the vine story John envisions a new Israel, a people united and identified with Jesus. Prompted by the historical situation of his community, John made a shift from the traditional preception of vine to a new one. Second, John places the vine story in the middle of the farewell discourse, thereby tying the story of their persecution and new identity to that of Jesus’ suffering and death. The Johannine believers could re-define themselves as saved, eschatological community while recognizing the world hostile to them in the light of the passion of their Savior. The vine story functions as a lens through which the community could share their collective memory and stay reminded of their communal identity in the late first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