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망자의 추복과 국가 수호- 요 경주백탑 77좌 ‘무구정광소탑’과 根本陀羅尼 - (Praying for the Deceased and Protecting the Country:77 Small Stupas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and Genben Dharani)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1.12
56P 미리보기
망자의 추복과 국가 수호- 요 경주백탑 77좌 ‘무구정광소탑’과 根本陀羅尼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8호 / 301 ~ 356페이지
    · 저자명 : 성서영

    초록

    慶州白塔은 遼 興宗의 생모 章聖皇太后가 발원한 석가불사리탑이다. 불탑의 형식은 팔각7층누각식탑으로, 매층 탑신마다 대형의 부조상이 배치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바로 76좌의 경당이다. 경당은 요대 처음으로 불탑 부조상의 題材로 출현하였으며, 경주백탑 탑신에 배치된 부조상 중에서 가장 수량이 많다. 뿐 아니라 독립 제작된 경당처럼 당신에 다라니가 새겨져 있다. 각각은 「修造佛塔陀羅尼」, 「根本陀羅尼」, 「自心印陀羅尼」이다. 3개 다라니는 당나라 초기 彌陀山이 한역한 『無垢淨光大陀羅尼經』에 출처를 두고 있다. 더욱더 주목되는 것은 탑찰에는 동일한 다라니가 새겨진 단층 소탑이 세워져 있다는 점이다. 비록 경당과 소탑은 형식이 다르지만, 모두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 의거하여 제작된 넓은 의미의 ‘무구정광소탑’이다. 77좌의 수량은 경전에서 언급된 근본다라니 작법을 따른 것이다.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는 총 6개의 다라니가 소개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근본다라니는 유일하게 ‘망자 추복’과 ‘국가 수호’라는 특수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경주백탑의 발원자 장성황태후는 遼 聖宗의 추복을 빌고, 西夏와의 전쟁 승리와 末法時代 요나라의 영속을 기원하기 위해 경주백탑을 건립하였다. 이를 위해 탑찰과 탑신에 각각 소탑과 경당 형식의 ‘무구정광소탑’을 배치한 것이다. 경전에서는 77좌의 小泥塔를 제작하여 불탑 내에 안치하라고 하였으나, 경주백탑에서는 소탑과 경당 부조로 제작하였으며, 양자는 불탑 외부에 돌출된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는 요대 성행한 ‘불정존승다라니 신앙’과 ‘요대 新팔대영탑 신앙’이 우선적으로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경주백탑 표면의 77좌 무구정광소탑은 경전에 기술된 전통적인 작법 내용을 따르면서도 요대 다라니 신앙의 특수한 관습이 결합되어 전통과 혁신이 공조된 매우 창의적인 작법이 창출되었다. 동시에 요대 다라니 신앙의 절정 양상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朝陽東塔 지궁에서 출토된 開泰六年 경당을 통해서 황실에서 좀더 일찍 무구정광대다라니를 신앙하였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는 경주백탑의 사례와 함께 망자는 모두 黑山으로 돌아간다는 샤머니즘적 사유체계에 중대한 변화가 있었음을 알려주는 매우 중대한 사례이다.
    마지막으로 고려할 것은 한국의 무구정광 신앙과의 관련성이다. 잘 알다시피 무구정광신앙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 의거하여 발전한 신앙이다. 비록 경전은 당 장안에서 한역되었지만, 통일신라 왕실에서 대성행하였으며, 이는 고려 중엽까지 지속되었다. 현재 사료와 실물 자료의 한계로 요대 무구정광 신앙의 연원이 한국에 있음을 명확하게 입증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양자간 신앙의 기초적인 내용이 일치하며, 경주백탑에서도 舊製의 흔적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결정적 고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Empress Dowager Zhangsheng, the mother of Emperor Xingzong, initiated Qingzhou White Pagoda. During the Liao Dynasty its official name was the Shakyamuni sarira stupa. An octagonal seven-story pagoda with large reliefs on every story, the most notable is the 76 Dharani pillars. The Dharani pillar first appeared on the face of the pagoda in the form of a relief and occurs most frequently. Not only that, the body of the Dharani pillar is carved with dharanis, which are the ‘Sujobulta dharani’, the ‘Genben dharani’ and the ‘Zaximyin dharani’, respectively. The three dharanis are based on the Great Dharani Sutra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translated by the monk Mitashan in the early Tang Dynasty. It is noteworthy that the body of a small stupa on the base of Tasha in this pagoda is also carved with same three dharanis. Although the forms of the small stupa and the 76 Dharani pillars are totally different, both are small stupas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in a broad sense, as they are based on the Great Dharani Sutra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The total number is 77, which results from following the rules of the sutra.
    Six dharanis were introduced in the Great Sutra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Among them, the Genben Dharani is the only one that has special functions such as “Praying for the Deceased” and “Protecting the country”. I argue the Empress Dowager Jangsheong initiated the Qingzhou White Pagoda to pray for blessings for the Emperor Sheongjong, for winning the battle with Xixia and for the permanence of the Liao Dynasty in the Degenerate Age of Dharma. A small stupa and 76 dharani pillars were placed on the base of Tasha and on the body of the pagoda respectively. In the scriptures, the Buddha is instructed to make 77 small stupas with clay and then place them in the pagoda. The stupa were composed of a small stupa and 76 dharani pillars, projecting onto the surface of Qingzhou White Pagoda, reflecting the popular belief of Buddha-Crown Superb Victory Dharaṇi and of the Eight Great spiritual stupas. The 77 Small Stupas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on the surface of the Qingzhou White Pagoda followed the traditional formality described in the scriptures and were also combined with the special customs of the Dharani faith during the Liao Dynasty. In the end, this made for a very creative formality in which tradition and innovation were combined. Qingzhou White Pagoda is a very important work that shows the peak aspects of the Dharani faith during the Liao Dynasty. Through the Dharani pillar in the sixth year of Kaitai,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erial family already believed in the faith of the Great Dharani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This Dharani pillar was excavated from of the Chaoyang East Pagoda. This is a very significant case that indicates that there had been a significant change to the Shamanistic system in which all the dead returned to Mt. Black.
    Finally, we must consider the relevance of the faith of the Immaculate and Pure Light in Korea to the Liao Dynasty. As we know, the Immaculate and Pure Light was developed based on the Great Dharani Sutra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Although the scriptures were translated in Changan during the early Tang Dynasty, and the sutra was transferred to Unified Silla Royal family immediately thereafter. The Unified Silla royal family was successful, and lasted until the middle of the Goryeo period. At present it is difficult to clearly determine if the origin of the faith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lays in Korea due to the limitations in historical and real data. However, the basic contents of the faith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consistent, and there is likely a decisive link that has not yet been revealed, as traces of the old are also found in the Qingzhou White Pagod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