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처용’이라는 화두와 ‘벽사(辟邪)’의 언어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대한 새로운 해독- (‘Che-yong’, As A Topic And The Language of ‘Exorcism’ -A New Interpretation on Insignificant Poetics of Kim Choonsoo-)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0.10
27P 미리보기
‘처용’이라는 화두와 ‘벽사(辟邪)’의 언어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대한 새로운 해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42호 / 535 ~ 561페이지
    · 저자명 : 허혜정

    초록

    본 논문은 50~60년대 ‘전통’에 대한 국문학계의 관심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김춘수의 ≪처용단장≫과 무의미시론에 대한 불교적 해독을 통해 일반적으로 반전통의 시각에서 연구되어온 김춘수 시의 전통적인 측면을 검토해보았다. 일반적으로 연구자들은 그의 시와 시론을 서정시의 규범을 깨뜨리는 반전통의 시각에서 이해하고 있지만, ≪처용단장≫을 읽어내는 데는, 50년대의 전통에 대한 관심에서 촉발된 ‘처용’ 계보의 작품들, 그리고 고려가요 <처용가>와의 미학적 연관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김춘수는 이미 50년대부터 ‘처용’연작을 구상하였고, 60년대부터 1991년까지 ≪처용단장≫ 연작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그가 ‘인고행의 보살’로 해독했던 ‘처용’을 화두로 붙들고 고려가요 <처용가>를 깊이 있게 탐구했다.≪처용단장≫으로 집대성된 그의 무의미시론을 세밀하게 검토해보면, 그의 시적 실험이 지향하는 세계관이나 언술방식에, 현실의 논리를 허무로 되돌리는 불교적 무상관(無常觀)과 고려가요 <처용가>에 나타난 벽사(辟邪)의 언어에 대한 이해가 깊이 담겨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e thesis, ≪Che-yong-dan-jang≫written by Kim Choonsoo on the background of 1950s~1960s of Korean literature circle with interest for ‘tradition’ and the traditional aspect of his poetry that has been researched generally from the anti-traditional angle through Buddhistic interpretation on the meaningless poetics were reviewed.
    Largely, those who study his poems and poetics comprehend them from the anti-traditional point of view that breaks the norm of lyrical verses, however, in order to have ≪Che-yong-dan-jang≫ be appreciated, it is essential that the serial works of ‘Cheyong’ prompted by the concern toward the tradition of modern poets and the aesthetic corelations coming from the <Che-yong-ga>, one of Koryo folk songs should be considered.
    Kim Choonsoo planned to write the serial works of ‘Cheyong’ from as early as 1950s, and in the course of creating the series of ≪Che-yong-dan-jang≫ from 1960s to 1991, he dived into the profound study of <Che-yong-ga>, a Koryo folk song, grasping ‘Cheyong’ for the subject that he interpreted as ‘bodhisattva of long-suffering’Going through his theory of insignificant poetics minutely that was completed into his comprehensive work can be confirmed to lead to the fact that the Buddhistic transience that turns the true-life logic into nothingness and the deeper comprehension on the language of exorcism revealed in the <Che-yong-ga>, a Koryo folk song, is harbored in his outlook of this world and in the way of narration. The Buddhistic speculations that Kim Choonsoo detected through the <Che-yong-ga> suggests that the ‘conventional tradition’ forms a crucial foundation in trying to have the modernity and experimental feature of his poems to be properly appreci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