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접속하는 도시에 투영된 <접속>의 무의식적 욕망 (Unconscious Desire of Contact Projected in Connecting Ci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7.11
26P 미리보기
접속하는 도시에 투영된 &lt;접속&gt;의 무의식적 욕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화연구 / 13권 / 4호 / 43 ~ 68페이지
    · 저자명 : 전우형

    초록

    이 논문은 기획영화 <접속>(1997)에 투영된 1980-90년대 한국사회의 무의식적 욕망을 규명할 목적으로 씌었다. 영화 <접속>은 시공간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연애 풍속도를 감각적으로 재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접속>의 낯선 감각이 이처럼 기획영화로서의 면모를 통해서만 오롯이 구현된 것인지는 의심스럽다. 이 영화의 기획 주체들 중 다수는 1987년 6월 항쟁이라는 특별한 공통 경험이 있다. 그리고 그 역사적 사건은 이 영화에서 중요한 화소가 되는 밤의 도시와 PC통신에 무의식적으로 투영되어 있다. 그래서 <접속>의 로맨스는 1990년대만의 독자적이고 이질적인 것이라기보다 1980년대의 어떤 만남이 현재화된 것으로 볼 필요가 있다.
    로맨스 영화 <접속>은 로맨스를 유발하는 만남이 지연되고 부재하는 특이성을 지닌다. 이 어긋나는 만남은 주인공들의 현재이면서 동시에 과거이기도 하다. 동현과 수현 각자의 과거에 실재했던 만남의 지연과 부재는 만남이 지연되고 부재하는 그들의 현재에 지속적으로 개입한다. 그래서 영화에서 만남의 지연과 부재는 순환적이다. 로맨스 장르이면서 사랑이라는 감정이 부재, 적어도 극도로 절제된 이 영화에서 만남의 원체험은 1987년 한국사회의 알레고리처럼 보인다. 그리고 영화 <접속>이 호명한 만남은 과거를 성찰하고 현재를 응시하는 수행적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재귀적이다. 영화 <접속>의 로맨스는 다시 이야기하고, 만나고, 사랑하는 의지를 회복하기 위한 의장이다.
    그렇다면 <접속>은 왜 첨단의 삶과 문화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과거를 호명하는가. 이 영화의 감각적인 이미지는 대체로 1997년 서울의 야경을 통해 구현된다. 그러나 영화가 보여주는 일상화된 현재는 현재의 상실을 동시에 조명한다. 1987년 6월 항쟁 이후 한국사회는 신자유주의의 침투와 속물적인 삶의 가속화로 점철된다. 그래서 이 영화의 제목 ‘접속’은 단지 PC통신만이 아닌 1990년대식 삶의 방식 전체를 의미한다. 이 영화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에 이르는 한국사회의 신자유주의화로 인한 사랑을 감각적으로 재현했다. 이 무의식이야말로 1980년대를 굳이 이야기하지 않으면서, 1980년대와 1990년대를 단절이 아닌 연속성의 시야로 조명하게 한다는 점에서 기획영화로서의 성과를 초월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unconscious desire of Korean society in 1980-90s projected in the project film Contact (1997). The movie Contact appears to be a sensational representation of the new roma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and space.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unfamiliar sense of Contact has been realized only through the aspect of the project film. Many of the producers in this film have a special common experience in June 1987, the Uprising. And the historical event is projected unconsciously in the nighttime city and PC communication, which are important visualized in this movie. Therefore, romance of Contact needs to be seen as a certain meeting of the 1980s, rather than being unique and heterogeneous in the 1990s.
    The romance movie Contact has a specificity of delay and absence of meeting which causes romance. This deviant meeting is both the present and the past of the protagonists. Delays and absences of the actual existence of Donghyeon and Suhyeon in their pasts continue to intervene in their present and delayed meeting. So the delay and absence of meeting in the movie is cyclical. The romance genre and lack of love feel, at least in this extremely tempered film, the original experience of meeting seems like an allegory of Korean society in 1987. It is recursive in that the meeting called the movie Contact is a performance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past and gaze on the present. The romance of the movie Contact is the chair for restoring, meeting and loving will again.
    So, why does Contact call the past while putting the best of life and culture at the foreground? The sensuous image of this film is generally realized through the night view of Seoul in 1997. However, the everyday currents shown by the film simultaneously illuminate the loss of present. After the uprising in June 1987, Korean society is marked by the infiltration of neo-liberalism and the acceleration of snobbish life. So the title of this movie ‘Connect’ means not only PC communication, but whole 1990s lifestyle. The film sensibly reproduced the delay and absence of the neo-liberalization of Korean society from the late 1980s to the 1990s. This unconscious transcends the performance as a projected film in that it does not talk about the 1980s, but rather illuminates the 1980s and 1990s with a vision of continuity rather than a disconn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