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처용무의 지도 방향 (Teaching Direction of Cheoyongmu according to the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5.02
37P 미리보기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처용무의 지도 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연구 / 19권 / 1호 / 5 ~ 41페이지
    · 저자명 : 한영숙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및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처용무 수록 양상 및 지도 내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지도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처용무의 수록 양상 및 지도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음악 국가유산과 관련하여 수록되어 있다. 처용무의 명칭과 음악 국가유산으로 지정된 연도만 제시하여 처용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처용무 감상의 지도 방향을 역사적인 맥락, 사회ㆍ문화적 맥락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첫째, 역사적 맥락 측면의 지도 내용은 ‘처용랑 망해사’ 조에 수록된 설화와 관련하여 처용무의 유래를 파악하고, 신라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시대적 변천을 이해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사회ㆍ문화적 맥락 측면의 지도 내용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 벽사, 나례 의식, 정재, 무대공연 등으로 춤이 갖는 기능이 변화하는 양상을 바탕으로 처용무의 역할을 이해하고, 음양오행의 오색과 오방과 관련하여 처용무에 내재한 사상을 이해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더불어 역사성과 지속적인 전승 및 뛰어난 예술성과 민족의 정체성이 함축된 춤으로서 처용무의 문화적 가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 내용을 제시하였다.
    처용무는 정재 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면서 변화를 거듭하며 끊임없이 연행되었고, 앞으로도 지속해서 공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춤이다. 따라서 시대에 따른 처용무의 변천 과정과 그 역할 및 가치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clusion patterns and instructional content of Cheoyongmu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2015 and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examine related issues, and explore instructional direct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n analysis of the inclusion patterns and instructional content of Cheoyongmu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reveal that they are mostly included in relation with national cultural heritage. However, the textbooks only provide its name and the year it was designated as a musical national heritage, making it difficullt for students to grasp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ance.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proposes instructional directions for Cheoyongmu appreciation by focusing on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based o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First, from a historical context, the instructional content aim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origins of Cheoyongmu in relation to the folk story of Cheoyong, which is recorded in the section "Cheoyong and Manghaesa Temple," and the transformation of Cheoyongmu from the Silla period to the present. Second, from a socio-cultural context, the instructional content focuses on the changing functions of dance over time, including Byeoksa (an exorcisitc ritual: 辟邪), Naryae (court purification ceremony: 儺禮) rituals, Jeongjae (royal court dance: 呈才), and stage performances. It also emphasizes an understanding of the philosophy embedded in Cheoyongmu, particularly its connection to the five colors and five directions in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Additionally, the study suggests instructional approaches that allow students to appreciate the cultural value of Cheoyongmu as a dance that encapsulates historical significance, continous transmission, artistic excellence, and national identity.
    Among the royal court dances (jeongjae), Cheoyongmu has the longest history and has undergone continuous adaptation while remaining actively performed. It is a dance that can continue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Thus, it is crucial to establish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accurately conveys the historical evolution, functional role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Cheoyongm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