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승무(僧舞)와 수수무(水袖舞)의 양식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stylistic characters between a Buddhist dance and Water Sleeve danc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0.04
24P 미리보기
승무(僧舞)와 수수무(水袖舞)의 양식적 특성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용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용연구 / 28권 / 1호 / 119 ~ 142페이지
    · 저자명 : 양정은

    초록

    본 논문에서는 동북아시아의 대표적인 장삼무에 속하는 한국의 승무와 중국의 수수무를 대상으로 두 나라에 존재하는 장삼무의 음악, 의상, 동작 등의 양식적 특성을 비교·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승무와 수수무의 음악을 비교·연구해 본 결과, 두 무용의 음악적 표기와 그 구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에 각 나라의 문화적 색채가 무용 음악에 그대로 반영되었음을 볼 수 있다. 우선 승무의 음악은 장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율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북과 장구가 타주되면서 서로 조화를 이룬다. 무엇보다도 무용수가 승무의 음악을 채운다는 점은 음악적 구성에서 매우 특징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이 염불장단으로 시작된다는 점과 무용수가 북을 타악(打樂)함은 주술적(呪術的)인 힘과 불교의 종교적인 색채가 깃들어져 있다. 그에 반해 수수무는 ‘동작’의 기교에 따라 그에 따른 반주 음악(伴奏音樂)이 나타난다. 수수무의 음악은 서양의 악보로 표기가 되어 있어, 박자와 조성이 나타나지만 서양의 음악처럼 형식이 뚜렷하게 나타나 있지 않으며 반복되는 주제 선율 없이 비슷한 느낌의 새로운 선율이 자주 등장한다. 이렇게 다양한 선율은 중국의 전통적인 음색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두 번째로, 승무와 수수무는 장삼무라는 공통점을 가지며, 각 무용의 명칭 또한 장삼의상과 관련이 되어 있다. 승무의 의상은 불교 승려의 복장에서 발전되어 조금씩 변모되어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또한, 수수무의 의상인 ‘수수’ 는 소매가 뿌려지는 형상이 마치 물의 역동성을 보여준다고 하여 명명되었으며, 처음에 빈손의 형태로 추어지다가 점차 무대화되면서 수수 길이를 부각시켜, 오늘날 긴소매형태로 거듭났다.
    승무와 수수무의 의상은 기본적으로 한복의 형태를 띄지만, 장삼의 색깔, 길이, 형태 등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의상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삼(長衫)은 승무에서 그 색깔에 따라 흰장삼과 흑장삼으로 구분이 되는 반면, 수수무에서는 상황에 따라, 연습을 할 때에는 대부분 흰색의 수수를 입으며, 공연을 할 때에는 작품에 따라 수수의 색깔과 형태에 변화를 주면서 비교적 다양하게 입는다.
    마지막으로, 동작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승무의 동작은 주로 방향에 따라 용어가 나타나며, 호흡에 의해 팔전체로 한 번에 뿌려지는 것에 반해, 수수무는 손을 자주 사용하면서 수수를 뿌리고, 뿌린 수수를 다시 잡거나 잡았던 것을 다시 뿌리는 등의 비교적 기교적인 동작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승무와 수수무의 양식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같은 문화권에서 공유하는 장삼무이지만, 그 나라의 특징과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표현 양식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라며, 앞으로 좀 더 발전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나아가 이러한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동양의 무용이 예술적으로 더욱 성숙해질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될 수 있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and examine the music, costume, and movement of the two most representative dance forms using costumes with long sleeves in Northeast Asia: the Buddhist dance of Korea, and the Water sleeve dance of China.
    Firs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each form of two dances has a different way of musical inscription and a different formation, and that each country's traditional features has been reflected on the music. The most distinguishing feature of the Buddhist dance's music is that the dancer takes a part of the music by beating the drums. Also, the fact that the music starts with the Buddhist invocation beat and that the dancer makes the beats reflect the incantational power and religious marks of Buddhism. In contrast, the Water sleeve dance's music appears as a form of accompaniment depending on a lineup of movements. All of its' music is inscribed with Western musical score, therefore its' composition and rhythm follows the Western style. However, the Water sleeve dance's music doesn't have an indistinct form like Western music; it doesn't have repeating melody lines but different melody lines with similar impression.
    Second, the Buddhist dance and the Water sleeve dance both uses the costumes with long sleeves, and both dances names are related to long sleeves. It's resonable to assume that today's Buddhist dance costume has been developed little by little from monk's clothes. Water sleeve dance's costume "Susu" was named after its' display of the water's movement. At first, Water sleeve dance was performed with nothing on hands. However, as it appeared on the stage, the length of the sleeves had brought into relief resulting in today's long sleeve form. Upon this change, new movements dealing with long sleeves have been developed and systematized. Even though, they both use the costumes with long sleeves, sleeves are different in several ways, such as color, length and shape.
    Examining the movemental characteristics, Buddhist dance's movement is attended by the directions. Dancer throws the sleeves in one breath, and this movement contains the emotion and grief of our people. Dissimilarly, Water sleeve dance is more technical compare to Buddhist dance, and movements using wrists appears variously. Also, throwing the sleeves is extension of hands meaning that it only functions as an assistant of gestur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ylistic features of Buddhist dance and Water sleeve dance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distinctive stylistic features of two different countries in the same cultural area. Such reciprocal understanding is essential to the aesthetic improvements of Oriental dances; more extended researches are requested for development of Oriental da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용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