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효의 무주처(無住處)열반과 무애(無礙) (Apratiṣṭhita-Nirvāṇa and Apratighāta in Wonhy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3.08
33P 미리보기
원효의 무주처(無住處)열반과 무애(無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107호 / 61 ~ 93페이지
    · 저자명 : 김현희

    초록

    무주처열반으로 특징지어지는 원효의 열반관은 그의 반야관 및 번뇌론과 연관된다. 무주처열반의 특징으로 원효는 법신 반야 해탈의 3사와 상 락 아 정의 4덕을 들고 있는데, 이들에 대한 구명을 통해 열반과 반야의 관계, 열반과 번뇌의 관계, 그리고 반야와 번뇌의 관계를 해명할 수 있다.
    원효는 『대혜도경종요』에서 실상반야를 유식의 이론으로 설명하며, 여래장이야말로 실상반야라는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다. 또한 객관으로서의 실상반야와 주관으로서의 관조반야를 함께 밝혀 주관과 객관이 합일된 상태의 이종합명반야를 말함으로써 여래장사상에 기반하면서도 유식의 이론에 부합하는 반야관을 확립한다.
    그의 반야론과 열반관을 연관지어 볼 때, 열반의 3사로서 법신이 스스로를 비춘다는 의미의 반야는 『이장의』에서 말하는 번뇌애와 지애로부터 해탈한 무애의 무주처열반을 가능케 한다. 또한 무주처열반은 일법계로서의 무장무애법계를 포섭하기에 화엄의 세계와 연결된다. 개인으로서의 열반 뿐 아니라 사회 및 세계 속에 사는 존재로서의 자각에 따라 정토를 희구하는 보살의 회향에 의해 무주처열반과 불이정토로서의 화엄정토가 이루어진다.
    원효는 무애행을 통해 보살로서의 실천을 지향했을 뿐 아니라, 여래장 사상을 기반으로 한 반야와 열반의 이론적 정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유식이론을 바탕으로 반야에 대해 인식론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삼론학의 논리로써 이제설(二諦說)을 확장, 수렴한다. 그러한 이론적 토대 위에서 반야와 열반의 필연적 상관성이 확보되고, 그것은 번뇌와의 관계 속에서도 해명된다.

    영어초록

    Wonhyo's concept of nirvāṇa, characterized as Apratiṣṭhita- Nirvāṇa, is related to his concepts of prajñā and kleśa. Wonhyo characterizes Apratiṣṭhita-Nirvāṇa as 3 traits of dharmakāya, prajñā, and mokṣa and 4 virtues of nitya, sukha, ātman, and śubha.
    In Daehyedogyeongjongyo, he investigates dharmatā-prajñā by the theory of Vijñaptimātra, and expresses his own opinion that Tathāgatagarbha is dharmatā-prajñā. In addition, revealing both dharmatā-prajñā in the objective perspective and the contemplative-prajñā in the subjective perspective, he also refers to the heterogeneous combination of subject and object as an unified state, and establishes his own concept of prajñā.
    According to Wonhyo's theory, prajñā, signifying dharmakāya reflecting itself, makes it possible to attain Apratiṣṭhita-Nirvāṇa being freed from kleśa-pratighāta and prajñā-pratighāta, that is mentioned in Ijangui. In addition, Apratiṣṭhita-Nirvāṇa is connected to the world of Avataṃsaka, because it encompasses anāvaraṇāpratighāta-dharmadhātu as Eka-dharmadhātu. It is not only nirvāṇa of an individual but the awakening of a bodhisattva who seeks the pure land with the awareness as a being living in society and in the world, that achieves Apratiṣṭhita-Nirvāṇa and makes Avataṃsaka-Pure-Land as the non-dual Pure-Land.
    Wonhyo pursues the practice as a bodhisattva through ‘acting apratighāta’ and studies various types of Vijñaptimātra-theory in order to secure theoretical consistency with the idea of ​​the Tathāgatagarbha. While epistemologically analyzing prajñā based on the theory of Consciousness-Only, he pands and converges the two truth doctrine by the Samron-studies.
    On such a basis the inevitable correlation between prajñā and nirvāṇa is established, and it is also clarified in relation with kleś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전